대건테크가 항공우주 및 원자력 발전 분야에 적용 가능한 금속 3D 프린팅 솔루션을 선보였다.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 ‘KICEF 2025’가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산업단지 기반의 수출 확대와 기술 혁신’이라는 취지를 살려 자동화·정밀·계측제어기계, Robot·자동화 시스템, 산업용 IT 설비, 반도체·전자 부품, 화학·바이오 소재, 건축자재 및 일반 생활용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국내외 중견기업 및 스타트업이 참여해 최신 기술과 솔루션을 선보인다. 케이블 하네스를 기반으로 정밀 기계 제조 전반에서 사업을 펼치고 있는 대건테크는 이번 전시회에서 금속 3D 프린터(PBF) 기술을 활용한 혁신 제품을 공개했다. 먼저 비행체 동체 부품은 기존 제조 방식 대비 45% 이상 경량화되었으며, 38개의 부품을 하나로 일체화하여 제조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했다. 또한 원자력 발전 부품은 35개의 부품을 용접 없이 일체화시켜 내구성을 기존 대비 3배 이상 향상시켰으며, 제조 원가를 45% 줄이고 제조 시간을 1/5 수준으로 단축했다. 이는 국내 최초로 원자력 발전소에 공급된 3D 프린팅 제품으로, 산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마포 3D-FAB이 매뉴팩처링티비에서 ‘All That 3D Printing’ 웨비나를 개최한다. 본 웨비나는 10월 28일 오전 10시부터 11시까지 진행된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서 구축한 3D프린팅 혁신성장 센터 ‘3D-FAB’에서 3D프린팅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의 강연을 진행한다. 3D프린팅은 금형 등 전통 제조업부터 의료, 우주항공, 자동차 등 고부가가치 산업까지 활용분야를 넓히고 있는 산업이다. 이번 세미나는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신진국 본부장의 ▲2021년 3D프린팅 기술동향과 사례 EOS코리아 김승균 지사장의 ▲국내·외 금속 3D프린팅 실증 및 활용 사례’를 주제로 진행된다. 특히, 3D프린팅 기술의 근황에 관심이 있거나 3D프린팅은 어떻게 쓰이는 것인지 궁금한 참가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무료로 진행되는 본 웨비나는 오는 28일 오전 10시부터 11시까지 진행되며 매뉴팩처링티비 홈페이지에서 사전등록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첨단 헬로티] 한국기계연구원의 3D프린팅 기술이 올해 최고의 기계기술에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금속 3D프린팅,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이 대표적이다. 한국기계연구원은 11월 14일 한국기계기술단체총연합회가 선정하는 올해의 10대 기계기술에 금속3D프린팅융합연구단(M3P) 이창우 단장의 ‘산업 실용화를 위한 대면적 고속 금속 3D프린팅 장비, 재료, 공정 개발’과 나노융합기계연구본부 김완두 연구위원의 ‘인체 피부조직 재생용 3D바이오프린팅 공정 및 장비’가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한국기계연구원 금속3D프린팅융합연구단 이창우 단장 연구팀이 개발한 실시간 오토트래킹 기능을 갖춘 대형 하이브리드3D DED프린팅 장비 올해의 10대 기계기술은 한국기계기술단체총연합회가 올해 국내에서 개발된 가장 우수한 기계기술을 대상으로 심사하여 선정하는 상이다. 시상은 11월 14일 쉐라톤 서울 팔래스 강남호텔에서 개최된 ‘2018 기계의 날’ 행사에서 이뤄졌다. 기계연 금속3D프린팅융합연구단 이창우 단장의 ‘산업 실용화를 위한 대면적 고속 금속 3D 프린팅 장비, 재료, 공정 개발’은 금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