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배출량·산성화·자원 소모량 등 기준 환경영향평가 시행 “그린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구축에 힘쓸 것” SK이노베이션(이하 SK이노)이 제품 생애주기 모든 단계에 걸쳐 환경 영향을 측정하는 ‘전 과정 평가(Life Cycle Assessment 이하 LCA)를 완수했다고 알렸다. LCA는 자원 투입부터 완제품 생산까지 전 공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 유발 물질을 측정하고, 국제 표준에 따라 정량화하는 방법론이다. SK이노는 지난해 1월부터 자사 계열 제품, 공급망, 신규 사업 등을 대상으로 환경영향을 조사·측정하기 위해 SK이노 환경과학기술원 산하 조직을 신설했다. 이번에 완료한 평가는 SK에너지·SK엔무브·SK지오센트릭·SK인천석유화학 등이 생산하는 석유화학 관련 모든 제품 및 반제품 약 470여개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평가 기준은 탄소 배출량·산성화·자원 소모량·오존층 고갈 등 주요 환경영향을 지표로 했고, 이를 기반으로 환경 부하량을 평가했다. SK이노는 이번 환경영향평가를 해외 사업장으로 확대하는 중이며, 이를 통해 탄소 저감 및 ESG 생태계 조성 등 실현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성준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장은 “전 제품 대상 LCA 결과를
SK어스온 상반기 전략 워크숍 개최...올해 중점 추진과제 공유 및 리스크 매니지먼트, CCS 전략 등 논의 명성 SK어스온 사장이 올해 파이낸셜 스토리 실행에 따른 구체적인 성과를 창출 해야 한다며 "석유개발(Upstream)과 그린(Green)사업에서 가시화된 성과를 통해 '2030 탄소중립기업'이라는 미래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명 사장은 SK어스온 2023년 상반기 전략 워크숍에서 "탄소에서 그린으로(Carbon to Green) 파이낸셜 스토리 실행을 위한 준비 과정은 마쳤다"며 이같이 밝혔다. 9일부터 이틀 간 서울시 중구 IGM 세계경영연구원에서 열린 워크숍에는 명 사장을 포함한 임원 및 PL 약 3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워크숍은 2023 경영계획과 중점 추진과제를 공유하고, 파이낸셜 스토리 실행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을 점검하게 위해 마련됐다. 실제 성과창출에 중점을 두고 리스크 매니지먼트와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 탄소 포집 및 저장) 전략을 주제로 한 기조 발제 및 그룹 토의가 진행됐다. SK어스온은 파이낸셜 스토리 실행을 위해 기존 석유개발 중심의 사업구조를 그린영역을 포함한 '두 개의 축(Up
헬로티 김진희 기자 | SK가 그룹 내 친환경 사업 분야의 연구개발(R&D) 인력과 역량을 결집시키는 대규모 연구시설을 새로 만든다. 주요 그룹 가운데 그린 비즈니스 신기술 개발을 전담할 R&D 인프라 조성에 나선 것은 SK가 처음이다. SK그룹은 지난 25일 경기도 부천시와 손잡고 부천대장신도시 내 약 9만9천㎡(3만여 평)에 SK이노베이션 등 7개 관계사의 친환경 기술 연구개발 인력 등 3천여명이 근무할 (가칭) ‘SK그린테크노캠퍼스’를 설립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시설은 입주할 부지 등이 확정되면 오는 2025년경 착공에 들어가 2027년 초 문을 열 예정이다. SK는 연면적 약 19만8천㎡(6만여 평) 규모로 지어질 이 시설 조성에 1조원 이상을 투입할 방침이다. 이 곳에는 SK이노베이션 외에 SK에너지, SK지오센트릭, SK온, SK E&S, SKC, SK머티리얼즈 등 총 7개사의 ▲차세대 배터리/반도체 소재 ▲탄소 저감 및 포집 ▲신재생에너지와 수소 등 친환경 기술개발 부문이 입주하게 된다. 이와 관련, SK와 부천시는 이날 부천시 청사에서 (가칭) ‘SK그린테크노캠퍼스’ 조성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