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트라이트 이슈기획 / 탁상행정이 만든 논란, 디지털교과서는 어디로 가야할까?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도입을 둘러싼 논란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정부는 지난 6월 AIDT의 법적 지위를 기존 ‘교과서’에서 ‘교육자료’로 격하하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을 국회 법안소위를 통해 통과시켰다. 이는 AIDT가 의무 도입 대상에서 제외되고 각 학교와 교사의 자율적 선택에 맡겨진다는 의미다. 이 같은 결정은 출판 및 에듀테크 업계를 중심으로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실제 지난 18일에는 국회에서 야당 의원들과 교과서업계 간 간담회가 개최됐고 오는 21일에는 출판업계 및 에듀테크 종사자들이 대규모 국회 앞 집회를 예고하며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 전환이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시작된 AIDT 도입이 오히려 혼란의 진앙이 되고 있는 지금, 우리는 어느 방향으로 디지털교과서의 페이지를 열어야 할까? 디지털교과서, 어떻게 시작됐나 AI 디지털교과서(AIDT)는 문재인 정부 시절 처음 구체화됐다. 2021년 발표된 ‘디지털 뉴딜’과 2022년 교육부의 ‘디지털 교육혁신 추진방안’에서 AIDT는 미래교육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했다. 당시 정부는 2025년부터 국어·영어·수학 교과를 시작으로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하고 이후 전 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