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우수한 기술력과 성장 잠재력을 갖춘 스마트 건설 분야 중소기업을 '강소기업'으로 선정하고 3년간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5월 7일부터 4주간 진행되는 이번 공모를 통해 총 20개 기업을 선발할 예정이다. 올해로 3년째를 맞는 스마트 건설 강소기업 선정 사업은 창업 단계의 새싹 기업 지원, 기술 개발 단계의 기술 실증 지원과 더불어 유망 중소기업의 성장을 촉진하고 건설 산업의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선정된 강소기업은 향후 3년간(2년 연장 가능) ▲역량 강화 ▲금융 지원 ▲시장 진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맞춤형 지원을 받는다. 기술 개발부터 시장 진출까지, 3년간 전방위 지원 구체적으로 역량 강화 분야에서는 시제품 제작 및 아이디어 검증 등 기술 개발 비용을 최대 3천만 원까지 지원한다. 기업 진단 및 전문가 1:1 컨설팅도 제공한다. 금융 지원으로는 약 1,745억 원 규모의 국토 교통 혁신펀드 등을 활용한 자금 지원과 각종 수수료 할인이 이루어진다. 시장 진입 지원은 개발 기술의 현장 실증 기회 제공(최대 1,500만 원 지원), 건설공사 정보시스템 강소기업 공시를 통한 홍보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올해부터는 테크 로드쇼 참
6개 대형 건설사 참여…건설현장 자동화·디지털화 목표 민·관·학계가 한자리에 모여 스마트건설 관련 주요 이슈를 논의하는 협의체가 생긴다. 국토교통부는 '스마트건설 얼라이언스'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한다고 26일 밝혔다. 스마트건설은 전통적 건설 방식에 첨단 기술을 접목하고, 자동화·지능화로 생산성과 안전을 향상하는 것을 뜻한다. 정부는 2030년까지 건설 전 과정의 디지털화·자동화를 목표로 하는 스마트건설 활성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건설을 구현하기 위해선 건설과 드론, 로봇 등 다양한 기술이 융복합돼야 한다. 그러나 기존 건설업계와 첨단기술 개발업체 간 협력의 장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어 '스마트건설 얼라이언스'를 구성하기로 했다. 얼라이언스에는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 주체인 대기업과 중소·벤처기업이 두루 참여해 논의를 이끌게 된다. 시공능력평가 상위 6개사가 핵심 기술별 기술위원장을 맡는다. 참여 기업은 ▲DL이앤씨(BIM·건설정보모델링) ▲GS건설(OSC·탈현장시공) ▲삼성물산(건설자동화) ▲대우건설(디지털센싱) ▲포스코이앤씨(스마트안전) ▲현대건설(빅데이터·플랫폼) 등이다. 학계·연구원 관계자들은 실효성 있는 논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뒷받침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