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제조운영 플랫폼은 PLM, ERP, MES 등을 따로 구축하고 인터페이스로 움직이는 형태여서 중소 중견기업이 도입하기에는 상당히 복잡한 구조를 띠고 있다. 여기에 APS까지 더하면 더욱 복잡하게 된다. 이러한 복잡한 부분들을 중소·중견기업들은 한 솔루션 내에서 관리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나온 게 Smart-MOM이다. Smart-MOM은 국제표준 플랫폼 기반으로 계획과 실행을 일원화하여 구성하며 BOM 관리, 영업, 구매를 포함하는 ERP 기능 중 재무와 회계를 제외한 영역을 모두 제공한다.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제조 운영 플랫폼 도입 전략에 대해 지난 9월 20일 열린 ‘스마트제조 지능화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8’에서 티라유텍 박성식 이사가 강연한 내용을 정리했다. [편집자 주] ▲ 티라유텍 박성식 이사 유연한 생산시스템은 유연한 IT와 OT 기술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그런데 대부분은 현장 개선과 시스템 도입이 기술과 자금의 부담으로 연결되어 일관되게 추진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개선 활동이 이루어진다고 해도 생산성 혁신 플롯 실행 단계에서 멈춘다. 앞으로 IT/OT화는 물론,
[첨단 헬로티] MBE((Model Based Engineering)는 설계가 되는 3D 모델을 해석이나 제조나 협업, 품질검사, 데이터 관리, 양산까지 공유한다는 개념으로, 소프트웨어 기반이기 때문에 저렴하게 스마트 제조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핵심은 공유다. MBE는 각각의 팀들에 통합과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성과를 높이는 게 목적이다. 본 콘텐츠는 지난 9월 20일 ‘스마트공장 지능화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8’에서 씨엘에스 박철 대표가 발표한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솔리드웍스 MBE & 3D 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정리한 것이다. [편집자 주] ▲ 씨엘에스 박철 대표 모든 산업이 수요의 흐름을 따라가듯 4차 산업혁명 시대 역시 소비자들이 좀더 스마트하고 맞춤화된 제품을 선호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양질의 제품을 빨리 그리고 많이 만들어 값싸게 제공할 수 있던 과거와는 다른 양상이다. 이 시대 제조업에서는 모바일, 클라우드, 빅데이터, IoT 등 여러 가지 기술을 스마트팩토리 제조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그리고 사이버물리시스템(CPS, Cyber Phsical System)에 기반해 제품을 먼저
[첨단 헬로티] 빅데이터 활용의 대표적인 예가 예지보전이다. 예지보전이란,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부분이다. 어떤 큰 사고가 터진 다음에 해결하려면 큰 비용이 들지만, 그것을 미리 찾아서 해결한다면 적은 비용으로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래서 예지보전이 중요하다. 따라서 설비관리의 패러다임 역시 사후 정비에서 예방 정비, 그리고 다시 예측 정비로 변화하고 있다. 플랜트 운영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의 설비 예지보전의 국내외 구축 사례에 대해 지난 9월 20일 열린 ‘스마트제조 지능화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8’에서 BNF테크놀로지 김태경 차장이 강연한 내용을 정리했다.[편집자 주] ▲ BNF테크놀로지 김태경 차장 인터내셔널데이터그룹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5년에는 약 800억 개의 디바이스가 서로 연결되고 통신이 된다고 한다. 그리고 800억 개의 디바이스에서 나오는 데이터는 180조 GB가 될 것이다. 엄청난 양이다. 그래서 빅데이터에 대해 얘기할 때 실제로 엄청난 수량인 180조 GB를 빅데이터라 부르기도 한다. 예지보전이 중요한 이유 빅데이터는 3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는 용량이다. 둘
[첨단 헬로티] 사람의 작업을 대체할 로봇이 등장하고, 자동화 기술이 발달하면서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하지만 현재 공장을 가동하는 사람들에게 스마트 팩토리는 꿈만 같은 일인 경우가 많다.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하기 위해선 상당한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이에 현재 공장 시스템을 크게 변화하지 않고, 스마트 팩토리의 기능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B&R Automation 사재훈 차장이 ‘OEM을 위한 Open Edge Architecture 개념의 Smart factory 구축’을 주제로 발표한 강연 내용을 정리했다.[편집자 주] ▲ B&R Automation 사재훈 차장 “스마트 팩토리를 구성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새 공장을 짓는 것입니다. 하지만 비용 문제가 만만치 않을 겁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공장을 자동화로 바꿔야 합니다. 자동화된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수집된 이후에는 지능화된 플랫폼을 적용해야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공장은 아직 자동화가 되지 않았고, 데이터 수집도 안 된 부분이 많습니다. 그래서 빅데이터나 솔루션으로 예측해서 플랫폼을 구축하려는 시
[첨단 헬로티] 스마트 팩토리를 한마디로 정의하면 공장이 자율적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즉, 생산 설비에서 나오는 수많은 데이터를 가능하면 사람의 개입 없이 처리하고 피드백을 줘서 자율적으로 돌아가게 하는 것이 핵심이다. 하지만 국내 중소기업이 스마트 팩토리를 그대로 따라 하기에는 상황이 녹록치 않다. 생산 인력 감소와 노후화된 인프라, 그리고 인력 부족으로 숙련공의 노하우가 전수되지 않기 때문이다. 마크베이스는 Coach(코치) 컨소시엄으로 중소 중견기업의 눈높이에 맞는 최적 솔루션을 제공한다. 스마트 팩토리를 위한 컨소시엄과 스마트 팩토리의 방향에 대해 지난 9월 20일 열린 ‘스마트제조 지능화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8’에서 마크베이스 김성진 대표가 강연한 내용을 정리했다. [편집자 주] ▲ 마크베이스 김성진 대표 최근 너무나 많은 미디어와 혹은 매체에서 인더스트리4.0이라는 화두를 통해 스마트공장 관련 내용을 말하고 있다. 하나의 트렌드이지만 어떻게 보면 전 세계 기업, 인류가 맞이하는 새로운 패러다임 시프트라고 본다. 기업이 이 변화에 적응하고 시류에 맞춰서 가는 건 당연한 일이다. 국내 제조업의 과제 그러면 왜 인더스트리
[첨단 헬로티] 5G 스마트 팩토리라는 말을 상당히 많이 쓴다. 5G 스마트 팩토리는 5G 융합 생산공정 혁신 기술 개발, 5G 융합 산업 네트워크 서비스 기술 개발, 스마트 팩토리 5G 플랫폼 기반 응용서비스 개발로 나눠진다. 이미 유럽에서는 관련 프로젝트가 시작했다. 이 글은 지난 9월 20일 ‘스마트공장 지능화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8’에서 성균관대학교 정종필 교수가 발표한 ‘5G 기반 스마트팩토리 딥러닝 모델 개발 방안’을 정리한 것이다. [편집자 주] ▲ 성균관대학교 정종필 교수 올해 인공지능(AI)이 산업 전반에 변화를 주는 해라고 이야기를 많이 한다. 그리고 5G는 새로운 비즈니스 혁신을 추구하면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가속화 시킬 것이라고 전망한다. 이 두 가지 키워드가 미래 산업을 이끌어갈 핵심이다. 특히 5G는 산업 구조를 넘어 사회 구조를 혁신시킬 수 있는 기술이라고 본다. AI 기술 또한 중요하다. 다만 이 기술에 큰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다. AI의 중요성을 판가름할 수 있는 것은 데이터다. 따라서 데이터가 얼마나 가치 있고, 얼마나 많은가에 더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4차 산
[첨단 헬로티] 스마트 팩토리의 핵심은 EMI(전사적 제조 지능)를 어떻게 구현하느냐에 따라 고도화의 성패가 좌우된다. 즉, EMI란 실시간 정보 확인을 통해 빠른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것으로, 어떤 일이 있었는지, 왜 이 현상이 발생했는지, 앞으로 어떤 일이 발생할지, 그리고 지금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하는지를 시스템이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 예측, 처방 및 이행하는 형태로 진화해 가고 있다. 스마트제조 진화와 최신 플랫폼 동향에 대해 지난 9월 20일 열린 ‘스마트제조 지능화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8’에서 로크웰오토메이션 코리아 권오혁 부장이 강연한 내용을 정리했다. [편집자 주] ▲ 로크웰오토메이션 코리아 권오혁 부장 지금까지 많은 공장은 데이터가 아래에서부터 위로 취합되어 올라가고 현장의 엔지니어나 운영자보다는 경영자에게 모든 정보가 집중되고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계층적 구조였다. 그러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하게 되면 누구나 정보를 가져다 쓸 수 있고 의사결정도 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데이터 정보가 공유되어야 하고 정보들이 실시간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그리고 정보를 원활하게 주고받을 수 있도록 보안을 기반으
[첨단 헬로티] 미쓰비시전기의 e-F@ctory는 생산 현장의 ‘개선’, ‘분석’, ‘가시화’, ‘사용화’에 의한 기업가치 향상을 지원하다. 또한, 현장뿐만 아니라 가치사슬, 그리고 공급사슬 전체에 최적화를 가져온다. 즉, FA와 IT 기술을 활용한 제조업 전반에 걸친 토탈 솔루션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미쓰비시전기이 제안에 대해 지난 9월 20일 열린 ‘스마트제조 지능화 베스트 프렉티스 컨퍼런스 2018’에서 미쓰비시전기 미나미자와 카즈나리 그룹장이 강연한 내용을 정리했다. [편집자 주] ▲ 미쓰비시전기 미나미자와 카즈나리 그룹장 최근 사회 전반적으로 정보화 진전, 인구구조의 변화, 급속한 도시화, 세계 정세의 변화 등 메가 트렌드로 나타나는 다양한 환경 변화에 따라 제조업에 대한 과제도 보다 복잡하고 다양해졌다. 제조업을 둘러싼 비즈니스 환경은 고객 니즈의 다양화와 고도화와 함께 센싱을 통한 데이터 수집, 5G라는 통신 기술의 발달, 클라우드/엣지컴퓨팅의 데이터 처리기술, 인공지능/시뮬레이션을 통한 데이터 해석기술 등 IT의
[첨단 헬로티]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와 솔루션으로 차별화된 전략 쏟아내 이번 전시회에서는 다양한 IoT 서비스와 솔루션이 대거 등장했다. 각 산업에 특화된 이러한 서비스와 솔루션은 각각의 특장점으로 두각을 나타냈으며, 각 기업의 비즈니스의 하나로 자리잡아나갈 것으로 보인다. 주목받은 IoT 서비스와 솔루션을 각 업체별로 정리했다. ARM, Arm 펠리언 IoT 플랫폼, Arm Mbed OS ARM은 Arm 펠리언 IoT 플랫폼, Arm Mbed OS을 전시하며 차별화된 전략을 선보였다. Arm 펠리언 IoT 플랫폼은 기업이 IoT와 기업, 제 3의 데이터로부터 신속하고 안전하며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실용적인 인사이트를 생성할 수 있는 역량을 제공한다. 펠리언 IoT 플랫폼을 통해 기업은 규모를 막론한 IoT 디바이스 및 데이터를 원활하고 안전하게 연결 및 관리할 수 있다. 퍼블릭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하이브리드 환경 모두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IoT 시스템 아키텍처에 최고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기업은 이를 통해 IoT 및 기업 데이터를 신속히 인사이트로 전환시켜 자사 및 자사 고객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 특히, 이 플랫폼은 모든
[첨단 헬로티] LoRa, NB-IoT 등 IoT 규격에 맞추고, 보안 기능 업그레이드 IoT 생태계 구현을 위한 IoT 하드웨어가 보다 강력해지고 있다. 보안 기능이 업그레이드됐고, IoT용 모듈과 센서는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성공적인 IoT 환경 구현을 위해 특수한 목적을 갖고 출시되는 IoT 하드웨어를 각 업체별로 정리했다. SK텔레시스, LoRa 네트워크 구성요소 및 IoT 서비스 및 솔루션 SK텔레시스는 LoRa Gateway, Network Server, IoT Platform 등 LoRa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필수요소를 갖추고 있으며, Gateway의 실시간 상태점검 및 안정적인 운영/관리를 위한 Web-UI 기반의 EMS(G-EMS)를 제공하고 있다. Gateway는 옥외형과 옥내형이 구분되어 있어 설치 및 서비스 장소에 맞추어 선택하여 구축 가능하다. LoRa통신망은 공공 사물인터넷 서비스 자가망을 구축할 수 있는 국내 유일한 솔루션으로 통신사업자 회선임대 없이 직접 망을 구축하여 예산절감 및 수요기반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 SK텔레시스-LoRa 인프라 솔루션 SK텔레시스는 Radar 방식의 센싱 등 최신 IoT 기술
[첨단 헬로티] 네톰, 아이디로, 엔이아이디, 에이펄스테크, 이그잭스, 택트레이서 등 주목받아 2018 사물인터넷국제전시회는 RFID 전문업체들의 활약이 빛났다. 한단계 진화된 기술을 들고 나온 이들 업체의 제품과 서비스, 솔루션은 참관객들의 주목을 받기에 충분했다. 특히, 이그잭스가 선보인 듀얼태그와 택트레이서의 자율주행 기반 재고관리 자동화 로봇은 이슈메이커로써의 역할을 톡톡히 했다. 네톰, 차별화된 RFID 하드웨어 RFID 전문업체인 네톰은 차별화된 RFID 하드웨어를 선보였다. UHF 900MHz RFID 리더 '스윙-유'는 선형편파 안테나를 탑재해 ISO-18000-6C/EPCGlobal Class1 Generation2 규격의 RFID 태그를 타장비에 비해 멀고 빠르게 인식하는 장비다. ▲ 네톰의 스윙유 펜 리더인 UHF 900MHz RFID 펜타입 리더는 근역장 안테나를 탑재한 ISO-18000-6C/EPCGlobal Class1 Generation2 규격의 RFID 태그를 근거리에서 인식할 수 있는 장비다. 펜 타입으로 되어 있어 소지하기 편하고 1개의 태그를 점지하는 방식으로 개별 인식이 가능하다. ▲ 네톰의 팬리더 스마트 박스인 UHF 9
[첨단 헬로티] 오토모티브, IoT, 인공지능 기술 강화 중심으로 인수 진행 반도체 업계는 지난 3년 대규모의 인수합병(M&A)으로 인해 시장의 규모와 매출 순위 등이 재편되며 큰 변화를 맞이했으나, 올해 들어 규모가 대폭 줄어든 추세다. 그러나 규모 면에서 축소됐을 뿐, 신기술 확보를 목표로 반도체 업계의 인수합병은 여전히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발표된 반도체 업계의 대형 인수합병 10건 중 8건은 과거 3년 동안 이뤄졌다. 시장조사기관 IC인사이츠의 집계 기준에 따르면 반도체 인수합병은 2015년에 최고 1073억 달러의 반도체 인수 계약이 발표됐고, 2016년은 두 번째로 높은 규모로 총 998억 달러에 도달했다. 2017년에는 총 283억 달러였다. 2018년 상반기에 발표된 인수합병 규모는 약 96억 달러를 기록했다. IC인사이츠는 “반도체 인수합병은 거래 규모에 있어서는 정점에 달했을 가능성이 높다. 공급 업체의 국내 기술을 보호하려는 정부의 엄격한 감시, 글로벌 무역 마찰 상승, 대기업 결합의 복잡성, 칩 합병 계약의 달러 가치 상승 등 다양한 요소의 결합이 반도체의 대규모 거래를 저해시키고 있다”고 분석했
[첨단 헬로티] 디지털 트윈을 하는 이유는 크게 2가지이다.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 또는 프로세스를 개선할 것인가인데, 현대제철은 프로세스 개선에 중점을 뒀다. 즉, 제조 현장에서 문제 해결보다는 공장을 지금보다 어떻게 잘 움직이게 할 것이냐에 초점을 둔 것이다. 현대제철은 제철 스마트 플랫폼을 만들어 2년 동안 디지털 트윈을 구축해왔다. 지난 9월 3일 한국기술센터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디지털 트윈 활용 및 표준화 워크숍’에서 현대제철 이정한 박사가 제철 스마트 플랫폼을 활용한 디지털 트윈 시범 구축에 대해 강연한 내용을 정리했다. [편집자주] ▲ 제조 현장에서 디지털 트윈은 문제 해결보다는 공장을 지금보다 어떻게 잘 움직이게 할 것이냐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현대제철은 프로세스 개선에 중점을 뒀다. 현재제철이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스마트 공장과 자동화 공장의 차이점이 뭐냐는 것이었다. 스마트 공장을 위한 솔루션만을 놓고 보면 자동화 공장과 큰 차이는 없다. 그러면 이 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현대제철 나름대로 정의하면, 자동화 공장은 자동화 시스템, 로봇 등 하드웨어적으로 자동화를 하는 반면, 스마트 공장은 하드
[첨단 헬로티] 제조업 측면에서 디지털 트윈은 처음 제품을 설계하고, 고객에게 주문을 받아서 인디비주얼 프로덕트를 만들고 납품하여 제대로 운용되도록 하는 모든 과정까지를 프로덕트 라이프사이클로 본다. 그리고 그 시작은 높은 단계의 기술 성숙을 기다리기보다는 풀고자 하는 문제에 맞춰서 일단 작은 데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지난 9월 3일 한국기술센터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디지털 트윈 활용 및 표준화 워크숍’에서 SAP코리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부문 정대영 부문장이 디지털 트윈 제조의 생애주기 관리에 대해 강연한 내용을 정리했다. [편집자주] ▲ 디지털 트윈을 통한 제품 라이프사이클의 트렌드를 보면 제조업체에서 제품을 팔고 나면 그것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서비스 전문업체나 고객사, 또는 제조업체가 고객 파트너와 함께 제품의 수명주기가 다할 때까지 관리하는 모습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디지털 트윈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일반적인 디지털 트윈의 정의는 이렇다. 우선 현실 공간의 피지컬 프로덕트와 에셋이 있을 것이고, 이것을 사이버 공간상에서 표현하는 버추얼 프로덕트와 에셋이 있다. 그리고 이 2가지를 연결하는 IoT, 빅데이터, 엣지 컴퓨팅, 머
[첨단 헬로티] 디지털 트윈은 수요산업의 부가가치로 이어질 것이며, 특히 향후 10년 동안은 팩토리 분야에서 가장 큰 수혜가 예상된다. 그 이유는 산업에서 저성장 위기를 가장 절실하게 느끼는 분야가 팩토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들은 생산성 향상을 위한 대안으로 디지털 트윈에 주목하고 있다. 지난 9월 3일 한국기술센터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디지털 트윈 활용 및 표준화 워크숍’에서 포스코 김영훈 수석연구원이 디지털 트윈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해 강연한 내용을 정리했다. [편집자주] ▲ 제조기업들은 생산성 향상을 위한 대안으로 디지털 트윈에 주목하고 있다. 디지털 트윈이란, 물리적(Physical) 세계와 디지털(Digital) 세계의 통합이라고 할 수 있다. 단지 사물들이 정보나 데이터로 변환되는 것을 뛰어넘어서 주체적인 의사결정을 하고 데이터를 스스로 생산해 내는 개념까지 포함한다. 즉, 센서가 달려서 물리적 사물들이 나는 누구이고, 내가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어떤 파트너와 일을 해야 하는지를 인식하는 것이 전제조건이 되어야 한다. 그렇게 해서 발전된 자산은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정보와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