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필소베네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필소베네(대표 최홍석)는 SF+AW 2021에서 루시드비전랩, 마인드비전, 아이텍 등의 차별화된 머신비전 제품들을 선보일 예정이다. 필소베네에서 소개할 루시드비전에서는 GigE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0.4MP~20MP까지 다양한 해상도를 가진 2D 비전 카메라 Phoenix를 출시하고 있다. 이 카메라는 하우징 없이 보드 형태의 카메라로 이외에도 크기가 작고, 별도의 킷을 사용하여 다양한 각도로 변환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5GigE, 10GigE 카메라 외 가성비가 매우 뛰어난 TOF 센서인 Helios2 제품도 전시된다. 마인드비전은 GigE, USB 3.0, 10GigE 등 인터페이스와 Sony 센서 외 Aptina, PYTHON 등 다양한 센서를 탑재한 머신비전 카메라 제조사다. 2D 비전 외 고객들이 원하는 엔진을 탑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카메라와 GigE 기반의 라인스캔 카메라 제품군도 전시된다. 아이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오토닉스는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오토닉스(대표 박용진)는 SF+AW 2021에서 레이저 변위 센서 BD Series, 세이프티 라이트 커튼/컨트롤러/스위치, 그래픽 패널/로직 패널 GP/LP-A Series 등 차별화된 자동화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레이저 변위 센서 BD 시리즈는 검출 대상의 색상이나 재질에 대한 영향이 적어 안정적인 변위량 측정을 통해 검출 대상의 두께, 폭, 단차, 들뜸, 굴곡, 평탄도 등의 측정이 가능하다. 특히 센서 헤드와 센서 앰프 유닛 분리형 구조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상호간섭방지기능 탑재로 최대 8대의 센서 앰프 유닛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번 전시회에 그래픽 패널/로직 패널 GP/LP-A Series도 전시된다. 그래픽 패널 GP-A 시리즈와 PLC/HMI/입출력 모듈 일체형 로직 패널 LP-A 시리즈는 10.4인치/7인치/5.7인치/4.6인치 TFT LCD 채용으로 뛰어난 시인성과 데이터 활용 범위 확장을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로아스는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로아스는 (대표 주용, 김창구)는 SF+AW 2021에서 다양한 3D 비전 카메라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딥 러닝, 모션 플래닝 등의 고급 기술을 통해 Mech-Mind는 물류 및 제조 고객에게 낮은 비용으로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지능형 산업용 로봇 솔루션을 제공한다. 로아스의 솔루션은 디팔레타이징, 팔레타이징, 머신 텐딩, Bin-picking, Sorting, 위치 탐색, 접착, 키팅 및 조립 등 여러 응용 분야를 지원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일 Mech-Eye Log M은 고정밀 및 반사 방지. 어두운 표면과 복잡한 구조를 가진 다양한 물체를 잘 인식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복잡한 상황을 처리할 수 있다. Mech-Eye Deep은 다양한 공통 파렛트 패턴에 적용 가능하고, Mech-Eye Laser L은 레이저에서 생성된 구조화된 조명을 사용하여 주변 광 저항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면서 고정밀과 고속을 유지한다. 로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온비젼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온비젼(대표 오승원, 박성환)은 SF+AW 2021에서 Imperx TEC Camera Series, Mikrotron EoSens 21CXP2, Kaya Instruments Iron CXP 0505 등 차별화된 머신비전 카메라를 선보일 예정이다. 온비젼이 전시회에 선보일 Imperx TEC Camera Series는 ▲TEC: Up to 20°C below camera heat sink temperature ▲TEC Control: On, Off, Auto ▲Interface: Camera Link, GigE Vision ▲Resolution: 17MP, 20MP, 31MP ▲Pixel Size: 3.45μm ▲Dynamic Range: 71 dB 등의 특징이 있다. 이와함께 선보일 Mikrotron EoSens 21CXP2는 ▲Interface: CoaXPress 2.0 ▲Resolution: 5120 (H) x 4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풍림무약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풍림무약(대표 이정석, 이중철)은 SF+AW 2021에서 CBC사 computar 브랜드의 머신비전 렌즈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일 Computar MPT Series(1.4" 45MP)는 Computar의 머신비전 고정식 렌즈다. 주요 특징으로 ▲MPT Series(C-mount for 1.4INCH Large Format sensor Fixed-Focal Lens) ▲초점 거리: 12/16/25/35/50mm ▲대응센서: IMX530/24MP, IMX492/45MP ▲짧은 W/D (0.1m) , INF에서 높은 MTF 성능, 컴팩트한 디자인 등이 있다. Computar ViSWIR Series(Visible + SWIR)는 가시광부터 SWIR영역까지 대응 가능한 신제품이다. 주요 특징으로는 ▲Hyper Apo Series (C-mount, 2/3") ▲디포커싱 없이 400nm~1700nm까지 폭 넓은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트리비젼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트리비젼(대표 이상호)은 SF+AW 2021에서 고해상도 CXP 카메라_하이크로버트 카메라, 프레임 그래버와 열화상 카메라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트리비젼이 선보일 고해상도 CXP 카메라인 ‘하이크로버트 카메라’는 151메가 머신비전 카메라로, 에어리어 스캔 카메라다. 주요 특징으로 ▲SONY IMX411 Sensor(CMOS) ▲151M(14, 208 x 10, 640 pixels) ▲Cell Size : 3.76um x 3.76um/ frame rate : 6.2fps ▲M72 Mount, optical back focal length 19.55mm(0.8") ▲CoaXPress with DIN Interface ▲MV-CH1510-11XM : 120(W) x 120(H) x 84.6(D)mm ▲MV-CH1510-10XM/C : 100(W) x 100(H) x 74.3(D)mm 등을 들 수 있다. 이와함께 선보일 프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마크베이스는 시계열 데이터베이스를 개발·생산하는 소프트웨어 전문기업이다. IoT 처리 성능 테스트에서 4회 연속 1위를 차지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한 ‘대한민국 소프트웨어 제품 품질대상’ 대상, DNA 100대 혁신 기업 선정, 중소벤처기업부 혁신제품 인증을 받았다. 마크베이스 김성진 대표는 앞으로도 제조 현장의 혁신적인 디지털화를 실현하는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에 기여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Q. 그간 사업 성과는 어땠나. A. 코로나 팬데믹 영향에도 불구하고 마크베이스는 상반기 좋은 성과를 냈다. 엣지마스터에 대한 솔루션 기능 향상과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도 완료했다. 마크베이스는 스마트제조혁신단의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관련 월 구독 상품으로 기업의 부담을 줄이면서 매출을 꾸준히 증가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국내 제조기업 대상 직접 홍보 비율을 높이고 있다. Q. 코로나 뉴노멀 시대에 대응하는 영업 계획은. A. 대면 미팅을 최소화하되 주요 이슈에 대해서는 총체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섬세하게 준비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전문 컨설팅 조직을 통한 핫라인 운영으로 우리 제품을 궁금해 하는 기업에 산업용 DB 및 관련 솔루션에 대한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삼양옵틱스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삼양옵틱스(대표 황충현)는 SF+AW 2021에서 Large format용 머신비전 전용 렌즈 'SMV-90M82', 머신비전 렌즈 F 마운트, 1"~1.1"~1.2" 센서 대응 가능한 C mount 렌즈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Large format용 머신비전 전용 렌즈 ‘SMV-90M82’은 카메라 센서의 Image Circle 82mm까지 적용이 가능한 렌즈로 16K(5um) Line Scan Camera와151Mega Area Camera까지 대응이 가능하다.초점거리는 f=90mm로 설계되었으며 배율이 0.05x에서 최대 0.55x까지 가변되는 방식으로 다양한 검사 장비에 활용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머신비전 전용으로 설계된 ‘SMV-90M82’ MTF 성능은 해당 조건(Mag. 0.05x, 10um pattern인50LP/MM)일때 최대 80% Contrast를 보여 높은 해상력을 나타내고 있으며, Ful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아이모션테크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아이모션테크는 SF+AW 2021에서 나노텍 모터, HP-Vanguard 모터, 전방 장착 전자브레이크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아이모션테크가 취급하는 나노텍 모터로는 스텝 모터, BLDC 모터, 드라이버, 컨트롤러 등이 있다. HP-Vanguard 모터로는 자체 모션 컨트롤러 칩, 소형 너트런너, 태핑 머신 등이 있다. 전방 장착 전자브레이크는 비상 정전 시에 브레이크가 작동해 유닛의 낙하방지 및 정위치를 구현하는 제품이다. 빠른 제동시간의 구현이 가능하고, 적용된 마찰라이닝은 내구성과 수명이 뛰어나다. 아이모션테크는 자동화 모션 솔루션 기업이다. 아이모션테크는 자체 개발품을 비롯해 독일, 스위스, 프랑스 업체의 다양한 모션 드라이버, 컨트롤러, 기어박스, 액츄에이터 등을 판매하고 있다. 아이모션테크는 의료·측정·위성·군사·포장 등 자동화 시장에 필요한 모든 제품을 경쟁력 있는 가격 및 품질로 고객 니즈에 맞게 제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넥스파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넥스파는 SF+AW 2021에서 서보케이블, FA하네스 등 케이블 라인업을 선보일 예정이다. 넥스파는 국내외 각종 서보 접속용 케이블을 제작하고 있다. 미쓰비시 전기, 야스카와 전기, 파나소닉, 오므론, LS산전, LS메카피온 등 국내 유통 중인 서보 접속용 케이블을 삼원액트에서 제조 및 판매하고 있다. 넥스파는 케이블 및 커넥터 재고를 상시 보유하고 있으며, 고정용 케이블, 케이블베어용 가동 케이블, 로보트용 고굴곡 케이블, 서보 접속용 커넥터의 재고 상시 보유로 단납기 및 소량 제작 등 고객 요구에 즉각 대응해왔다. 이뿐 아니라 사용자의 환경에 맞춰 선택하도록 고굴곡의 서보케이블과 중굴곡 및 케이블베어 전용 서보케이블 구분 생산으로 고객 선택의 폭을 젋혔다. 또한, 기성품의 서보케이블 외 특수사양 하네스도 고객 요구에 맞춰 제작하고 있다. 지난 2015년에 설립된 넥스파는 TAIYO FA로봇 케이블을 시작으로 HITA
헬로티 전자기술 기자 | 온로봇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온로봇은 SF+AW 2021에서 전동 그리퍼 등 당사의 라인업을 선보일 예정이다. 온로봇이 갖춘 라인업은 모든 제품이 별도 에어라인 없이 전기만으로 구동된다. 그립 시 너비, 포스 값과 그립 여부를 리턴해 줄 수 있다. 대표 제품으로는 2핑거 및 3핑거 그리퍼, 컴프레셔가 내장된 전동식 진공그리퍼, 표면 연마나 폴리싱을 위한 샌더, 2.5D 비전(2D+Depth) 등이 있다. 온로봇은 협업 응용 분야를 위한 완전한 플러그 앤 프로듀스 EoAT(end-of-arm tooling)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당사의 그리퍼, 센서 및 툴 체인저는 제조업체가 작업자와 함께 협업 및 경량 산업용 로봇의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게 해준다. 특히 당사의 EoAT 제품은 중소규모 제조업체가 유연성과 생산성을 높이고 품질을 개선해 제조 프로세스를 최적화할 뿐 아니라 고객사 비즈니스를 성장시키게 해준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인더케그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인더케그는 언제 어디서나 바로 만든 맥주를 마실 수 있는 스마트 브루어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인더케그는 SF+AW 2021에서 수제맥주 발효 숙성 기기 및 스마트케그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인더케그의 스마트 브루어리 플랫폼은 스마트케그 안의 맥즙을 맥주로 제조해주는 인더케그 기기를 통해 누구라도 신선한 맥주를 제조·발효·숙성·보관하고 10가지 다른 18리터 맥주를 판매할 수 있는 B2B용 솔루션이다. 인더케그 기기는 3중 산화 방지 기술로 최장 6개월까지 최초 만들어진 순간의 맥주 맛을 유지하고, 설치된 그 자리에서 바로 맥주 제공이 가능해 별도의 유통과정이 필요 없어 갓 만들어진 맥주를 가장 신선하고 다양하게 즐긴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는 오는 9월 8일부터 10일까지 코엑스1층과 3층 전관을 사용하는 국내 최대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산업 전시회로, 스마트공장엑스포(SmartFactor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에스피오는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에스피오(대표 이상태)는 SF+AW 2021에서 머신비전용 광학 렌즈, 특수 광학계, 3D 검사 광학 모듈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에스피오가 전시할 머신비전용 광학 렌즈 중 Double Side Telecentric Lens는 물체 측 및 이미지 측 이 Telecentric 렌즈를 의미하며 일반적인 Telecentric 렌즈(물체측)와 달리 이미지 측(센서)에서도 심도 내에서 배율 변화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정밀 측정이 요구되는 자동차 부품 검사(튜브, 스크류&볼트, 브레이크 패드 등), 핸드폰 검사(배터리, 케이스, PCB 홀), 드릴링 홀 및 엣지 검사에 아주 유용하며 Telecentric 조명을 사용하여 좀 더 정밀하고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다. 머신비전 분야 및 계측 산업현장에서는 미세 측정 및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3차원 측정 및 검사를 요구하고 있다. 비 접촉식 3차원 형상측정은 광학적 측정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노비텍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노비텍(대표 이준영)은 3D 형상 획득 장치인 ‘Swing 3D’, Laser Triangulation 방식의 3D 카메라 ‘g-Nova3D’, 줌렌즈 일체형 IP 카메라 ‘i-Nova3-Zoom’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Swing 3D는 국내 기술로 개발된 고속 3D 형상 획득 장치로 Bin Picking을 포함한 다양한 Robot Vision Application에 필요한 3D 데이터를 빠르고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초고속 CMOS 센서와 Rotating Line Laser 모듈을 탑재하여 정지 상태에서 3D 데이터 획득이 불가능한 기존 광 삼각법 기반의 센서의 단점을 보완하였다. 고속 FPGA와 DSP를 탑재하여 실시간 데이터 획득 및 전송이 가능하며 GenIcam 프로토콜 기반의 Gigabit Ethernet 통신을 지원한다. Base Line 확장이 가능한 Modular Design이 적용되어 다양한 FOV 지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디에이큐시스템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디에이큐시스템(대표 김상열)은 SF+AW 2021에서 산업에 특화된 영상지원 보드, 광수신 보드, 광전송 보드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USB3-FRM20 보드는 센서 보드의 C-PHY 또는 D-PHY MIPI (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신호를 USB3.0 Super Speed(5Gbps) 방식으로 PC에 전송한다. C-PHY 또는 D-PHY 두 신호는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받은 신호는 PC 단에서 디에이큐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로 처리되어 영상으로 표시된다. USB3-FRM20의 경우 전체적인 제어를 FPGA Core Logic에서 담당을 하고 있다. 주요 기능으로는 External I/O 커넥터를 통해 C-PHY 또는 D-PHY MIPI Image Frame Data 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기능들은 USB 3.0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PC에서 A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