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캔탑스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캔탑스(대표 오학서)는 SF+AW 2021에서 FOUP Sensor, RFID Reader LM21·LM24, FOUP Sensor 제품을 전시한다. 캔탑스의 Hybrid-PIO(Parallel Input/Output)는 반도체 및 LCD 공장의 AMHS(Automatic Material Handling System) 구성 시 필요한 제품이다. Vehicle(AGV/OHT)과 설비 간에 Input/Output 신호를 무선으로 주고 받는 장치로, 노이즈가 많은 공장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술과 노하우가 집약된 제품이다. RFID Reader LM21·LM24는 134.2K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RFID Reader로 ISO11784 & ISO11785 규격의 Transponder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작됐다. 다양한 노이즈 환경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최적화되어 반도체 라인의 물류 관리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삼인이엔지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삼인이엔지(대표 최길웅)는 SF+AW 2021에서 플렉스리프트 SAV-Type 제품을 전시한다. 삼인이엔지가 전시하는 플렉스리프트 SAV-Type은 진공흡착방식의 중량물이송장치로, 간단한 조작방식과 빠른 작업속도로 반복적인 작업에 효과적이며, 조립 및 물류 운반, 적재가 있는 어느 곳이든 활용할 수 있다. 각종 제조업, 물류 산업, 식품 산업, 제약/화학 산업 등 모든 산업군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플렉스리프트 SAV-type은 낮은 천장, 복잡한 현장, 클린룸 등 사용이 까다로운 현장에서도 사용된다. 이동식, 배터리 충전식, 화물차에 부착하는 부착식 등의 제품으로 현장의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삼인이엔지는 고객의 생산성향상과 경쟁력 향상에 초점을 맞춘 참신한 아이디어의 제품들을 개발하고 있다. 각종 특허 출원과 품질인증을 획득하고 국내 및 해외수출을 위한 마케팅 사업 추진을 통한 시장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쓰리뷰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쓰리뷰(대표 김희명)는 SF+AW 2021에서 공정감시장치_MachineView(P/F 시스템), FactoryView(MES), ProcessView(POP), PlanView(APS)을 선보인다. 다가오는 Industry 4.0 환경의 핵심 역량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수집, 분석, 통합 관리 능력이다. FactoryView는 최첨단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해 생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빠르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실시간 데이터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쓰리뷰는 MES, POP, APS, 현황판 프로그램 등 소프트웨어 뿐 아니라 공정감시장치 MachineView, 멀티 터미널, IoT 디바이스, SPC 인터페이스 등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하드웨어도 직접 제조하고 있다. 공정감시장치 MachineView는 인공지능을 이용해 자동으로 공정을 감시하는 공정감시 장치다. 공정감시뿐만 아니라 실시간으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로보트로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로보트로(대표 이규원)는 SF+AW 2021에서 델타로봇 제품을 전시한다. 로보트로가 전시하는 델타로봇은 타 로봇 시스템에서는 볼 수 없는 컴팩트한 크기로 인해 기존에 시공된 조립/검사 프로세스와 시스템이 큰 변화 없이 적용되며, 새로운 로봇 시스템을 익히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아 새로운 델타로봇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다. 로보트로는 스마트폰 렌즈 조립에 사용되는 소형 델타 로봇을 탑재하고 자체 개발한 모션 컨트롤러와 모터드라이버를 적용해 타사 대비 절반 정도의 크기로 소형화를 달성했다. 로보트로는 스마트폰 렌즈 조립라인 등에 사용되는 소형/정밀 델타로봇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체 개발된 모션 컨트롤러 및 모터 드라이버를 적용해 타사 대비 약 ½의 사이즈로 소형화를 달성했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Smart Factory+AutomationWorld 2021)는 오는 9월 8일부터 10일까지 코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유진로봇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유진로봇(대표 박성주)은 SF+AW 2021에서 유진 라이다, 자율주행 모바일 플랫폼을 선보인다. YUJIN LiDAR는 사물감지, Mapping, SLAM, Navigation 등 다양한 환경에 최적화된 실내용 2D / 3D LiDAR 센서다. 유진 라이다는 ToF (Time of Flight) 싱글채널, 수직 스캔 각도 조절, ROS 호환, 높은 가성비, 콤팩트한 사이즈, 넓은 시야각의 특징이 있다. 자율주행 모바일 플랫폼으로 GoCart180 & 250을 선보인다. GoCart는 dynamic한 성격의 여러 물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율 물류배송 시스템이다. 독자적인 3D ToF LiDAR 기반의 지능형 내비게이션을 통해 부가적인 인식표시 없이도 정확한 내비게이션과 장애물 회피를 지원한다. 주요 특징으로는 FMS (Fleet Management System) 지원, YUJIN 3D LiDAR 기반의 3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앤비젼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앤비젼(대표 김덕표)은 SF+AW 2021에서 스마트 카메라, 비전 센서, 머신비전 산업용 카메라를 선보인다. 앤비젼에서 제공하는 Huaray X86 smart camera는 Windows 10이 탑재된 PC 개념의 스마트 카메라로 하나의 장치에서 PC와 카메라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 카메라로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이미지 처리 알고리즘(Pattern matching, OCR, 치수 측정 등)을 Windows 10 환경에서 쉽고 간편한 Flow Chart 방식으로 수정하고, 현장에 맞게 최적화할 수 있다. Huaray X86 smart camera 시리즈는 컴팩트한 크기로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높인 실용적인 스마트 카메라다. LCI 기술은 Line Confocal Imaging의 약자로 백색광에서 분산된 파장별 높이 정보가 카메라 센서의 각 라인별로 매칭되어 실시간으로 제품의 단면을 측정하는 특허 기술이다. LC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비오티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비오티(대표 이규백)는 SF+AW 2021에서 리크디텍터를 선보인다. 비오티의 Leak Test System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업종에 15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의 Needs에 맞추어 개발을 시작했다. 실질적으로 Leak Tester는 반도체, LCD 장비의 Unit 및 Part, Utility 등의 첨단 IT제조 분야 외 전산업계에 기밀품, 용접 구조물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자동차, 건설, 식품, 의약품, 화장품, 전자제품 관련 PART 등의 기체나 액체의 밀봉상태를 측정하는 기밀도 테스트와 더불어 수분침투, 오염, 누수 등 제품의 기밀상태, 안전도를 담보하는 관련 Test는 모든 산업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이뤄진다. 특히,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및 IT 부품의 경우 기밀도 테스트를 요하는 부품이 많으며, 안정적인 P/M을 위해 다수의 Stock Parts를 보유하게 된다. 장기 Stock Parts의 경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로거테크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로거테크(대표 양동육)은 SF+AW 2021에서 진동센서, 진동 계측 장비, 진동 계측 시스템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일 본질 안전 방폭형 진동 속도센서는 RMS 속도 진동 센서에 비례하는 본질안전 방폭형 4~20mA 진동속도센서다. 대부분의 PLC, DCS, SCADA 및 플랜트 정보(PI) 시스템과 호환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진동 가속도 센서는 공장 자동화 설비(생산, 이송 등등)의 설비를 장시간 가동시 일어날 수 있는 설비의 이상 유무를 진동 감지한다. 주로 설비의 모터, 기어박스, 베어링 부위에 부착하여 설비의 진동 상태를 측정한다. 설비 진동 모니터링 시스템은 공장 자동화 설비(생산, 이송 등등)의 설비에 진동 감지하는 센서를 부착하여 설비의 (모터, 기어박스, 베어링 등) 상태 감시 및 설비의 이상유무를 판정한다. 로거테크는 진동 데이터 로깅 업계에서 SERVO / MEMS 유형 가속도 센서,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뉴로클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 최근 출시된 딥러닝 비전 소프트웨어 ‘Neuro-T & Neuro-R’의 2.3버전을 선보일 예정이다. 뉴로클의 딥러닝 비전 소프트웨어인 뉴로티&뉴로알(Neuro-T & Neuro-R)은 △오토 딥러닝 알고리즘(클릭과 드래그만으로 딥러닝 모델 자동생성) △데이터 관리 시스템(체계적인 학습 데이터 관리 구조) 등의 장점을 바탕으로, 전기·전자/반도체/PCB/배터리/자동차부품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기술 지식에 관계없이 손쉽게 기술을 도입할 수 있는 제품이다. 제품 핵심 기능 Neuro-T와 Neuro-R을 이용하면, 비전 검사 목적에 맞게 5가지의 딥러닝 모델을 활용하고 공정에 적용할 수 있다. 1. Classification 이미지를 유형(Class)별로 구분하는 기능이다. 사용자가 다양한 이미지를 Class별로 태깅하여 학습을 통해 모델을 생성하면, 비슷한 이미지들을 유형별로 구분해주는 역할을 한다. 2. Segmentation 이미지 내 유형별 영역을 구분해주는 기능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세이프티아(대표 서재민)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세이프티아는 공학기술을 IT 기술과 접목하여 공학솔루션 개발 및 전문가 시스템 구축 등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화된 시스템을 개발, 공급하는 기업이다. 이번 SF+AW 2021에서는 스마트공장 협업 패키지를 선보인다. 스마트공장 협업 패키지는 화학플랜트에서 운영되고 있는 장치설비의 상태평가 및 수명 예측을 통해 화학플랜트에서 운영하는 설비를 효과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한 솔루션이다. 세이프티아는 이 솔루션을 통해 설비의 설계, 설치, 운영, 검사, 정비와 관련된 데이터를 종합 관리할 수 있는 기능과 이를 기반으로 상태 등급 결정 기능 그리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운영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솔루션 구현을 위한 주요 모듈로는 ▲설비 검사관리 시스템(IDMS) ▲예방점검 관리시스템(CMMS) ▲위험도평가 관리 시스템(RBI) ▲매설 배관 통합 관리 시스템 등이 있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위즈코어(대표 박덕근)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위즈코어는 빅데이터 및 스마트공장 솔루션 전문기업으로, 120여 개 기업에 제조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인 ‘넥스폼’을 구축했다. 주요 제품에는 스마트공장에 특화된 생산관리 시스템 넥스엠이에스(NEXMES), 제조현장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 넥스폼(NEXPOM) 등이 있으며, 이번 SF+AW 2021에서도 이러한 솔루션을 선보인다. 넥스폼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 언제 어디서나 공장의 운영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생산 현황과 시스템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스마트공장 통합관리 플랫폼이다. 넥스폼은 모든 공장의 장비들을 연결하여 품질 데이터 수집, 표준화, 통합, 분석,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한다. 넥스폼 플랫폼에는 MES, 모니터링과 같은 제조시스템이 이미 모듈화 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한 모듈만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후 시스템을 확장할 경우에도 넥스폼 하나로 통합 관리가 가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엑센솔루션(대표 오세곡)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엑센솔루션은 기계, 자동차, 전기전자 및 식음료 제조업의 공정 관리 및 빌딩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에 전념해 온 솔루션 기반의 IT전문 기업이다. 이번 SF+AW 2021에서는 제조실행시스템 ‘비쥬얼팩토리3.0(Visual FACTORY 3.0)’을 선보인다. 비쥬얼팩토리3.0은 200개 이상 사업장에서 적용 및 검증된 제조현장 중심의 자동화 및 현장관리, 생산운영 지원 제조실행시스템(MES)이다. 비쥬얼팩토리3.0은 ▲제조현장의 실시간 Data를 수집 ▲주문제품의 투입에서 출하까지 생산활동 최적화 지원 ▲제조현장의 Loss에 대한 Fact Open 및 4M 최적 운영 정보 제공 ▲변화에 신속한 대응 및 사전관리, 제조이력 추적 확보를 할 수 있는 실시간 기업경영 지원 솔루션이다. 이 솔루션은 시스템 관리, 기준정보관리, 작업지시관리, 생산진행관리, 생산실적관리, 재공관리, 생산성관리, 금형/To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노바인스트루먼트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노바인스트루먼트(대표 이병덕)는 SF+AW 2021에서 노점측정기, 압력 센서, 데이터로거를 선보인다. 노바인스트루먼트는 독일의 CS-Instruments, Halstrup Walcher, 미국의 SBIR, 그 외 Time Electronics, AOIP, Aralab, Termex 등 다양한 해외 제조사들의 제품을 총판 공급하고 있다. 독일 CS-instruments 사에서는 다양한 센서 및 측정기를 이용하여 노점을 측정하는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 전시회에 선보이는 노점측정기는 최대 -80℃td까지 측정 가능하다. FA500, FA510, FA515 등 노점센서는 측정 된 노점값을 4-20mA 아날로그 출력값 또는 디지털 신호로 전달한다. DP400, DP500 등 휴대용 노점측정기는 현장에서 측정 된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며 Software를 통해 측정 값을 컴퓨터로 전송하여 관리 할 수 있다. Halstrup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에이치엔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에이치엔은 물류·유통 관련 IoT 서비스 및 빅데이터, AI, 미들웨어, 융합기술 등 ICT 핵심 기술 기반의 솔루션 공급으로 고객의 니즈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SF+AW 2021에서는 ‘SMART IoT 미들웨어’ 솔루션을 선보인다. ‘SMART IoT 미들웨어’는 제조 설비로부터 발생되는 RAW 데이터를 수집 및 전처리하여 응용서비스로 데이터를 연계한 다음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환경 간에 원만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다. 2.0 버전에서는 양방향 통신, 멀티모드 장치 어댑터 등 다양한 기능 및 성능 개선이 이루어졌다. 이 솔루션은 내장형 웹 서버를 활용한 독립형 서비스와 모바일 플랫폼 환경에서 표준 HTML5 서비스를 지원한다. 또한 OSGi 기반으로 다양한 확장 서비스가 가능하다. 에이치엔의 ‘SMART IoT 미들웨어’는 공장 생산라인 및 설비정보 관제 서비스, 스마트빌딩 서비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일주지앤에스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일주지앤에스는 SF+AW 2021에서 ‘Smart MES 솔루션’을 선보인다. 일주지앤에스는 제조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에 대한 노하우와 다수의 구축 사례를 바탕으로 제조업체에 최적화된 Smart MES 솔루션을 개발하였다. 조선해양, 주조, 도금, 자동차 등 다양한 업종에 스마트공장을 구축하였고 Smart MES를 통해 제조 생산 활동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현장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Smart MES는 다양한 OS 및 모바일 환경에서 웹 브라우저를 통한 업무 환경과 시각적 디자인을 제공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신속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현장 데이터 분석, 설비 관리, 이력 관리 등 다양한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확정성 있는 사용자 중심의 솔루션이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Smart F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