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한국테크넷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특화된 MES솔루션 '비즈엠이에스'를 공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한국테크넷의 '비즈엠이에스(Biz-MES)'는 생산공정관리 솔루션으로, 도장·사출·금형 분야에 특화되어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 솔루션과 POP장비를 연계시킴으로써 실시간 생산현황, 바코드, RFID, PDA, 전광판(현황판), 무선시스템, 관제(제어 및 통제, 통계) 시스템을 유기적으로 통합해낸다. 이러한 특성은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위험상황을 예방함과 함께, 생산공정관리에 효율성을 높여 생산성도 향상시킨다. '비즈엠이에스'는 품질에 중점을 두고 개발되었으며, 현대·기아차의 SQ심사에 적합하게끔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만들어졌다. 데이터(온도, 습도, 압력, 전류, 전압, PH농도, 수량)의 수집분석 차트도 제공되며, 개인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현재 작업조건 등을 라인이나 기기별로 확인할 수 있어 비상시 외부에서도 빠르게 대처할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울파기술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디ㅌ지털 압력계와 차압계 등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울파기술이 이번에 선보인 PDT Series 차압계는 공기 또는 비부식성 기체의 차압, 정압, 연성압, 진공압, 게이지압을 정밀하게(±0.25%) 측정해 전류(4~20mA) 신호로 출력한다. Zero점의 조정, Range의 변경은 전면의 key를 통해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다. 간단한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정하는 작업자에 의한 오류·편차를 줄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P-Series 차압계는 2Level의 Switch 출력 기능이 가능하다. SET or SDT Series 압력계는 액체 또는 호환성 기체의 압력을 정밀하게(±0.25%) 측정해 디지털로 표시하고, 전류(4~20mA)를 출력한다. 또한 공급압력의 최대치를 측정하는 기능과 어느 레벨의 압력을 기준으로 해 변화량을 측정하는 △P 모드가 있다. Panel의 key를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 참가해 휴머노이드 기술이 집약된 협동로봇 ‘RB 시리즈’를 대거 선보였다. 2011년 설립된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카이스트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센터의 연구원들이 창업한 로봇 플랫폼 전문기업이다. 이 회사는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인 '휴보'(HUBO) 등을 개발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을 바탕으로 협동로봇 RB 시리즈를 개발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구동기, 엔코더, 브레이크, 제어기 등 협동로봇에 필요한 핵심부품을 자체 개발해 사용하고 있다. 레인보우로보틱스 관계자는 “해당 부품을 통해 RB 시리즈는 높은 구동 속도, 정밀한 제어 성능, 유격 현상 없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현했다. 또한 자체 부품을 사용해 타사 제품 대비 30% 가량 저렴해 높은 가격 경쟁력을 갖췄다”고 설명했다. RB 시리즈는 RB5-850, RB3-1200, RB10-1300 등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어 사용자의 작업 환경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 함께 선보인 RB-N 시리즈는 F&B 시장에서의 안전하고 위생적인 사용을 위해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스토브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 참가해 높은 안전 등급의 협동로봇 ‘TX2touch’를 공개했다. 스토브리는 1892년에 설립된 커넥터, 산업용 로봇, 섬유 기계의 3가지 주요 산업 활동을 위한 전문 메카트로닉스 솔루션 글로벌 기업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고객과 협력하며 생산성 향상을 위한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스토브리는 1892년에 설립 된 커넥터, 산업용 로봇, 섬유 기계의 3가지 주요 산업 활동을 위한 전문 메카트로닉스 솔루션 글로벌 기업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고객과 협력하며 생산성 향상을 위한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TX2touch는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안전한 협업을 위해 설계된 차별화된 협동로봇이다. 검증된 TX2 산업용 로봇을 기반으로 고급화된 터치 스킨 기술과 신속한 반응시간 및 내장된 모듈식 안전 기능 더하여 다이내믹하고 안정적인 동작과 높은 정밀도를 제공한다. 스토브리 관계자는 “TX2touch는 SIL3/PLe의 높은 안전 등급을 가진 로봇으로 TX2 로봇과 CS9 컨트롤러의 성능을 바탕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알티자동화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국제표준화 작업이 진행중인 나노버블 발생 기술을 선보이며 호응을 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알티자동화가 이번에 소개한 나노버블 발생기는 물리적으로 형성된 균일한 조직구조를 이용해 수중 가스 용해도와 분산력을 향상시킨, 새로운 자기배열(self arrangement) 기술 기반에 의한 제품이다. 나노버블은 육안으로는 확인이 불가한 직경 1㎛(100만분의 1미터) 이하의 초미세 기포다. 이는 상온·상압하 개방조건에서 수개월 이상 안정성을 유지하는 특성이 있으며, 이는 일본에서 개발된 혁신기술이기도 하다. 이 발생기는 버블의 생산 효율이 매우 높고, 다양한 사이즈의 버블을 발생시키게끔 제어도 가능하며, 대용량부터 소용량까지 다양하게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바이오 및 환경 분야의 나노 신소재 개발을 위한 반응기(Reactor)로 응용 또한 가능하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산업단지 입주 기업의 기술력을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산업단지 특별관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이하 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공개됐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팬데믹 상황임에도, 400여 개 기업 참가, 1300여 부스 유치 성과로 개최 전부터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산업단지 특별관은 올해 처음으로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에 마련된 전시 공간으로서 산업단지경영자연합회(이하 KIBA)와 한국산업단지공단(이하 산단공)이 주관한다. 이번 산업단지 특별관 전시는 산업단지 입주 기업이 대규모로 참여한 이례적인 행사다. 총 72개 기업이 참여한 특별관에는 자동화 설비를 비롯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자동차 부품, 스마트 소방 시스템 등의 품목이 전시됐다. 전시회 첫째날인 8일에는 김정환 한국산업단지공단 이사장, 김기원 KIBA 회장, 이계우 KIBA 서울 회장 등의 주요 내빈이 전시회에 방문해 안내 일정에 따라 참가 기업 부스를 순회했다. 부스 순회 전,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비앤피이노베이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 참가해 스마트 안전조끼, 스마트워치, 스마트 가스 센서, 실내 위험 감지 Tag 등 산업 안전 솔루션을 대거 선보였다. 비앤피이노베이션은 비대면 스마트 작업/안전관리/원격지원 솔루션인 ‘SmartSee Safety Cloud’를 개발 판매하고 있다. 이 솔루션은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형태로 스마트조끼, 스마트워치, 스마트안전모, 스마트글래스 등 다양한 단말과 연결하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스마트 안전조끼는 스마트 안전모의 무게 문제, 스마트 글래스의 안경 착용 문제 그리고 웨어러블 카메라의 케이블 처리 및 본체 고정불가 문제 등의 기존 웨어러블 카메라 솔루션의 착용의 문제점을 안전조끼에 분산 모듈을 일체형으로 장착하여 작업자가 장시간 착용 및 활동성에 불편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스마트 안전 장비들이 단순 영상녹화 및 실시간 영상 전송 기능만을 제공하는데 스마트 안전조끼 솔루션은 각종 IoT 센서를 통하여 사고 예방 기능 강화 및 안전 모니터링 그리고 실시간 사고 발생 알림 기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인더케그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수제맥주 발효 숙성 기기와 함께 자사의 스마트 브루어리 플랫폼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언제 어디서나 바로 만든 맥주를 마실 수 있는 스마트 브루어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인 인더케그의 스마트 브루어리 플랫폼은 맥즙을 맥주로 제조하는 인더케그 기기를 통해 신선한 맥주를 제조·발효·숙성·보관하며, 10가지 다른 18리터 맥주를 판매할 수 있는 B2B용 솔루션이다. 인더케그 기기는 3중 산화 방지 기술로 길게는 6개월까지 최초 만들어진 순간의 맥주 맛을 유지할 수 있다. 별도의 유통 과정 없이도 갓 만들어진 맥주를 신선하게 즐길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참가하여 1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민트로봇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 참가해 협업 구동 운전이 가능한 원통형 스카라 로봇 ‘Pal A 시리즈’를 선보였다. 민트로봇은 자체 개발한 핵심 부품 원천 기술력을 바탕으로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로봇을 만드는 로봇 제조기업으로, 협업 구동 운전이 가능한 산업용 로봇 Pal A 시리즈 로봇을 주력으로 판매중이며, 로봇을 활용한 자동화 시스템 솔루션도 병행하고 있다. 특히 로봇에 들어가는 핵심 부품들을 자체 개발하고 효율적인 설계 방식으로 생산 원가를 대폭 절감하여 타사대비 비용 효율적인 것이 특징이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Pal A 원통형 스카라(Cylindrical SCARA)는 민트로봇에서 개발한 원통형 구조의 스카라 로봇이다. 일반 스카라 로봇의 경우 로봇의 말단에 볼스 크류스플라인(Ball screw-spline)을 장착하여 수직운동과 회전운동을 하는 방식으로 되어있지만, 민트로봇의 스카라 로봇은 베이스와 몸통 링크를 이어주는 첫 번째 관절이 360도 회전을 한다. 이는 케이블 선의 간섭으로 인해 360 회전이 불가능한 스카라와 비교되는 부분이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엑트엔지니어링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산업 자동화를 이끄는 SCARA(스카라)로봇과 수직다관절로봇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액트엔지니어링이 이번에 선보인 Toshiba Machine의 글로벌 전략 SCARA 로봇은 저비용, 경량 및 에너지 절약 개념으로 개발됐다. 스카라 로봇 THL 시리즈는 팔 길이가 500~700mm이다. 환경친화적인 스카라 로봇은 시리즈의 다른 로봇보다 최대 50%까지 무게를 줄이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수직다관절로봇은 TVL 시리즈는 컴팩트한 공간에서 조립 및 픽 앤 플레이스 애플리케이션의 높은 생산성을 자랑한다. 표준 사이클 시간은 0.4초 미만이며 팔길이는 500mm의 제품이다. 액트엔지니어링은 자동화솔루션 개발 전문 회사로 Servo, CNC, Motion Controller 등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더욱 전문적인 자동화솔루션을 개발함으로써 고객에게 양질의 기술력과 서비스를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와이드티엔에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산업용 엣지 컴퓨팅 솔루션 '리트머스 엣지'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와이드티엔에스가 대표 품목으로 전시한 리트머스 엣지는, 완전한 산업용 엣지 컴퓨팅 플랫폼과 IIoT(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산업용 사물인터넷) 장치 및 데이터 관리 계층으로 인더스트리4.0을 활성화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IIoT 솔루션을 구현하려는 기업을 위해 현장 또는 공장의 데이터와 엔터프라이즈 어플리케이션 간의 다리 역할을 한다. 또 산업용 데이터를 간단하게 연결, 관리, 분석 및 통합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제조 및 기타 주요 산업 기업과을 협력을 통해 검증된 IIoT 솔루션을 제공함에 따라, 고객은 고급 인더스트리4.0 솔루션을 생성, 관리 및 배포하여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오늘,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인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이 개막했다. 앞으로 3일 간(9월 8일 ~ 10일) 코엑스에서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 머신비전 등 제조업의 미래를 보여줄 다양한 제품 및 솔루션들이 관람객들을 맞이한다. 코엑스와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협회, 첨단이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참가하여 1,800개 부스를 마련,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이끌 다채로운 최신 스마트 제조 기술을 선보인다. SK텔레콤, LS산전, 두산공작기계 등 국내 최고의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17개사가 참여한 ‘미래 스마트 제조 주제관’에서는 스마트공장 기술에서 디지털 전환까지의 핵심 기술에 대해 상세한 활용 방안을 소개했다. 또한, 산업 인공지능, 탄소중립형 스마트공장, 5G+ 스마트솔루션 등 다양한 사례 중심의 세미나가 무료로 진행된다. 전시회 기간 동안 다채로운 부대행사도 함께 진행된다. 오늘(9월 8일)은 △4차 산업혁명과 로보틱스 컨퍼런스 △머신비전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만희기전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안전시스템, Ewon 원격 접속 게이트웨이 등의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만희기전이 이번에 선보인 BALLUFF 사의 Safety over IO-Link는 IO-Link 마스터와 Safety Hub 연결로 자동화와 안전 기술의 통합산물이다. Light Curtain, EMO, Interlock 등 대부분의 안전장치가 연결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최대 PLe/SIL3 안전등급을 구현하며, 손쉬운 진단 및 디바이스 교체로 저비용 유지보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Safety Hub 사용으로 IP 어드레스가 필요하지 않다. Ewon 원격 접속 게이트웨이는 방수·방진이 되는 산업용 무선 제품으로 언제 어디서나 현장에 접근할 수 있다. 기계의 성능 모니터링, 수정, 고장 예방 감지가 가능한 제품이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이지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압입·체결공정 필수설비인 서보프레스와 너트런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지의 대표 품목으로 전시된 서보프레스는 원하는 속도, 위치 및 압 입력을 정밀 제어하는 기능이 있다. 이 밖에 모션 컨트롤, 자체 데이터 저장, 다양한 네트워크 지원 등이 가능하며 UI 설정이 쉽고 사용자가 쉽게 개발 가능하다는 장점도 지닌다. 이와 함께 차량용 블랙박스 카메라 모듈이나 휴대폰 등 미세한 토크제어에 사용되는 너트런너도 소개되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참가하여 1,800개 부스에서 최신 스마트 제조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인텍플러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3D 센서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인텍플러스가 선보인 'i3D-800'은 고해상도 카메라와 HD LED 구조광을 이용한 비접촉식 3D 센서로서, GPU를 내장하고 있어 별도의 그래픽 프로세서 없이 고화질의 3D Point Cloud Data 를 출력한다. 빈피킹, 픽엔플레이스, 팔레타이징, 로봇 가이던스 등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인텍플러스는 ‘반도체 Mid-End 공정’, ‘Display’, ‘전기차용 2차전지’ 분야의 외관 검사 장비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스마트 팩토리 규현에 필수적인 모듈사업(3D 센서 솔루션)을 확대하고 있다. 인텍플러스는 세계 최고의 머신비전 기술력을 자랑하며, 이 분야에서 요구되는 ‘빠른 검사속도와, 점확한 검사품질’을 구현하기 위한 모든 핵심기술 (3D측정원천기술, 머신비전2D검사기술, 실시간 영상획득 및 처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