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원/달러 환율은 미국 소비가 호조를 보인 영향으로 장 초반 상승세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17분 현재 전거래일 주간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보다 2.9원 높아진 1363.5원이다.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보다 4.4원 상승한 1365.0원에 출발해 1360원 초반대에서 움직이고 있다. 간밤 달러화는 미국의 7월 소매판매 지수가 예상치를 상회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빅컷’(0.50%포인트 금리 인하) 가능성이 약화하며 강세를 보였다. 미국의 7월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1.0% 증가해 예상치인 0.4%를 크게 웃돌자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가 예측한 연준의 빅컷 가능성이 전주 50%대에서 26%로 낮아졌다. 같은 시간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14.71원이다. 전거래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 924.60원보다 9.89원 하락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제3자의 변조 및 악의적인 공격으로부터 중요한 키를 보호하기 위해 보안 키 프로비저닝은 필수적인 요소다. 가전, 산업, 데이터 센터 및 의료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을 위해 보안 키 저장 또한 필수적이지만 보안 키 프로비저닝을 개발하고 문서화하는 절차는 복잡할 뿐 아니라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이에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보안 키 프로비저닝 절차를 간소화해 진입 장벽을 낮추고 보다 신속한 프로토타이핑을 구현할 수 있도록 TrustFLEX 포트폴리오의 디바이스, 서비스 및 도구에 ECC204, SHA104 및 SHA105 CryptoAuthentication IC를 추가했다고 16일 밝혔다. ECC20x 및 SHA10x IC는 하드웨어 기반의 보안 저장 장치로 허가 받지 않은 접속 등의 무단 공격이 있을 경우 비밀 키를 숨기도록 설계됐다. ECC204, SHA104 및 SHA105 IC는 TrustFLEX 플랫폼의 일부로서 인증된 사용 사례,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암호화 키 및 코드 예제가 사전에 설정된 상태로 제공돼 개발 과정을 간소화한다. 누리 다그데비렌 마이크로칩 보안 컴퓨팅 그룹 부사장은 “ECC20x 및 SHA10x가 사전에 설정된 디바이스를 TrustFLE
산업 기술 분야에서 중요한 제품 혁신이 이루어졌다. AT-KS-AK 어댑터 그로밋은 키스톤 모듈용으로 특별히 개발된 제품으로, 이코텍의 KT 케이블 그로밋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과 편리함을 제공한다. AT-KS-AK는 70개 이상의 다양한 키스톤 모듈과 호환 가능하며, 별도의 타공 없이 하우징 벽에 바로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을 갖추고 있다. 이로 인해 인건비 절감뿐만 아니라 설치 과정에서의 시간 절약이 가능하다. 특히 커버를 닫았을 때 IP54 등급의 보호 성능을 제공, 추가적인 보안을 위한 밀봉 옵션도 지원된다. 본체에 통합된 폴리아미드 구조는 모듈에 안정적이고 안전한 기반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스냅인 조립 방식을 통해 손쉽게 모듈을 설치하고 필요시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모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는 사전 조립된 케이블 배선과 커넥터용 인터페이스로서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이상적인 솔루션이다. 또한 잠금식 보호 커버는 인터페이스를 안전하게 보호하며, 설치 공간이 제한된 경우에도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공간 절약형 디자인으로 설계됐다. 이 제품의 출시는 통신 및 네트워크 분야에서 혁신적 솔루션을 찾는 기업들에게 강력한 선택지를 제공할 것으로
요꼬가와가 OpreX™ Open Automation SI Kit과 OpreX OPC UA Management Package를 개발하여 OPA(Open Process Automation™) 시스템 구현을 위한 중요한 한 걸음을 내디뎠다. 이번에 출시된 두 제품은 OPA 시스템 내 다양한 공급업체의 구성 요소 간 상호운용성을 제공함으로써, 최종 사용자가 동급 최고의 기술을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OPA 시스템은 다양한 구성 요소의 통합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기업은 최신 기술을 손쉽게 적용하고 전체 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다. 요꼬가와는 Open Process Automation Standard(O-PAS™)를 준수하는 장치와 애플리케이션과의 호환성을 강조하며, 고객이 최신 프로세스 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OpreX Open Automation SI Kit은 DCN(분산 제어 노드) 구성 요소를 활성화하는 데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며, OpreX OPC UA 관리 패키지는 OPA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OPC UA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통합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 소프트웨어는 보안 통신 인증, 알람 변수 관리 등 다양한 서
플래티어가 2024년 상반기 매출액 150.3억 원, 영업손실 35.4억 원, 당기 순손실 24.6억 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내수 소비 위축으로 대형 이커머스 플랫폼의 투자가 지연되면서 전체 매출은 감소했지만 상장 이후 미래 성장 동력으로 투자해 온 솔루션 사업은 상반기 매출 36.5억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보였다. 이는 2023년 하반기 대비 54.9% 증가한 수치로, 사상 최대 반기 실적을 달성하며 본격적인 성장 궤도에 진입했다. 플래티어의 AI 개인화 마테크 솔루션 그루비(groobee)는 상반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8.3% 증가하며 견조한 성과를 거뒀다.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인증(CSAP)을 획득하며 공공 분야에 진출한 점이 성과에 크게 기여했다. 한국관광공사 수주를 통해 2분기부터 매출이 발생하기 시작했으며 공공 분야에서의 수요 증가로 하반기 실적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그루비는 기존 솔루션 라이선스 매출 외에도 IT 자산의 운용과 관리를 외부 전문 업체에 맡기는 매니지드 서비스 사업의 확대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 등을 통해 추가 매출을 본격적으로 창출할 계획이다. 대형 온라인 종합 쇼핑몰 및 오픈마켓의 신규 개
지난해 9월 출시 ‘토레스 EVX’ 배터리 제조사 공개...‘배터리 안전성 인증제’ 선제 대응 “안전 중심 EV 개발 방향 지속할 것” KG모빌리티(이하 KGM)가 최근 발생 사례가 급증하는 전기차(EV) 화재와 관련해 예방대책을 수립·시행한다고 알렸다. KGM은 이에 따라 전기차 배터리 정보공개와 특별 안전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아울러 오는 2025년 시행을 앞둔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를 의식해, 지난해 9월 출시한 ‘토레스 EVX’의 배터리 제조사를 각종 채널에 공개했다. 해당 정보는 KGM 홈페이지, 자동차 리콜센터 누리집 등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KGM은 이번 지침을 전개하기에 앞서 지난 7월 정부 출연 기관과 협력해 배터리 정보 제공이 가능한 차량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및 EV 충전용 통신 모듈(EVCC)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전기차 완속 충전기 화재 예방에 힘쓴 바 있다. KGM 관계자는 “지금까지 안전하고 즐거운 모빌리티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비전을 앞세워 전기차 및 배터리를 개발했다”며 “앞으로도 고객 안전 중심의 개발 방향을 지속해 전기차 안전성을 강화하고, 전기차에 대한 국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헬
'반도체 훈풍'을 탄 SK하이닉스가 올해 상반기 반도체 재고를 1,200억원 넘게 줄였다. 설비투자 규모는 전년 동기보다 두배 이상 커졌다. 14일 SK하이닉스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말 재고 자산은 13조3,549억3,8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말(13조4천806억5,900만원)보다 1,257억2천100만원(약 1%) 줄어든 수치다. 작년 상반기 말 재고자산이 16조4,202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지속해서 재고를 줄여가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작된 반도체 업황 회복에 따른 것이다. 김우현 SK하이닉스 담당은 지난달 25일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2분기 당사의 D램 판매량이 가이던스를 상회했고, D램과 낸드플래시의 판매량이 생산량을 상회하는 상황이 지속함에 따라 2분기 말 당사의 완제품 재고 수준은 전 분기(1분기) 말 대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의 설비투자액과 연구개발비는 모두 늘었다. 올해 상반기 SK하이닉스의 설비투자액은 5조9,670억원으로, 전년 동기(2조7,140억원)에 비해 두배 이상으로 늘었다. 연구개발비도 같은 기간 2조863억1,900만원에서 2조3,075억600만원으로 10.6% 증가했다. SK하이
올 2분기 매출 247억, 영업이익 42억 실적 공개 “하반기 AI 기능 고도화” 알서포트가 매출액 247억 원, 영업이익 42억 원 등 2024년 2분기까지 실적 지표를 발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액은 4억 원, 영업이익은 10억 원 줄어든 기록이다. 이에 알서포트 측은 재택근무 솔루션 시장 성장 둔화, 주요 시장인 일본 초엔저 여파, 인공지능(AI) 고도화 등 연구개발(R&D) 투자 등이 주요 요인이 됐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원격 지원 솔루션 ‘리모트콜’, 원격 제어 솔루션 ‘리모트뷰’ 등이 시장에서 꾸준히 성과를 올리고 있다며 성장세를 강조했다. 알서포트는 올 하반기 비대면 세일즈 솔루션 ‘리모트VS’의 AI 기능을 강화해 국내외 통신사 및 금융 시장을 적극 공략할 계획이다. 여기에 리모트뷰의 보안 관리 기능을 한층 끌어올린 ‘리모트뷰SE’와 원격 제어 하드웨어 ‘리모트뷰박스’ 등을 통해 스마트 팩토리 및 공공기관 온라인 용역 통제 시스템 시장에 출사표를 던질 예정이다. 한편, 알서포트의 3D 아바타 통합 커뮤니케이션 툴 ‘RFICE’가 하반기 출시를 앞두고 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KT는 기존 무선 업무망 대비 구축 비용을 60% 줄일 수 있는 '경량형 5세대 이동통신(5G) 업무망'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기업과 공공기관 유선 인프라를 보안을 강화한 5G 무선 네트워크로 대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설루션이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에는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를 다수 가상 네트워크로 분리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적용해 추가 장비 없이도 전용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고 KT는 설명했다. 이를 통해 기존 5G 업무망 대비 인프라 구축 비용을 60% 줄이면서도 같은 수준의 사내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KT는 덧붙였다. 이종식 KT 네트워크연구소장(상무)은 "경량형 5G 업무망 서비스가 보안 강화와 인프라 효율화를 동시에 추구하는 기업 고객의 요구를 충족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이상징후 탐지·판정후 즉시 통보 시스템…"15년간 개발 노하우 축적해 완성" 현대차·기아가 전기차 안전을 책임지는 핵심 기술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을 15일 공개했다. 이는 최근 인천 지하주차장 화재로 인해 전기차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지는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된다. 현대차·기아는 BMS 기술에 대해 "15년 이상의 자체 개발 노하우를 축적·고도화해 완성한 이 기술은 현대차·기아의 연구개발(R&D) 역량을 가장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소개했다. BMS는 배터리를 전체적으로 관리·보호하는 '두뇌'인 동시에 전기차가 배터리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제어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맡는다. 높은 에너지를 저장하고 있는 배터리를 총감독하는 셈이다. 현대차·기아는 특히 오래전부터 하이브리드차를 개발하며 BMS 제어 기술 기반을 쌓고 다양한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지금의 BMS를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두 회사는 "안전성과 주행거리, 충전 시간 등 소비자가 중시하는 전기차의 기본기를 끌어올리고자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까지 방대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배터리 시스템 이미지 (
전작 Smart-Ex 02 개선 모델...디스플레이, RAM, 용량, 배터리 등 성능↑ 안드로이드 기반 5G, 와이파이 6E, 블루투스, GPS, NFC 지원 페펄앤드푹스코리아(이하 페펄앤드푹스)가 Smart-Ex 시리즈의 최신판 Smart-Ex 03 시장에 선보였다. 이번 신모델은 ATEX, IECEx 등 국제 방폭인증을 토대로한 방폭 기능을 담아 안전성이 확보된 산업용 스마트폰이다. 여기에 5G, 와이파이 6E(Wi-Fi 6E) 등 통신 기술을 담아 원격 업무, 화상 회의, 디지털 통신 등을 구현해 기업의 EM(Enterprise Mobility) 실현을 지원한다. Smart-Ex 03은 안드로이드 엔터프라이즈 리커멘디드(Android Enterprise Recommended) 인증 기반 스마트폰 운영체제 ‘안드로이드 13(Android 13)’을 통해 보안 패치 및 성능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 기기 상태를 지속 진단·모니터링하는 애플리케이션 ‘eDiagnostics’도 기본 장착해 기기 유지관리가 상시 가능하다. 해당 신제품에는 옥타코어(Octa-core) CPU, 8GB RAM, 128GB 저장소, 4400mAh 배터리 등이 탑재됐다.
원/달러 환율이 14일 주간 거래에서 10원 가까이 하락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오후 3시 30분 종가는 전날 주간거래 종가보다 9.8원 급락한 1360.6원이다. 원/달러 환율은 전일보다 7.4원 하락한 1363.0원에 개장해 장중 1359.1원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달러는 간밤 발표된 미국의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예상치를 하회하며 약세를 보였다. 이에 이날 발표되는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도 예상치를 밑돌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면서 원/달러 환율은 장중 낙폭을 키웠다. 아울러 성장주 위주 위험선호 심리가 회복되면서 이날 외국인은 국내 코스피 시장에서 3917억 원을 순매수, 원화 강세의 배경이 됐다. 같은 시간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24.60원이다. 전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 926.92원보다 2.32원 낮아졌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바이오로그디바이스가 14일 올해 상반기 경영 실적을 공개했다.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약 66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35% 증가했으나 약 22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상대적으로 단가가 높은 폴디드줌 FPCB Assy 제품의 수요가 늘어나 매출액은 증가했으나 재료비 및 일시적인 판관비 증가로 이익을 실현하지는 못했다. 바이오로그디바이스 주요 제품은 스마트폰 카메라모듈에 탑재되는 OIS, 폴디드줌 FPCB Assy 등으로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 1차 벤더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회사 실적은 전방 산업인 스마트폰 산업 및 시장 경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주력 제품인 폴디드줌 FPCB Assy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폴디드줌 카메라모듈 수요가 늘면서 매출이 증가하고 있다. 폴디드줌 카메라모듈은 스마트폰 뒷면에 카메라모듈의 돌출을 줄이기 위해 프리즘으로 빛을 굴절시켜 이미지 센서에 전달하는 카메라모듈로 광학 줌 기능을 적용하기 용이해 먼 거리에 있는 피사체를 고화질로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반기에는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바이오로그디바이스는 내다봤다. 각종 시장조사전문기관에서 올해 스마트폰 시장 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에퀴닉스(Equinix)가 홍콩 내 고성능 데이터센터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 증가에 대응하도록 설계된 목적 기반(purpose-built) International Business ExchangeTM(IBX) 데이터센터 설립에 1억2400만 달러의 초기 투자를 단행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투자로 구축될 데이터센터인 HK6는 기존 에퀴닉스의 5개 데이터센터와 상호 연결돼 홍콩, 마카오, 선전 등을 포함하는 그레이터 베이 지역(Greater Bay Area, GBA)에 위치한 다국적 및 현지 기업과 중국 기업 간의 데이터 및 경제 교류의 허브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시아의 중심에 전략적으로 위치한 홍콩은 지역 내 연결성을 위한 최적의 집결지다. 지난 한 해에만 홍콩의 Equinix Internet Exchange 트래픽이 50% 가까이 증가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이며 홍콩의 디지털 환경은 빠르게 확장 및 발전되고 있다. 조앤 혼 에퀴닉스 홍콩 대표는 “혁신과 성장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홍콩의 여섯 번째 데이터센터 설립에 착수하게 돼 매우 기쁘다”며 “HK6는 에퀴닉스가 지난 10년간 홍콩에서 단행한 최대 규모의 투자로, 홍콩의 디지털 인프라를 더욱
텍트로닉스가 7M 길이의 프로브 케이블을 갖춘 액티브 싱글엔드 프로브 ‘TAP1500L’을 출시했다. 이번 TAP1500L 프로브 출시는 이전 성공작이자 광학 절연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된 IsoVu 프로브에 이어 텍트로닉스의 프로빙 기술 혁신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을 보여준다. TAP1500L은 기존 TAP1500 모델보다 5.7미터 더 긴 케이블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TAP1500L은 엔지니어들의 중요한 요구사항인 유연성과 안전성을 갖춘 자동화 테스트 수행 능력을 제공한다. 특히 플라잉 프로브는 고객의 요구에 맞춰 테스트 스테이션을 배치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하며 동시에 프로브의 안전한 성능을 보장한다.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7미터 케이블로 경쟁 제품 대비 1미터 더 긴 길이를 제공한다. 이는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프로브를 라우팅해야 하는 플라잉 프로브 테스터 고객과 DUT(Device Under Test)가 오실로스코프에서 더 멀리 있어야 하는 모든 상황에 유용하다. 긴 케이블에도 불구하고 ≥1.5 GHz 대역폭, <267 ps 상승 시간, ≤1 pF 입력 커패시턴스를 유지해 고속 설계에 대한 정확한 신호 획득을 보장한다. 또 컴팩트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