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일전자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원터치 단자대 제품군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서일전자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원터치 단자대는 코일스프링과 강도 높은 압지편으로 구성된 간접 클램핑 구조를 채택해 20년 이상 긴사용 기간을 자랑한다. 원터치 방식으로 단선이나 봉단자 전선을 사전 조작 없이 밀어 넣기만 하면 체결이 가능하며 드라이버로 간단히 분리할 수 있는 편리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일체형 단자로 접촉 저항이 적고 Common Bar가 필요 없어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색상 구분이 가능해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며, 결선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 효율을 높이는 장점을 제공한다. 서일전자는 1977년 사업개시 이래 전기전자 접속부품을 전문적으로 개발, 생산해온 기업으로, 독자적인 기술력을 기반으로 고객의 개별요구에 맞춰 최상의
뉴로메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자체 개발한 협동로봇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뉴로메카가 직접 디자인하고 제조한 협동로봇 ‘Indy(인디)’는 혁신적인 충돌 감지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한다. 임피던스 제어를 통한 더 직관적인 직접 교시(Direct Teaching)를 지원하며, 안드로이드 태블릿 기반의 티치펜던트 앱을 통해 온라인 및 오프라인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가반중량별로 ‘Indy3/5/7/10/12’(각 3kg, 5kg, 7kg, 10kg, 12kg) 5가지 모델과 7자유도 연구용 협동로봇 ‘Indy-RP2(인디알피2)’를 양산하고 있으며, 손목에 부착된 확장포트를 통해 그리퍼, 비전센서 등 다양한 표준 도구들을 확장할 수 있다. 뉴로메카는 사용하기 쉽고 경제적인 협동로봇을 통한 중소기업 제조라인의 자동
원익로보틱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AI 기반 자율주행로봇 WR AMR과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WR 모바일 매니퓰레이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원익로보틱스는 이번 전시에서 AI 기반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한 WR AMR을 통해 반복적인 운송 작업을 자동화하는 효율적인 솔루션을 선보였다. WR AMR은 360도 라이다(LiDAR) 센서를 탑재해 주변 환경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장애물을 회피하며 스스로 최적의 경로를 찾아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다. 운송 작업 자동화를 통해 직원들의 업무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WR AMR의 핵심 가치다. 기존에는 작업자가 직접 카트를 밀거나 자재를 운반해야 했던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인력의 피로도를 줄이고 직원들이 보다 중요한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상단 모듈 확장성을 갖추고 있어 다
TXR로보틱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지능형 휠소터 피보틀(Pivotel)과 모듈형 컨베이어 시스템 셀루베이어(Celuveyor)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TXR로보틱스가 이번 전시에서 공개한 피보틀(Pivotel)은 지능형 휠소터로 휠 롤러 중심 간 거리(Pitch)가 55mm로 설계된 초소형 피치 소터다. 이는 현재 전 세계 휠소터 중 가장 작은 피치를 자랑하는 기술로 한층 정밀하고 빠른 물류 분류가 가능하다. 피보틀은 휠 롤러를 10도에서 60도까지 자유롭게 방향 전환할 수 있어 화물을 자동으로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화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시간당 최대 7,000개의 물품을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는 고성능을 갖추고 있어 대량 물류 처리에 최적화된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
센서랩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지능형 센서 및 고정밀 위치 센서 솔루션 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센서랩이 선보인 모터코더(MotorCoder)는 리니어스케일 없이 리니어모터의 영구자석 N극과 S극 자속 밀도 변화를 감지하여 정밀 위치를 측정하는 리니어 엔코더이다. 별도의 스케일 없이 고정밀 절대 위치 센싱이 가능하며, 미쓰비시 시리얼 통신을 적용해 신뢰성을 높였다. 또한, 노이즈에 강한 설계로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한다. 센서랩은 지능형 센서, 로봇용 중공형 엔코더, 자기식 리니어 엔코더 등을 제조·판매하는 기업이다. 다수의 지능형 센서를 통합하는 Fusion Hub를 제조·판매하고 있으며, 사용자 맞춤형 센서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SIL3, PLe 등급을 충족하는 고정밀 위치 센서를 공급하며, 글로벌 전
티엔에스에이아이(이하 TNS AI)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인공지능(AI) 기반 내시경 내측 검사 장비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TNS AI는 이번 전시에서 AI 내시경 내측 검사 장비를 주축으로 한 최첨단 검사 솔루션을 공개했다. 이 장비는 제조업 및 정밀 부품 산업에서 내부 결함을 효과적으로 탐지하고 품질 검사를 자동화하는 데 최적화된 솔루션이다. 특히, 사람의 육안으로 검사하는 데 한계가 있을 만큼 미세한 검사 작업을 수행하는 역할을 할 수 있어 전 산업에 걸쳐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솔루션이기도 하다. TNS AI의 AI 내시경 내측 검사 장비는 기존의 육안 검사나 수작업 검사 방식과 비교해 높은 정확도와 일관성을 제공한다. 검사 과정에서 AI가 실시간으로 이미지 및 데이터를 분석해 미세한 결함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 기술을
엘엠아이테크놀로지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3D 스마트 레이저 라인 프로파일 센서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엘엠아이테크놀로지스가 소개한 ‘Gocator 2600 시리즈’는 4K 해상도 레이저 프로파일링을 지원하여 미세 특징부터 대형 물체까지 정밀한 3D 측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맞춤형 광학 장치와 9메가픽셀 이미지 센서를 탑재해 배터리 검사, 식품 가공, 건축 자재 검사 및 자동차 부품 검사, 고무 및 타이어 생산, 공장 자동화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된다. 이 센서는 프로파일당 4200개 데이터 포인트를 처리하며, 넓은 시야각(FOV)에서 고해상도 3D 스캔 및 검사 기능을 탑재했다. 엘엠아이테크놀로지스는 1998년부터 3D 스마트 센서 기술 개발을 통해 빠르고 정밀한 측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주력 제품인
오토스토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자사의 큐브형 자동창고 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오토스토어는 1996년 설립된 자동창고 시스템 전문 기업으로 세계 최초로 큐브형 자동창고 시스템을 개발하며 풀필먼트 솔루션 분야에서 혁신을 이어오고 있다. 현재 오토스토어의 자동창고 시스템은 전 세계 35개국 650개 이상의 물류센터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최상위 브랜드 고객들에게 신뢰를 받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오토스토어는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큐브형 자동창고 시스템을 중심으로 혁신적인 풀필먼트 솔루션을 공개했다. 해당 시스템은 기존 물류 창고 대비 최대 4배 높은 저장 밀도를 제공하며 로봇을 활용한 피킹 및 재고 관리의 자동화를 통해 운영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공간 절약뿐만 아니라 물류 처리 속도와 정확도를 동시에
파익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자동화 설비를 지원하는 모션제어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된 파익스 모션제어기는 이더넷(TCP/IP) 통신으로 제어하는 외장형 제어기다. 기존 PC내부에 장착해 사용하는 PCI보드 타입 제어 방식에서 구현하기 어려웠던 무제한 연속보간(3D프린터, 조각기 등), 연속보간 중 노드 별로 디지털 신호 출력 제어(디스펜서, 본더 등)와 같은 특수 기능을 탑재했다. 이더넷 통신은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빈번하게 수행할 경우 통신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파익스 모션제어기는 각종 정보를 한번에 읽어 올 수 있는 구조체 형태로 개발됐다. 파익스는 PC기반 모션제어기, PLC, 인버터, 서보 모터, 스텝 모터, HMI의 개발, 제조 및 유통 전문 기업이다. 오랜 시간
베이치일렉트릭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다양한 로봇 조인트 모듈을 소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중국 베이치 일렉트릭(VEICHI Electric)의 한국 지사인 베이치일렉트릭코리아(VEK)는 가변 주파수 인버터(VFD), 서보 시스템, PLC, HMI를 자체 개발 및 판매하고 있다. 현재 베이치는 ‘로봇 조인트 모듈’을 주요 사업으로 삼아 경쟁력 있는 제품을 개발,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확보하고 있다. 베이치일렉트릭코리아가 전시한 스카라(SCARA) 로봇은 수평운동에 강하며 다관절 로봇과는 다르게 조인트 부분의 축 중심선이 지면에 수직으로 되어있어 수직축 암 결함 로봇 또는 암들의 동작이 수평으로 이뤄져 수평 다관절 로봇으로 부른다. 4축 회전축과 핸드모듈이 장착돼 빠르고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AW 2025는 국제공장자동
미키풀리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지능형 병렬로봇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미키풀리코리아가 선보인 BEKANNTER 병렬로봇은 3차원 공간에서 이동 및 회전을 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에 대한 빠른 추적, 그랩 및 플레이스가 가능하다. 식품, 일회 화약품, 의약, 3C 등 업계 재료의 정리, 선별, 포장 등의 공정에 널리 사용된다. 1939년 설립된 미키풀리 주식회사는 1954년에 변속기를 발명함으로써 산업 발전에 공헌한 회사다. 유구한 전통을 가지고 있는 회사로써, 미키풀리 주식회사는 기계 부품 생산뿐 아니라 로봇 등 미래화와 연관이 있는 기술력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한편, AW 2025는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팩토리엑스포(Smart Factory Expo),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
시원광기술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미분간섭현미경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시원광기술은 이번 전시에서 미분간섭현미경을 선보였다. 미분간섭현미경은 염색되지 않은 투명한 샘플의 대비를 향상시키는 광학 현미경 기술이다. 간섭계 원리를 활용해 샘플의 광로 길이 정보를 분석하며, 이를 통해 육안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미세한 구조를 시각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시원광기술은 광학 장비 및 부품 설계·제조 기업이다. 디지털 현미경, 광학 기기, 머신 비전 시스템 등 다양한 광학 장비를 설계·제조하며, 렌즈, 프리즘, 필터, 미러, 윈도우 등 광학 부품을 생산 및 공급하고 있다. 의료용, 산업용, 실험·실습용 등 광학 전 분야에서 고객의 사양에 맞춰 최적화된 설계와 맞춤형 개발을 지원한다. 한편, AW 2025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루첸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EASY CLAMP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EASY CLAMP는 Contact가 바디 내부에 들어가 있는 구조로 전기적으로 안전한 것은 물론, 폭넓은 적합 전선의 적용으로 샌서, I/O신호에 적합한 3mm 피치의 e-con준거 커넥터를 제공한다. 별도의 전처리 작업이나 전용공구 없이 전선만 산입하여 플라이어로 압착하면 접속된다. 루첸코리아는 30년 이상의 커넥터와 서보모터 등의 전문지식을 보유한 커넥터 제조업체인 Denk Electronics에 의해 설립되었다. 중국의 서보 모터및 전자장비 회사인 이노반스테크놀로지, 액셀링크, HCFA테크놀로지, 덕신테크놀로지에 공급하는 등 전세계 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한다. 또한 개발, 가공, 조립, 생산 및 포장에 이르는 노하우와 중국에서 제조되는 와이어링
지경솔루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JK-PLM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JK-PLM은 제품의 기획 수주에서 설계, 생산, 판매, A/S에 이르는 제품 개발 과정의 모든 데이터(도면, 기술문서, BOM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한다. 전체 제품 개발 과정이 Process(프로젝트, 도면 작성, 설계 변경)를 최적화하여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품질 향상으로 경쟁력을 강화한다. 지경솔루텍은 2005년 CAD/CAM/CAE/PLM 분야에 있어 최고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설립된 엔지니어 중심의 기업이며, 이를 기반으로 CAD/CAM/CAE/PLM 도입에 있어 안정적인 성공을 보장한다. 또한, SIEMENS Industry Software의 제품을 여러분께 공급할 수 있는 공식 총판으로 Solid Edge를 기반으로 국내 기업
Portwell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산업용 임베디드 시스템 및 AI 엣지 컴퓨팅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Portwell은 Intel Core Ultra 플랫폼(Meteor Lake)을 기반으로 한 COM Express Rev3.1 표준 모듈 PCOM-B65A를 소개했다. 이 제품은 산업용 임베디드 시스템 및 AI 엣지 컴퓨팅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한다. PCOM-B65A는 Intel 4 리소그래피와 VNNI 명령어 세트를 적용해 15~28W TDP 내에서 고성능 컴퓨팅을 지원하며, 통합 NPU를 활용해 최대 20배 향상된 AI 성능과 전력 효율을 제공한다. 또한 Arc Graphics를 탑재해 이전 세대 대비 최대 50% 향상된 AI 성능을 구현했다. Portwell은 산업용 임베디드 시스템 및 솔루션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