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데이터 분석 솔루션 전문기업 데이터사이언스랩이 ‘2025 스마트테크코리아 AI·빅데이터쇼’에서 자사의 차세대 생성형 BI(비즈니스 인텔리전스) 솔루션 ‘CLONE™’과 AI 분석 특화 sLLM 모델 ‘DAVINCI.BI’를 공식 발표했다. CLONE™은 복잡한 SQL 쿼리나 분석 지식 없이도 자연어 질문만으로 데이터 탐색, 분석, 시각화, 인사이트 도출이 가능한 생성형 BI 솔루션이다. 누구나 손쉽게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설계돼 디지털 약자와 분석 비전문가도 활용 가능하다. 지역·시점·인구 조건 필터링, 다양한 형태의 자동 차트 생성, 협업이 가능한 대시보드 기능까지 갖췄다. 전시 현장에서는 실제 경기도의 카드 소비 및 생활 이동 데이터를 활용한 시연이 진행됐다. CLONE™은 GIS 기반 분석을 통해 지역별 소비 패턴과 유동 인구 흐름, 배달 밀집 지역 등을 실시간 시각화하며 정책 수립 및 마케팅 전략에 즉시 적용 가능한 도구로 호평을 받았다. 특히 공공기관과 기업의 분석 실무자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끌며 실효성 있는 AI 분석 서비스의 실체를 입증했다. 함께 발표된 DAVINCI.BI는 데이터사이언스랩이 Meta의 LLaMA 3
[헬로즈업 세줄 요약] •AI 컨퍼런스 열고 ‘에이전트포스’ 전략 공개…국내 데이터센터 도입 예고 •전사 업무에 자율 적용되는 AI 에이전트 구조 시연 •슬랙·태블로 등 연계한 플랫폼 통합 강조 “AI 에이전트는 조직 경쟁력 핵심” 세일즈포스가 지난 1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에이전트포스 월드투어 코리아 2025’를 개최하고 AI 에이전트를 중심으로 한 기업 업무 혁신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약 5천여 명의 업계 관계자가 참석했으며 생산성 향상, 데이터 활용 역량, 협업 플랫폼 전략 등이 주요 주제로 다뤄졌다. 손부한 세일즈포스 코리아 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AI 에이전트는 한정된 자원으로 고객 기대에 부응하면서도 조직의 실행력을 동시에 강화할 수 있는 게임 체인저”라며 “반복적이고 비효율적인 업무는 AI가 맡고, 사람은 고부가가치 창출에 집중하는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AI가 성공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핵심은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라고 강조했다. 세일즈포스는 올해 3분기 중으로 국내 데이터센터에서 ‘에이전트포스’ 서비스를 정식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 고객의 AI 주권 확보와 인컨트리 데이터 레지던시를 동시
서울 회의서 K-Lab 성공 사례 공유… 의료·농업 분야로의 AI 확산 기반 마련 명지전문대학(총장 권두승)과 주식회사 넥스트 브릿지(대표 손창기)는 최근 서울에서 열린 중미 6개국 대사 회의에 참석해, K-Lab 프로젝트의 성공 사례를 공유하고 중남미 지역과의 디지털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는 코스타리카,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온두라스, 파나마, 도미니카 공화국 대사들이 참석했으며, 한국형 삼각 협력(Triangular Cooperation) 모델을 중심으로 디지털 개발 협력의 실질적 적용 방안을 검토했다. K-Lab의 성공 사례와 디지털 협력 확대 윤영현 교수, 백재순 교수(명지전문대학)와 이경범 이사(다음넥스트 브릿지)는 코스타리카 공과대학교(TEC) 산 카를로스 캠퍼스에 구축된 K-Lab 운영 사례를 소개하며, 중남미 지역의 디지털 교육 수요에 대응하는 성공적 협력 모델임을 강조했다. K-Lab은 AI, 빅데이터, IoT 등을 기반으로 현지 청년의 실무 역량을 강화하고 있으며, 대학·정부·민간이 연계된 디지털 생태계 허브로 확대 발전하고 있다. 디지털 전환과 협력의 중요성 KAIST의 Ileana Palaco 교수는 한국형 삼각 협력
국내 최초의 어닝콜 실시간 통·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며 주목받은 AI 기반 미국 주식 정보 플랫폼 ‘스톡나우’가 신규 기능 ‘모닝브리핑’을 출시하며 증시 콘텐츠 서비스를 한층 확장했다. 이번 브리핑 기능은 전일 미국 증시의 핵심 이슈를 5~7분 이내의 팟캐스트 형태로 요약해 제공하는 서비스로 미국 주식 시장 정보 접근의 진입 장벽을 대폭 낮춘 것이 특징이다. 스톡나우는 터네이셔스㈜가 운영 중인 플랫폼이다. 지난해 10월 공식 론칭 이후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가 4개월 만에 3만명을 돌파하며 빠르게 성장 중이다. 스톡나우는 실적 발표, 어닝콜 등 핵심 투자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통·번역해 전달하며 ▲관심 종목별 알림 ▲한국 시간 기준 일정 제공 ▲동시 확인 가능한 실적·어닝콜 콘텐츠 등 차별화된 기능으로 투자자들의 니즈를 충족해왔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인 ‘모닝브리핑’은 사용자들이 출근길이나 이동 중에도 하루 전 뉴욕증시의 흐름을 간결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주요 뉴스, 경제지표, 기업 실적 발표 결과 등이 AI 분석을 거쳐 자연스러운 음성으로 전달되며 스톡나우 앱 내 브리핑 버튼을 통해 손쉽게 접근 가능하다. 콘텐츠 하단에는 댓글 기능도 탑재되어
라온피플이 태국 AI 수해탐지 2차 프로젝트 기술 검증을 마치고 정부 사업을 본격화할 전망이다. 라온피플은 16일(현지시간) 태국 붕깐주 AI관제센터에서 열린 AI 수해탐지 프로젝트에서 생성형 AI 기반의 통합관제 시스템 구축과 관련한 솔루션을 시연하고, 붕깐주 메콩강 100km 구간의 홍수 및 지진 탐지 매뉴얼과 대응 시나리오를 발표했다. 이날 라온피플은 메콩강 인근의 수해탐지가 가능한 붕깐주 5개 지역에서 오딘AI(Odin AI)를 활용한 수해 및 지진 탐지를 기본 프로젝트로 소개했다. 이어 범죄 탐지와 교통 관제로 이어지는 스마트시티 구축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붕깐주가 태국내 스마트시티를 선도하는 AI 주정부로 위상을 높인다는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공개했다. 특히 붕깐 AI 수해탐지 검증 프로젝트에 참석한 쏭삭통시 태국 내무부 차관은 “홍수 및 재난에 대한 AI CCTV 구축 사업은 붕깐뿐만 아니라 태국전역에 반드시 필요하고 매우 중요한 프로젝트”라며 “그동안 태국에서는 홍수나 재난에 취약했으나 라온피플 오딘AI를 토대로 정확한 재난 탐지와 빠른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재난관제는 물론 교통 및 범죄탐지 등 생성형 AI를 활용한 사
클라썸이 ‘HRD 코리아 2025’에서 AI 기반 학습경험플랫폼(LXP)을 선보였다고 18일 밝혔다. 올해로 32회를 맞은 HRD 코리아는 ‘AX시대 HRD, 조직의 목적을 지향하다!’를 주제로 지난 6월 16일부터 17일까지 양일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진행됐다. AI 중심의 조직 혁신이 핵심 의제로 부각된 가운데, 국내 최대 규모의 HRD 전시 부스 박람회인 ‘HRD EXPO’가 함께 열려 기업 관계자와 전문가들의 이목을 끌었다. 클라썸은 부스에서 이채린 대표의 미니 세션과 함께 ▲사내외 콘텐츠 통합 과정 운영 및 관리 ▲AI 활용한 맞춤형 학습 경로 설정과 업무 효율화 ▲학습 데이터 관리 등 강점을 지닌 LXP를 시연하며 관람객과 활발히 소통했다. 클라썸 LXP는 사내 교육 콘텐츠부터 롱블랙, HSG, 인프런 등 다양한 분야의 외부 콘텐츠까지 통합해 최적의 맞춤형 교육 과정을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다. 또한 AI가 구성원의 산업과 직무에 따라 알맞은 학습 경로를 만들어 준다. 이와 함께 구성원의 학습 및 행동 데이터를 맞춤형 대시보드로 제공해 기업 담당자들로부터 차세대 학습 관리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편 클라썸은 LG, 현대 등 국내 주요 대기
토스페이먼츠가 PG 업계 최초로 ‘MCP(Model Context Protocol, 모델 콘텍스트 프로토콜)’ 서버를 도입하며 AI 기술 기반 결제 연동 환경을 갖췄다고 18일 밝혔다. 이로써 개발자는 단 10분 만에 결제 연동을 마치는 새로운 개발 환경을 경험할 수 있게 됐다. 기존에는 가맹점이 PG사와 계약 체결한 뒤 결제 연동을 마치고 영업을 시작하기까지 최대 3개월이 소요됐다. 토스페이먼츠는 업계에서 상대적으로 빠른 결제 연동 기간을 제공하고 있지만, 평균 1~2주일은 걸리는 구조였다. 연동 경험이 적거나 개발 리소스가 제한적인 가맹점에게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문서 탐색, 예제 코드 실험, 기술 지원 요청 등 복잡하고 반복적인 작업이 큰 부담으로 작용해 왔다. MCP는 이러한 과정을 AI 기술로 대체하는 서버형 연동 도구다. 개발자는 MCP를 연동한 AI 챗봇에게 “결제창을 연결해줘”, “정기결제 연동하고 싶어” 등 자연어로 명령하는 것만으로도 코딩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처럼 AI가 코딩을 하고 인간은 명령만 하는 프로그래밍 방식은 ‘바이브 코딩(Vibe Coding)’이라고 불리며 IT업계에 확산하
참좋은여행이 여권 인식 문제 해결을 위해 사이냅소프트의 인공지능 기반 OCR 솔루션을 도입했다. 사이냅소프트는 자사의 ‘사이냅 OCR Pro’를 참좋은여행에 공급했다고 밝혔다. 이번 도입은 신여권 발급 이후 급격히 낮아진 여권 인식률 문제를 해소하고 여권 처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다. 실제로 참좋은여행은 기존 OCR 시스템에서 신여권 인식률이 50% 이하로 떨어지면서, 직원들이 고객 여권 정보를 수작업으로 입력해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었다. 특히 고객들이 다양한 각도나 빛 번짐, 손가림 등의 상황에서 촬영한 여권 사진을 제출하는 경우가 많아 기계 판독 영역인 MRZ(Machine Readable Zone)가 훼손되거나 인식되지 않는 일이 빈번했다. 사이냅 OCR Pro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고도화된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솔루션이다. 구여권과 신여권 모두에서 높은 인식률을 보이며 촬영 상태나 각도, 회전, 밝기 등 다양한 변수에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한다. 여기에 사용자가 직접 문서 서식을 학습시킬 수 있는 KVT(Key-Value Training) 기능과 다양한 문서 포맷 확장성이 더해져 차별성을 갖췄다. 참좋은여행 관계자는 “단
데이터브릭스는 구글 클라우드와의 새로운 전략적 제품 파트너십을 18일 발표했다. 이를 통해 최신 제미나이(Gemini) 모델이 데이터브릭스의 데이터 인텔리전스 플랫폼 내에서 네이티브 제품으로 제공된다. 해당 파트너십을 통해 기업들은 데이터브릭스 환경 내에서 고급 보안과 통합된 거버넌스를 바탕으로 자사 데이터를 활용한 AI 에이전트를 직접 구축·배포·확장할 수 있게 된다. 기업들이 자사 고유 데이터를 AI로 활용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답변에 대한 정확성과 보안, 규정 준수를 보장하면서도 운영 복잡성이 낮은 솔루션이 필요하다. 현재 많은 AI 도입 사례는 시스템 간 데이터 이동이나 단편적인 통제 관리로 인해 비효율을 초래하고 있다. 데이터브릭스와 구글 클라우드는 2021년부터 구글 클라우드 상에서의 대규모 데이터 솔루션을 공동 제공해왔으며 이번 파트너십 확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데이터브릭스의 통합 데이터 및 AI 플랫폼과 제미나이의 최첨단 모델을 결합함으로써, 기업은 보다 원활하고 안전하게 대규모 AI 솔루션을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다. 구글 제미나이 2.5(Gemini 2.5)는 AI 추론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또한 제미나이 2.5 프
엠클라우드브리지가 제32회 대한민국 인적자원개발 종합대회 ‘HRD KOREA 2025’에 참가해 기업 임직원 AI 활용 능력 강화를 위한 기업 맞춤 AI 에이전트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한국 HRD협회가 주최하고 월간 HRD가 주관하는 대한민국 인적자원개발 종합대회 ‘HRD KOREA 2025’는 1993년에 시작돼 국내 인적자원개발 분야의 저변 확대를 이끌어 온 행사로, 6월 16, 17일 양일간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개최됐다. HRD KOREA의 HRD엑스포는 컨설팅 기관, 교육기관 및 연수원, 에듀테크 기업, 출판사 등이 참여하는 HRD 교육 프로그램 종합 박람회다. 각 분야 HR분야의 종사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엠클라우드브리지 교육센터는 생성형 AI 시대의 트렌드로 떠오른 AI 에이전트를 설계하고 운영하는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기업 임직원 대상 맞춤 AI 에이전트 교육 과정을 소개했다. 엠클라우드브리지의 AI 에이전트 교육 과정의 각 커리큘럼은 최신 AI 기술 동향을 반영해 설계됐으며, 실습 중심의 학습 방식을 통해 임직원이 AI를 이해하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요 커리큘럼은 ▲기업 맞춤형 AI 에이전트를 설계하고 운영하
플래티어는 자사의 AI 개인화 마케팅 솔루션 ‘그루비(groobee)’를 제주항공에 제공했다고 18일 밝혔다. 그루비를 통해 제주항공 앱에서 고객 여정을 정교하게 설계하고 개인화된 커뮤니케이션을 실시간으로 운영해 마케팅 효율은 물론 장기적인 고객 관계 강화에도 성과를 내고 있다고 회사는 전했다. 그루비는 개인화 마케팅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통합 제공하는 SaaS형 솔루션이다. 실시간 빅데이터 처리와 머신러닝·딥러닝 기반의 AI 엔진을 활용해 고객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고 타겟팅, 추천, 성과 분석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한다. 특히 그루비는 고객 여정 기반 메시징 기능을 통해 항공 업종에 특화된 예약부터 탑승까지의 과정을 실시간으로 연결하고 여정 중단을 감지해 마케팅 기회로 전환하는 자동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단순 반복 메시지 대신, 고객의 현재 상황에 기반한 정밀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기존에는 마케터가 수동으로 각 캠페인을 기획하고 실행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 시나리오가 실시간으로 작동하고 있으며 고객 반응에 따라 콘텐츠와 메시지 방식도 유연하게 조정되고 있다. 유민수 플래티어 AI CX SaaS 사업부장은 “제주항공처럼 고객
산업용 머신 비전 소프트웨어 분야의 글로벌 리더 MVTec Software GmbH가 이달 초, 경기도 성남시에 한국 지사를 공식 설립하며 아시아 핵심 시장 공략을 본격화했다. 독일 뮌헨 본사를 둔 MVTec은 고도 산업화를 이룬 한국 시장을 전략 거점으로 삼아 고객 밀착형 기술 지원을 강화하고 파트너사 Teknix와의 장기 협업도 한층 고도화할 계획이다. MVTec은 대표 제품으로 고성능 범용 머신 비전 소프트웨어 HALCON과 비전 초심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로우코드 기반 MERLIC, 이미지 라벨링과 딥러닝 파이프라인 준비에 특화된 Deep Learning Tool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로봇 비전, 품질 검사, 코드 판독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하며 고정밀 자동화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머신 비전 기술은 최근 배터리 셀 검사, 반도체 웨이퍼 인식, 가전 조립라인 자동화 등에서 핵심 역할을 하며 MVTec은 이러한 기술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현지 맞춤형 기술 지원과 고객 상담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단순 기술 공급을 넘어 고객의 요구사항을 사전에 진단하고, 최적의 솔루션을 함께 설계하는 통합적인 기술
실용적 AI 기술이 세계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는 가능성 보여줘 슈퍼브에이아이가 컴퓨터 비전 분야 세계 최대 학회 ‘CVPR 2025’에서 개최된 두 개의 국제 AI 챌린지에서 각각 2위와 4위를 기록하며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다. 이번 성과는 고도화한 인프라 없이도 산업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실용적 AI 기술이 세계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로 평가된다. 슈퍼브에이아이는 ‘개별 객체 탐지 챌린지’에서 2위, ‘파운데이션 퓨샷 객체 탐지 챌린지’에서 4위를 달성했다. 특히 개별 객체 탐지 부문 2위 수상으로 CVPR 공식 발표 기회를 얻으며, 자체 개발한 비전 파운데이션 모델 ‘제로(ZERO)’의 기술력을 글로벌 무대에서 직접 소개할 수 있었다. 개별 객체 탐지 챌린지는 제조·물류·헬스케어 등 산업 현장에서 특정 제품이나 부품을 식별해야 하는 ‘정밀 객체 인식’ 기술을 평가한다. 단순히 ‘모든 컵’을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특정 컵’을 구별해야 하는 수준 높은 인식 정밀도가 요구된다. 이번 챌린지는 특히 라벨링 없이도 탐지가 가능한 비지도 학습 기반 평가로 진행돼, AI 도입 초기 기업들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대안 기술로 주목받았
다양한 언어모델과 환경에서의 유연한 배포 실현 투플랫폼은 노코드 기반의 AI 에이전트 빌더 ‘수트라 에어(AIRe) 빌더’를 공식 출시하고, 산업 전반에 걸친 AI 도입 가속화를 선언했다. ‘에어(AIRe)’는 AI 런타임 엔진의 약자로, 수트라 에어 빌더의 핵심 역할을 맡는다. 이 엔진은 멀티모달 대응, MCP와 A2A 구조를 지원하며, 다양한 언어모델과 환경에서의 유연한 배포를 가능케 한다. 복잡한 개발 과정 없이도 기업 내부 실무자들이 손쉽게 AI 에이전트를 설계하고 배포할 수 있어, AI 활용의 진입 장벽을 획기적으로 낮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용자는 ERP, CRM, 사내 메신저,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내부 시스템은 물론, 슬랙, 마이크로소프트 팀즈 등의 외부 협업 도구와도 손쉽게 연동해 활용할 수 있다. 캔버스 형태의 UI에서 조건 설정과 템플릿 호출, 시스템 연결을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 점은 비개발자에게도 직관적이다. 수트라 에어 빌더는 하나의 단순 에이전트 구성에 그치지 않는다. 서로 다른 역할을 맡은 복수의 에이전트들이 협업하는 고도화된 시나리오도 설계 가능하다. MCP와 A2A 프로토콜을 통해 고객 응대, 내부 승인,
하이크비전이 대규모 AI 모델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솔루션인 ‘아큐시크(AcuSeek) NVR’을 공개했다. 새롭게 출시된 아큐시크 NVR(Network Video Recorder)은 자연어 상호작용을 통합해 몇 초 내에 정확한 영상 및 이미지 검색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보안 담당자들이 영상 프레임을 하나씩 수동으로 검토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를 해결한다. 아큐시크 NVR은 하이크비전의 독점적인 관란(Guanlan) 대규모 AI 모델 기술을 활용해 대규모 매개변수 훈련과 샘플 데이터셋을 통해 멀티모달(multimodal) 텍스트-이미지 이해 능력을 구축했다. ‘전화 중인 사람’, ‘흰색 화물차’, ‘개와 산책하는 사람’과 같은 단일 문장이나 키워드를 입력하면 시스템이 영상에서 대상 특징을 신속히 추출하고 의미적으로 일치시켜 효율적인 검색이 가능하다. 레오 첸 Hikvision 제품 총괄 매니저는 “전통적인 비디오 검색은 수동 주석 작성에 의존하고 효율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며 “하이크비전은 아큐시크 NVR의 출시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적으로 AI 모델 알고리즘을 최적화하고 보다 많은 전문 분야로 확장해 AI 기술과 보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