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퍼스키가 인터폴과 협력해 국제 사이버 범죄 대응 작전인 ‘Operation Secure’에 참여했다. 이번 작전은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인포스틸러)를 활용한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1월부터 4월까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됐다. 작전에는 26개국 법집행기관과 민간 파트너들이 참여했으며 사이버 범죄에 연루된 용의자 30명 이상이 체포되고 2만 개 이상의 악성 IP 주소 및 도메인이 폐쇄되는 성과를 거뒀다. 인포스틸러는 사용자로부터 금융 정보, 계정 인증 정보, 쿠키 등을 탈취해 로그 파일 형태로 다크웹에서 유통되는 악성코드다. Kaspersky Digital Footprint Intelligence 팀은 2023년부터 2024년 사이 약 2600만 대의 Windows 기기가 인포스틸러에 감염되었으며 14건 중 1건은 신용카드 정보 유출 사례였다고 밝혔다. 이번 작전은 악성 인프라의 서버 위치를 추적하고 네트워크를 매핑해 표적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수행됐다. 카스퍼스키는 인터폴과의 협력 과정에서 정보탈취형 악성코드의 C&C 서버 관련 데이터를 제공했다. 조사 대상에는 약 70종의 인포스틸러 변종과 2만 6000개의 관련 IP 및 도메인이 포함됐으며 40개
KT가 경찰청과 195억 규모의 ‘경찰 바디캠 도입 사업’ 계약을 체결하고, 디지털 기반 치안 인프라 구축에 본격 착수한다고 23일 밝혔다. 전국 지구대와 파출소에 근무하는 경찰관 1만4000여 명에게 바디캠을 보급해 현장 대응력을 강화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치안 향상을 이루는 것이 이번 사업의 핵심이다. 향후 5년간 진행되는 이번 사업은 2024년 경찰관직무집행법 개정으로 바디캠이 정식 경찰 장비로 분류된 이후 처음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국가 치안 디지털 전환의 중요한 기점으로 평가된다. KT는 현장 경찰의 고충과 법적 이슈를 반영한 ‘AI 기반 All-in-One DEMS(Digital Evidence Management System, 디지털 증거관리시스템)’ 구축을 제안했다. ▲치안 현장 영상 디지털화해 증거 무결성 확보 ▲AI 기반 민감정보 자동 식별 및 비식별화 기능 ▲AI 분석 기반 수사 및 대응 지원 기능 ▲무선 전송 및 원본 보존 기능 등을 포함해, 스마트 치안 구현에 최적화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아울러 KT는 ‘112 신고 시스템 연계 스마트 단말 사업’도 함께 수주했다. 전국 순찰차에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공급하는 사업자로서,
인피니티시마(Infinitesima)는 ASML을 비롯한 파트너사들과 함께 3년에 걸친 공동 개발 프로젝트에 착수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Metron3D 300mm 인라인 웨이퍼 계측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본딩, 고개구율(high-NA) EUV 리소그래피, 그리고 상보성 전계효과 트랜지스터(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 CFET)와 같은 차세대 3D 로직 반도체 구조 등 첨단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계측 솔루션을 최적화하고 탐색하는 데 활용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인피니티시마의 RPM(Rapid Probe Microscope) 기술과 각 파트너사의 전문 역량을 결합해 고속 이미징, 간섭계 수준의 정밀도, 그리고 깊이 있는 3차원(3D) 표면 분석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관련 업계가 고속, 대량 생산 환경에서도 소자 전 구조에 걸쳐 정밀한 3D 계측 데이터를 확보해야 하는 시급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인피니티시마는 나노일렉트로닉스 및 디지털 기술 분야의 세계적인 연구·혁신 허브인 imec에 장비를 설치할 예정이다. 이렇게 설치된 시스템은 AS
한국퀀텀컴퓨팅(KQC)은 크립토포에이(Crypto4A Technologies)와 전략적 파트너쉽을 체결하고, 양자내성암호(PQC: Post Quantum Cryptography) 기반 보안 솔루션의 본격적인 상용화에 나선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전략적 파트너십은 양자내성암호(PQC) 기술의 개발 및 상용화를 가속화하고 이를 글로벌 시장으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국이 미래 보안산업에서 주권을 확보하고 아시아 양자보안 기술의 허브로 자리매김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캐나다 오타와에 본사를 둔 크립토포에이는 양자 내성 암호(PQC)를 기반으로 한 제5세대 양자 내성 보안 HSM(Hardware Security Modul, 하드웨어 보안모듈) 전문 기업이다. 크립토포에이의 QxHSM 플랫폼은 양자컴퓨팅의 위협으로부터 완벽한 보안을 제공하기 위해 PQC를 포함한 하이브리드 암호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설계된 차세대 하드웨어 보안 모듈(HSM)이다. 현재의 암호체계(RSA, ECC 등)는 양자컴퓨팅 기술의 발전으로 급격히 위협받고 있어, 미국 NIST(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를 비롯한 전세계가 PQC 표준화와 실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레드햇은 지난 22일 잠실 롯데월드타워 SKY31 컨벤션에서 열린 ‘앤서블 오토메이트 2025(Ansible Automates 2025)’ 행사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레드햇 앤서블 오토메이트 2025는 ‘Day 2 운영 혁신을 위한 실시간 IT 자동화 전략’이라는 주제로 진화하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레드햇 앤서블 오토메이션 플랫폼(Red Hat Ansible Automation Platform)을 활용한 보안·운영·애플리케이션 간 자동화 구현 방안을 소개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앤서블 오토메이션을 통해 Day 2 운영 환경을 효율적으로 자동화하는 방법과 더불어 ▲ AWX 리디자인 및 보안 자동화 ▲이벤트 기반 자동화를 통한 실시간 대응 전략 ▲IT운영과 보안 관리 자동화 ▲ 가상화 및 AIOps 환경을 위한 자동화 전략 등에 관한 전문적인 세션 발표가 이어졌다. 김종민 한국레드햇 상무는 기조연설을 통해 “지금은 AI를 통해 실질적인 가치를 만들어내야 하는 시대”라며 “레드햇 앤서블 오토메이션 플랫폼은 AI 기반 대규모 인사이트를 실시간으로 실행에 옮길 수 있도록 하면서 AIOps의 가치를 실현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엔터프라이즈를 위한 통합 자동
파수가 데이터 보안 플랫폼 ‘파수 DSP 클라우드’를 출시하고 SaaS 기반 보안 시장 공략에 나섰다. 파수는 이번 출시를 통해 고객의 보안 솔루션 도입 문턱을 낮추고 반복 매출 기반 수익 모델로의 전환을 본격화한다는 전략이다. 파수 DSP 클라우드는 파수의 대표 데이터 보안 제품군을 별도 인프라 없이 SaaS 형태로 빠르게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입 시 자동으로 보안 정책이 설정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생성되며 약 10분 내 사내 적용이 가능하다. 영구 라이선스 대비 초기 도입 비용이 낮고, 자동 업데이트 및 보안정책 관리 기능을 포함해 운영 편의성도 높였다. 해당 클라우드를 통해 제공되는 주요 솔루션은 문서 보안 솔루션 ‘FED’, 출력물 보안 ‘FSP’, 화면 보안 ‘FSS’, 백업 복구 ‘FC-BR’, 개인정보 보호 솔루션 ‘FDR’ 등이다. 이 중 FED는 로컬과 클라우드 환경을 아우르는 일원화된 정책 관리와 지속적 암호화, 전방위 추적 기능을 제공하는 하이퍼 DRM 솔루션이다. 설정된 권한에 따라 문서 열람, 편집, 인쇄를 제어하며 문서 생성부터 폐기까지 전 과정을 보호하고 기록한다. 파수는 DSP 클라우드를 통해 전문 인력이 부족한 중소·중
AIoT 전문기업 하이크비전이 글로벌 인증 기관 SGS로부터 자사 다수 제품에 대해 유럽연합 사이버보안 표준 ‘EN 18031’ 인증을 획득했다. 해당 인증은 2025년 1월부터 CE 무선 장비 지침(CE-RED) 하에서 의무화된 규격으로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한 핵심 요건이다. EN 18031은 무선 및 IoT 기기의 핵심 보안 요건을 규정하며 하이크비전은 SGS의 독립 평가를 통해 이를 충족함으로써 국제 규제 기준에 부합하는 보안 역량을 입증했다. 해당 기준은 Wi-Fi/4G 카메라, 블루투스 기기, 차량 내 연결 구성요소 등 다양한 제품군에 적용된다. 하이크비전은 디바이스,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운영 보안 등 5개 차원에 걸쳐 다층 보안 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를 설계부터 유지보수까지 전 과정에 통합 적용해 제품 무결성과 탄력성을 확보하고 있다. 더불어 사이버복원력법(CRA), 개인정보보호법(GDPR), 영국 PSTI 법안, 싱가포르 CLS, 일본 JC-STAR 등 글로벌 법규 준수를 위한 조치도 강화 중이다. 하이크비전 타이(Tai) 한국지사장은 “보안 인식 제고와 기술 혁신을 통해 신뢰 가능한 디지털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텔레픽스(TelePIX)는 북한 황해북도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으로부터 발생한 폐수 슬러지 면적을 위성영상으로 분석한 결과를 23일 공개했다. 폐수 슬러지는 우라늄 추출 과정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물질과 중금속을 포함한 고형 폐기물로, 핵시설 가동이 늘어날수록 침전지 내 슬러지 면적도 함께 증가하는 특징을 보인다. 텔레픽스의 위성 데이터 분석 기관인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연구소’는 미국 플래닛랩스(Planet Labs)의 지구관측용 위성 플래닛스코프(Planetscope)로 촬영된 위성영상을 분광 분석해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 침전지 내 슬러지와 저수 구역을 구분하고 슬러지 면적을 산출했다. 분석에 따르면 2023년 10월 29일 촬영된 영상에서는 슬러지 면적이 15.4헥타르(ha)였지만 2024년 10월 31일에는 16.5ha로 늘었다. 이 기간 동안 슬러지 면적은 하루 평균 29.9㎡씩 증가한 셈이다. 이러한 확장 속도는 이후 더욱 빨라졌다. 2025년 6월 23일 촬영된 위성영상에서 확인된 슬러지 면적은 20.5ha다. 불과 8개월 사이 4ha, 하루 평균 170.2㎡씩 확장된 것이다. 이는 직전 1년간 평균 속도와 비교해 약 5.7배 빠른 수치다. 지속
베스핀글로벌과 노르마가 양자 클라우드 확산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협력은 AI 기반 클라우드 운영 역량을 갖춘 베스핀글로벌과 양자 클라우드 분야의 기술력을 보유한 노르마가 손잡고, 차세대 산업 수요에 대응하는 융합 서비스를 공동 개발하기 위한 포석이다. 양사는 기존 클라우드 서비스 고객의 양자 클라우드 도입 확대를 촉진하고,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협력한다. 베스핀글로벌은 클라우드 전문 인력을 지원해 고객의 원활한 양자 클라우드 전환을 돕고, 노르마는 양자 AI 및 클라우드 서비스를 베스핀글로벌을 통해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양자 클라우드 확산을 위한 공동 마케팅, 기술 교류, 양자 교육, 전문 인력 양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노르마는 초전도체 84큐비트, 54큐비트, 32큐비트, 이온트랩 12큐비트까지 총 4대의 리얼 머신 기반 클라우드 시스템을 독자 운영하며 차별화된 기술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베스핀글로벌과 노르마는 AI MSP 역량과 양자컴퓨팅 기술 간 시너지를 극대화해 공공·금융·헬스케어 등 고신뢰 고연산이 필요한 분야를 중심으로 고도화된 지능형 인프라 구축을
하이크비전이 글로벌 인증 기관인 SGS로부터 자사의 다수 제품이 국제 사이버 보안 표준 ‘EN 18031’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EN 18031은 무선 및 IoT 기기(Wi-Fi/4G 카메라, 블루투스 헤드셋, 차량 내 연결 구성 요소 등)에 대한 핵심 보안 및 품질 요구사항을 정의한다. 해당 인증은 2025년 1월부터 EU의 CE 무선 장비 지침(CE-RED)에 따라 EN 18031 준수가 의무화되어 EU 시장 진출을 위한 필수 요건이 됐다. 이에 하이크비전은 글로벌 시험, 검사, 인증 기업인 SGS(Société Générale de Surveillance)가 실시한 독립적인 평가를 통해 EN 18031 시리즈 사이버 보안 표준 인증을 획득해 유럽 연합(EU) 지정 기관을 통해 규제 표준을 준수했음을 입증 받았다. 여러 기업들이 진화하는 표준과 새로운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제품 보안 아키텍처를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하이크비전의 접근 방식은 디바이스 보안, 네트워크 보안, 애플리케이션 보안, 데이터 보안, 운영 보안 5개 핵심 차원에 걸쳐 다층적인 보호 체계를 적용한다는 특징이 있다. 회사는 이러한 조치를 설계, 생산 및 유지보수 단계마
아미텍(AMETEK)이 파로 테크놀로지스(FARO Technologies)를 약 9.2억 달러에 인수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이 거래는 파로 주주들의 승인 및 모든 규제 당국의 승인을 받은 후 이루어졌다. 이 합병의 완료로 인해 파로의 보통주는 나스닥에서 거래 목록에서 제외된다. 아미텍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인 데이비드 A. 자피코(David A. Zapico)는 “파로의 3D 측정 및 디지털 현실 솔루션 분야의 리더십은 우리 회사의 정밀 측정 능력을 강화하며, 매력적인 시장 부문으로의 확장 전략을 지원한다”며, 인수 완료에 대한 환영의 입장을 전했다. 아미텍에 따르면, 파로는 아미텍의 전자기기 그룹 내 초정밀 기술 부문(Ultra Precision Technologies Division)에 편입된다. 파로는 휴대용 측정 암, 레이저 스캐너 및 트래커, 소프트웨어 솔루션, 종합 서비스 제공 등을 포함한 3D 측정 및 이미징 솔루션 분야의 선도적 공급업체다. 파로의 정밀 제조 및 디지털 현실 솔루션은 다양한 최종 시장 분야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파로의 연간 매출은 약 3.4억 달러다. 파로, 크레아폼, 버텍(Virtek)은 이제 산업에서 가장 포괄적이고
코오롱베니트가 대신피아이씨와 함께 ‘IoT 전기안전 예측경보시스템’을 공동 개발, 출시했다. 이 시스템은 실시간 자가진단과 원격 모니터링 기능을 통해 전기화재 및 감전 사고를 사전에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전기안전 예측경보시스템이다. 양사는 대형 빌딩과 플랜트 시설 등 중대형 건축물을 관리하는 전기안전(화재, 감전, 누전) 예측경보시스템과 통합 IoT 전기안전 모니터링 솔루션을 공동 개발했다. 대신피아이씨는 국내 특허를 보유한 ‘3상 전력품질분석기’와 관련 기술정보를 제공하고, 코오롱베니트는 IoT 플랫폼 개발 역량을 살려 실시간 관제 시스템과 모바일 플랫폼을 구축했다. 이 사업은 2023년 신설된 전기안전관리법 관련 법령 시행에 맞춰 본격화됐다. 산업통상자원부 고시에 따르면 전기설비의 안전성과 효율적 관리를 위해 전압, 전류, 주파수, 지락 등 이상 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원격 차단·경보·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원격감시·제어시스템’ 구축이 사실상 의무화되고 있다. 코오롱베니트의 전기안전 모니터링 솔루션은 전기설비 상태를 정밀 진단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 솔루션은 실시간 데이터 수집, 이상 신호 탐지, 시각화, 리스크 대응 기능
에이디링크 테크놀로지는 전력 조건이 변동되는 환경에서 작동하는 산업용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해 설계된 새로운 Mini-ITX 마더보드 AmITX-RL-WV를 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인텔 H610 칩셋 기반으로 설계된 AmITX-RL-WV는 14세대, 13세대, 12세대 인텔 코어 i9/i7/i5/i3 프로세서(최대 65W TDP)를 지원하며, 12–28V DC의 넓은 전압 입력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조합은 전력 변동이 자주 발생하는 공장 자동화, 머신 제어 시스템, 운송, 키오스크, 모바일 의료 카트 등의 환경에 이상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170mm x 170mm의 컴팩트한 Mini-ITX 폼팩터를 채택한 AmITX-RL-WV는 강력한 연산 성능과 함께 다양한 입출력 및 확장 기능을 제공한다. 주요 특징은 ▲PCIe 4.0 x16 슬롯 ▲듀얼 2.5GbE LAN 포트 ▲최대 64GB DDR4 3200 MHz 메모리: 안정적인 멀티태스킹 성능 제공 ▲M.2 B/E/M-Key 슬롯, USB 3.2 Gen2, RS-232/422/485 COM 포트 에이디링크 엣지 컴퓨팅 플랫폼 사업부의 제품 매니저 HC Lin은 “산업용 시스템 설계자들은 현장에서 불안
이에이트(E8)는 22일 스테이블코인 등 가상자산 관련 사업을 전담할 자회사 ‘이에이트 네오(E8 NEO)’를 설립했다고 밝혔다. E8 NEO는 자체 스테이블코인 ‘NCO(NEO COIN)’ 발행·운영을 통한 디지털 트윈 생태계 고도화 및 컨설팅 서비스, 스테이블코인과 연계된 가상자산 투자 등을 추진한다. 자회사 출범과 함께 ‘NCO’, ‘KRNC’, ‘USNC’ 등 가상자산에 대한 상표권 출원도 완료했다. 이에이트는 세종 및 부산 국가시범도시 스마트시티의 디지털 트윈 구축 사업에 참여 중으로 이에이트 네오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는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기반으로 가상자산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사업 생태계 강화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에이트는 지난 6월 국내 4세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자산거래소 ‘비단(Bdan)’과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가상자산 관련 기업과의 협업을 진행 중이다. 김진현 이에이트 대표는 “스테이블코인을 비롯한 가상자산 생태계가 구축돼 실질적 효용을 가지려면 신뢰할 수 있는 인프라와 명확한 사용처가 전제되어야 한다“며 ”이에이트 네오는 축적된 디지털 트윈 경험과 풍부한 유
미루웨어는 INFINITIX와 국내 시장 확대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 및 국내 판매대리점 계약을 22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대만에 거점을 둔 INFINITIX는 2017년부터 GPU 컴퓨팅 스케줄링 및 AI 인프라 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는 글로벌 기업이다. 엔비디아(NVIDIA)의 글로벌 Solution Advisor 및 2024년 AMD GPU 에코시스템 구축 파트너 어워드 수상 이력을 가지고 있다. INFINITIX의 핵심 솔루션인 ‘AI-Stack’은 포괄적인 GPU 리소스 스케줄링 및 컴퓨팅 성능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동시에 DeepSeek, Llama 및 Qwen을 포함한 주요 LLM을 위한 내장 추론 서비스형 인프라(IaaS) 서비스를 제공한다. RCS(Rapid Container Service)를 통해 사용자는 최첨단 모델을 위한 추론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할 수 있어 모델 설정의 복잡성 없이 실시간 추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AI 도입 장벽을 획기적으로 낮추는 동시에 배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업계 최초인 고객 요구에 맞추어 GPU 리소스를 분할, 사용할 수 있는 쉐어 모드와 고성능 HPC 환경 구성을 제공한다. CPU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