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K가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 결과, 공모가를 희망밴드 상단을 웃도는 20,000원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4월 24일부터 닷새간 진행한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는 총 2,113개 기관이 참여해 783.2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참여한 기관투자자의 98.72%(총 2,086건)이 공모가 밴드(13,000원 ~ 16,000원) 상단 이상의 가격을 제시하며 ICTK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입증했다. 상장 주관사인 NH투자증권 관계자는 “반도체 보안 시장 트렌드를 앞장서는 ICTK의 기술 경쟁력과, 자체 IP(지적재산권)를 통한 높은 수익성이 특히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ICTK는 ‘VIA PUF(비아 퍼프)’라는 고유한 기술을 통해 통신장비나 기기에 복제 불가능한 신뢰점(Root of Trust)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보안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기업이다. ICTK만의 원천 기술을 활용한 보안칩은 물론 보안모듈과 디바이스, 솔루션과 플랫폼에 걸친 다방면의 제품 라인업을 보유하며, 원가 경쟁력에서 우위를 가진 만큼 궁극적으로 50% 이상의 높은 영업이익률 확보를 자신한다. 현재 대표적인 고객사인 LG유플러스에 PUF
서프컴퍼니가 작년 현대자동차 제로원펀드, 현대글로비스의 투자에 이어 한국투자액셀러레이터까지 투자자로 맞이해 시드 라운드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투자금은 비공개다. 서프컴퍼니는 다른 플랫폼에서 제공하기 어려웠던 항로별 선사·포워더 운임 비교뿐만 아니라 실제 선적 예약까지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투자를 통해 항만·선사·운송사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자체 시스템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서프컴퍼니는 현대자동차 그룹 사내벤처로 현대글로비스에 재직중이던 직원들이 분사 창업한 회사다. 2023년 2월 분사 이후 KDB 2022 Start Up에서 대상, 2023 해양수산창업콘테스트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등 각종 스타트업 콘테스트에서 수상 실적을 올렸고, 중소벤처기업부 R&D 지원 프로그램인 TIPS에 선정되며 기술력을 입증한 바 있다. 서프컴퍼니 관계자는 "본격적으로 사업확장을 시작한 2024년 1월 대비 월간 활성화 사용자 지수(MAU)는 3배 이상 성장했다. 웹을 통한 견적 문의는 5배 이상 증가해, 현재 30여 개 이상의 수출입기업으로부터 100개 이상의 컨테이너를 운송건을 수주 및 매칭했다"라고 밝혔다. 대부분의 산
코코넛사일로가 관광 기업의 혁신 활동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는 ‘2024 관광기업혁신바우처 지원사업’에 함께 할 수혜 기업을 모집한다. 한국관광공사가 주관하는 관광기업혁신바우처 지원사업은 관광 기업의 고민을 해결하고 업무 프로세스를 효율화하기 위해 기업별 요구에 따라 필요한 기술 등의 서비스를 바우처 형태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코코넛사일로는 해당 지원사업의 서비스 제공 기업으로 선정됐다. 코코넛사일로는 현대자동차그룹의 사내 스타트업으로 초기 발족한 기업이다. 2020년에는 베트남, 2022년 라오스로 사업을 확장하며 해외 진출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해당 사업에서는 ▲스마트 기반 기술 도입 ▲온라인 플랫폼 구축 및 UX/UI 고도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코코넛사일로의 관계자는 “맞춤형 기술 지원 및 UX/UI 고도화 서비스를 통해 수혜기업의 사업 확장에 많은 도움을 드리고 싶다”며, “당사의 서비스가 필요한 관광 관련 기업들의 많은 참여를 바라며, 과제 수행 이후에도 수혜기업에게 마케팅 지원 등 후속 조치까지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스콥정보통신이 ‘2024 글로벌 강소기업 1000+’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가 주관하는 ‘글로벌 강소기업 1000+ 프로젝트’는 기술력과 혁신성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는 수출 유망 중소기업을 선정하여 지원하는 국가사업으로 중기부는 기업과 제품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평가를 통해 2024년 글로벌 강소기업 473개 사를 최종 선정했다. 세계 최초로 IPAM(네트워크 자원관리) 솔루션을 개발한 스콥정보통신은 25년간 고도화된 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현재까지 전 세계 30여 개 국가의 5,000여 고객사에 제품을 공급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네트워크 자원관리 및 제어 기술 전문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스콥정보통신의 ‘아이피스캔’ 제품군은 사내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모든 기기를 탐지하고 정책에 따라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자원관리 및 접근제어 솔루션이다. 고객 환경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에 에이전트를 설치하지 않는 ‘아이피스캔 v8.0’과 에이전트를 설치하는 ‘아이피스캔 NAC v8.0’으로 맞춤 제공되고 있으며, 출시 후 현재까지 8회의 메이저 업그레이드를 포함 25년 기술 고도화를
아비바가 산업 인텔리전스 플랫폼 ‘커넥트(CONNECT)’를 공개했다. 기존에 ‘아비바 커넥트’에서 ‘커넥트(CONNECT)’로 변경된 이 플랫폼은 슈나이더 일렉트릭, RIB, ETAP 및 광범위한 파트너 공급업체의 애플리케이션의 연동을 지원해 고객이 운영하고 있는 산업 생태계 전반의 인사이트를 통합하고, 지능형 디지털 트윈을 구축할 수 있게끔 돕는다. 이를 통해 고객은 각 분야 의사결정권자들이 신뢰할 수 있고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성과를 높이고 효율성을 최적화하는 동시에 지속가능성을 극대화하여 ROI를 높일 수 있다. 새롭게 출시된 ‘커넥트(CONNECT)’는 전체 산업 라이프사이클을 실시간으로 아우르는 개방적이고 중립적인 디지털 플랫폼으로, 기본 데이터 서비스, 시각화 서비스, 모델링 및 분석 기능, 애플리케이션 개발 서비스와 더불어 서비스 및 사용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데이터, 디지털 트윈, 산업 인공 지능, 심층적인 도메인 전문 지식을 단일 환경 내에 통합하며,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클라우드 기반인 덕분에 고객이 역량을 손쉽게 확장하고 새로운 차원의 지속 가능성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캐스퍼 허즈버그 아비바 CEO는 "연결된 산업 경
하이크비전이 2023년 연간 재무 실적 및 2024년 1분기 실적을 공개했다. 하이크비전의 보고에 따르면, 수익은 전년 대비 7.42% 증가해 893억 4천만 위안(한화 약 16조 9,728억 원)을 기록했다. 회사 주주 귀속 순이익은 141억 1천만 위안(한화 약 2조 6,806억 원)으로 2022년 대비 9.89%의 성장을 달성했으며, 총 현금 배당금은 84억 위안(한화 약 1조 5,955억 원)으로 회사 주주 귀속 순이익의 59.52%를 차지했다. 해외 본업 수익은 전년 대비 8.83% 증가한 239.8억 위안(한화 약 4조 5,550억 원)으로 전체 수익의 26.84%이며, 국내 본업 수익은 468.1억 위안(한화 약 8조 8,915억 원)으로 전체 수익의 52.40%다. 혁신 사업 수익은 185.5억 위안(한화 약 3조 5,235억 원)으로 전체 수익의 20.77%를 차지했다. 하이크비전은 2023년도 연간 재무 실적과 함께 2024년 1분기 실적도 발표했다. 분기별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98% 증가한 178억 2천만 위안(한화 3조 3,849억 원)을 기록했으며, 1분기 회사 주주 귀속 순이익은 19억 2천만 위안(한화 3,647억 원)으로
SK C&C가 ‘디지털 탄소 여권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제3자 검증 서비스’를 제공해 EU 탄소 규제에 빠르게 대응하는 패스트 트랙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SK C&C는 글래스돔과 함께 개발한 ‘디지털 탄소 여권 플랫폼’을 통해 EU 디지털 배터리 여권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로이드인증원(LRQA) 제3자 검증 서비스’를 제공한다. EU는 2027년부터 배터리 생산·이용·폐기·재사용·재활용 등 제품 전주기 정보를 디지털로 기록하고 공유하는 ‘디지털 배터리 여권’ 제도를 도입한다. 특히 EU는 국제 표준 ISO 14067를 바탕으로 탄소배출량 데이터에 대해 ‘제3자 검증’을 받도록 요구할 방침이다. 로이드인증원은 EU가 인정한 탄소 배출권 거래제 검증 공인 기관 중 하나로, 현재는 160여 개 국가에서 국제 표준 인증 및 검증을 실시하고 있다. SK C&C와 글래스돔이 함께 개발한 디지털 탄소 여권 플랫폼은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콥3 전주기평가를 자동화된 관리 체계로 지원하는 종합 디지털 탄소 배출량 관리 플랫폼이다. 이 플랫폼은 국제 표준 ISO 14067에 따라 탄소 배출량 리포트를 자동 생성할 뿐만 아니라, 원료 채취부터 제조,
LS ELECTRIC이 창립 50주년을 맞아 탄소배출 저감, RE100, 에너지 효율화 등 중소기업들이 직면한 문제들에 대한 솔루션을 제시했다. LS일렉트릭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20회 2024 국제 전기전력 전시회’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한국전기기술인협회 주최로 열리는 국제 전기전력 전시회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신기술, 신제품, 신재생, 전기차 핵심 기술 등 다양한 스마트 에너지 솔루션을 소개하고 있다. LS일렉트릭은 창립 50주년을 맞는 올해, 본 전시에 처음으로 참가해 중소기업들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전력 신기술·제품, 신재생, EV 핵심 기술 등 다양한 스마트 에너지 솔루션을 선보이며, 전력품질, 효율, 탄소중립을 주제로 브랜드와 기술력을 알리고 있다. LS일렉트릭은 13.3부스 전시 공간을 마련, 에너지 효율관리 플랫폼 ‘그리드솔 큐브’,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 자산관리시스템, 스마트 스위치기어 등 IoT 디지털 기술 기반의 스마트 컨트롤 솔루션을 선보였다. 이와 함께 솔리드 스테이트 변압기, DC-DC 컨버터, DC 반도체 차단기 등 ‘DC 배전 솔루션’과 국내 최초로 개발한 친환경 g3 GIS를 비롯해 식물유 변압기, 유연송전시스템 등 그
아이엘사이언스가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을 이용한 리튬 덴드라이트 억제 방법 및 효과’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고 밝혔다. 리튬이온배터리는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양극과 음극 물질 간 전자 이동으로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다. 양극의 리튬 이온이 음극으로 이동하면서 배터리가 충전되고, 음극의 리튬 이온이 양극으로 돌아가면서 배터리가 방전되는 원리다. 현재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리튬이온을 흑연이나 실리콘에 저장하는 특징이 있다. 에너지 밀도면에서 새로운 음극재 개발이 진행되었고 흑연 등 기존 음극재가 대체되고 있으며, 리튬 금속이 이론적으로 최종적인 음극재로 간주되고 있다. 리튬 금속을 음극으로 사용하는 배터리는 기존 흑연에 비해 가벼워 음극재의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리튬 금속이 이론적으로 최종적인 음극재임에도 불구하고 상용화되지 못한 이유 중 하나는 리튬 금속을 사용할 때 ‘리튬 덴드라이트’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리튬 덴트라이트’는 충방전 시 금속 리튬이 성장하면서 미세한 선 모양의 덩어리가 형성되는 현상인데 이 덴드라이트의 불균형 형성이 배터리의 수명과 성
LG CNS와 대한제강이 손잡고 합작법인 ‘아이모스(Aimos)’를 설립해 'AI 철스크랩 판정 솔루션' 사업 본격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아이모스는 ‘AI 철스크랩 판정 솔루션’ 사업을 본격화한다. 철스크랩은 철과 스크랩(Scrap)의 합성어로 고철, 쇠 부스러기 등을 의미한다. 철스크랩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철스크랩을 활용하는 전기로 방식은 석탄을 사용하는 용광로(고로) 방식 대비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이 적기 때문이다. 아이모스의 ‘AI 철스크랩 판정 솔루션’은 ▲도금과 도색이 안 된 파이프 등 가공하지 않은 고품질의 ‘생철’ ▲대형기계 해체물과 같이 부피가 크고 무거운 ‘중량’ ▲자전거, 농기구 등 생활 고철로 대표되는 ‘경량’ 등 한국산업표준에 맞춰 철스크랩 등급을 구분한다. 철스크랩의 등급에 따라 가공·정제 과정이 달라진다. ‘AI 철스크랩 판정 솔루션’은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SaaS 형태다. LG CNS와 대한제강은 긴밀한 협력을 거쳐 ‘AI 철스크랩 판정 솔루션’을 상용화했으며, 대한제강 현장에도 적용했다. ‘AI 철스크랩 판정 솔루션’은 AI 비전 카메라를 통해 화물차에 적재된 수백 개 이상의 철스크랩을
대형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 등을 바탕으로 생성형 AI 기술은 빠르게 발전해 우리 생활 속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많은 기업이 고객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LLM을 활용한 챗봇을 도입하고 있다. 상담원 연결 이전에 고객 질문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응답할 수 있는 AI 챗봇을 운영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SKT도 5G 요금제, 공시지원금 등 국내 통신 관련 용어와 통신사 내부 지침을 학습한 '텔코LLM'을 6월 중 개발 완료해 3분 넘게 걸렸던 통신 고객 상담 시간을 확 줄이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LLM은 문서 자동 생성 및 요약 분야에서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LLM 기술을 이용하면 계약서, 보고서, 이메일 등의 문서를 자동으로 생성하거나 요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문가들은 반복적인 작업에서 벗어나 더 중요한 분석이나 의사결정 작업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작년 한글과컴퓨터가 공개한 LLM을 활용한 '한컴 어시스턴트'는 스마트 문서 작성 엔진이 여러 LLM과 연결돼 동작해 문서 작성자의 의도를 분석해 자동으로 문서와 그래프 생성을 돕는다. 주어진 언어 범위 내에서 정해진 패턴이나 구조, 관계를 학습하는 기존
대형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 등의 생성형 AI 기술은 빠르게 발전해 우리 생활 속 편의를 제공하며 기업에게는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많은 기업이 고객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LLM을 활용한 챗봇을 도입하고 있다. 상담원 연결 이전에 고객 질문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응답할 수 있는 AI 챗봇을 운영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있는 것이다. SKT는 5G 요금제, 공시지원금 등 국내 통신 관련 용어와 통신사 내부 지침을 학습한 '텔코LLM'을 6월 중 개발 완료해 3분 넘게 걸렸던 통신 고객 상담 시간을 확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LLM은 문서 자동 생성 및 요약 분야에서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LLM 기술을 이용하면 계약서, 보고서, 이메일 등의 문서를 자동으로 생성하거나 요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문가들은 반복적인 작업에서 벗어나 더 중요한 분석이나 의사결정 작업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작년 한글과컴퓨터가 공개한 LLM을 활용한 '한컴 어시스턴트'는 스마트 문서 작성 엔진이 여러 LLM과 연결돼 동작해 문서 작성자의 의도를 분석해 자동으로 문서와 그래프 생성을 돕는다. 주어진 언어 범위 내에서 정해진 패턴이나
품질 검사에서 가장 활발하게 사용돼 왔던 머신비전 및 계측 기술. 4차산업혁명 시대 모든 산업에서 머신비전은 중요한 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딥러닝 등 AI 기술이 융합되면서 머신비전 및 계측 기술도 한 단계 진화하고 있다. 3D, 스마트카메라, 센서의 진화, 소형화, 임베디드 비전, 로봇 기반 비전, AI 융합 등은 머신비전 분야의 핫 키워드다. 머신비전앤메트롤로지는 4차 산업혁명 시대 필수 기술인 머신비전과 계측 기술에 대한 국내외 최신 산업 트렌드, 신제품과 신기술 등 다채로운 정보를 소개한다. NEWS 50년 이상 진화해 온 3차원 측정기(CCM), 다음 단계는 무엇일까? 세계 머신비전 시장, AI·자동화로 2028년 184억 달러 예상 SPECIAL REPORT 이스라비젼, 머신비전 품질관리로 배터리 제조 경쟁력 ↑ 뉴로클 이홍석 대표 "딥러닝으로 배터리 품질 검사 새 시대 연다" 코그넥스, AI 알고리즘 적용한 비전검사 솔루션으로 생산 효율성 ↑ 키사이트, 충전 혁신으로 전기차 대중화 당긴다 배터리 품질 끌어올리는 LMI 3D 검사 솔루션 배터리 제조 혁신하는 품질 검사 딥러닝 솔루션은? EXHIBITION REVIEW 배터리 품질 검사의 필수
뉴로메카가 유즈플레이스와 ‘글로벌 시장 진출 및 비즈니스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뉴로메카는 2013년부터 지난 10년 이상 축적해 온 협동로봇 개발 및 제조 기술업이다. 공장 자동화 및 식음료 분야에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해 오고 있으며, 국내 최고 수준의 역량을 확보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비즈니스 확대를 가속화하기 위해 국내 F&B 신규 사업 발굴 및 글로벌 시장 개척을 추진하고 있다. 유즈플레이스와 체결한 양해각서에는 시장 확대를 위한 전략 수립과 엑셀러레이팅, 푸드테크 기술 기반의 프랜차이즈 개설, 글로벌 마케팅 기획 및 실행 등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 양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국내 신규 비즈니스 및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협업 체계를 함께 구축할 계획이다. 뉴로메카 박종훈 대표는 이번 MOU 체결에 대해 “유즈플레이스와의 협력을 통해 국내 사업 확장은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의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이번 MOU는 뉴로메카의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을 가속화하고, 양사가 상호 보완적인 강점을 활용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헬
피엠그로우가 배터리 구독서비스를 통해 획득한 배터리 데이터를 복수의 국내 대학에 연구목적으로 제공한다. 피엠그로우는 이번 산학협력 프로젝트에 참여 의사를 밝힌 강원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교수진과 전기차 배터리 데이터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연구 및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내용의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배터리 데이터 무상제공을 통해 전기차 배터리의 성능 최적화, 안전성 향상, 그리고 재사용 활성화 연구에서 의미 있는 진전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연구 결과는 다양한 학술 자료 및 논문 발표뿐만 아니라 관련 신사업 발굴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피엠그로우가 대학에 제공하는 데이터는 최근 6개월간 배터리 구독 서비스를 통해 수집된 운행 데이터와 충·방전 데이터이며, 이는 배터리 상태, 충전 이력, 차량 운행거리 등 전기차의 모든 배터리 이력정보가 포함된다. 이번 협약은 단편적인 데이터 제공을 넘어서, 학계와 산업계가 맞손을 잡고 전기차 배터리 기술에서 의미 있는 공동연구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대학들은 실험실에서는 확보하기 힘든 산업현장의 데이터를 전문기업을 통해 제공받아 ▲배터리 수명 예측 연구개발 ▲최적의 충방전 프로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