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STECH(이하 파스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이더넷 통신 최대 254개 모듈 연결 가능한 Ezi-IO 모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파스텍이 이번 AW 2025에서 선보인 Ezi-IO Input/Output 모듈의 주요 기능은 디지털 입출력 신호의 처리 및 제어로,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한다. 고속 이더넷 기반 EtherCAT을 지원하여, 100Mbps의 통신 속도로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표준 이더넷 통신을 지원하며, 최대 254개의 모듈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RS-485 통신을 지원하여, 간편한 배선과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특히 유연한 입출력 구성 방식으로 독립된 16채널 또는 32채널의 입력 및 출력 모듈을 지원하며, NPN 또는 PNP 타입을 선택할 수 있어 다양한 설치 환경에 적용되며, 력
아메스산업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반도체용 첨단 제조 시스템 장비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아메스산업이 이번 AW 2025에서 선보인 반도체용 첨단 제조 시스템 장비는 고정도, 고신뢰성을 실현하여 다양한 특화 기능을 제공한다. 고속, 정밀 모터 제어를 쉽고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네트워크 구성의 편리성으로 제어 시스템에 적용이 용이하다. 한편, 아메스산업은 반도체 제조 공정의 자동화를 위한 다양한 장비를 개발 및 생산하고 있다. 또한 전자 제조 서비스로서 표면 실장 기술(Surface Mount Technology)을 활용한 생산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제어기를 개발 및 공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AW 2025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팩토리엑스포(Smart Factor
DPIN(이하 디피아이엔)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고강성 2축 주물(바디) 강성 스테이지 장비를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디피아이엔이 이번 AW 2025에서 전시한 2축 주물(바디) 강성 스테이지는 인장강도, 충격강도, 내마모성, 내열성이 우수한 고강성 주물 스테이지로 일반적인 스테이지를 사용하기 어려운 환경이나 변성이 없어야 하는 곳에 사용하기 적합한 장비이다. 미세한 위치 조정이 가능하며 실험실이나 산업 현장에서의 정밀 작업에 적합하다고 전했다. 한편, 디피아이엔은 미크론 단위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정밀가공기술을 기반으로, 국내 광관련 산업, 레이저, FA(Factory Automation), IT 산업 분야의 관련 부품 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특히 스테이지 슬라이딩 방식, 스테이지 구동방식, 스테이지 취급방법 등 다양한 기
모터114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최대 32축 지원 가능한 리드샤인 EnterCAT PLC와 스텝을 결합한 장비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모터114가 이번 AW 2025에서 선보인 리드샤인 EnterCAT PLC와 스텝을 결합한 장비는 다축 제어 기능이 탑재되어 EnterCAT 기반의 모션 제어 시스템을 통해 최대 32축의 동기화된 제어를 지원한다. EnterCAT을 사용하여 고속, 실시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여 이를 통해 시스템의 응답성과 제어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품 라인업으로는 스텝 모터 드라이버, 서보 모터 드라이버, I/O 모듈 등 다양한 호환 장비가 존재한다. 한편, 모터114는 DC 전원으로 구동하는 다양한 모터를 중점적으로 지원하며, 반도체 및 의료기기용 고정밀 제어 모터와 AGV 및 서비스 로봇에 적합한
미진솔테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를 지닌 HAKKO HU-200 로봇 솔더링 시스템(이하 HU-200)을 공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미진솔테크가 이번 AW 2025에서 전시한 HU-200은 4개의 회전축과 솔더 피더 제어를 통해 다양한 납땜 작업 수행이 가능한 장비로, 400mm x 300mm의 작업 영역을 제공한다. 최대 속도는 800mm/s로 넓은 작업 범위와 빠른 속도의 작업 진행 속도를 보여준다. 또한 터치스크린 태블릿과 조이스틱을 통한 프로그래밍 조작으로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를 탑재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미진솔테크는 HAKKO사의 다양한 납땜 장비를 국내에 공급하고 있으며, 면 실장 기술(Surface Mount Device)과 볼 그리드 어레이(Ball Grid Array) 관련 장
스타코 인스트루먼트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최대 4개 채널 리플레이 알람 가능한 디지털 인디게이터 시리즈를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스타코 인스투르먼트가 이번 AW 2025에서 전시한 디지털 인디게이터 판넬 디스플레이 시리즈는 안정적인 4~20Ma 입력이 가능하며, 2100 모델의 경우 최대 4채널 리플레이 알람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RS485 Modbus 모드 옵션이 탑재되어 있다. 타공 매립형 설치인 점 역시 해당 제품의 특징이다. 한편, 스타코 인스투르먼트는 산업 프롯스 자동화 센서 및 계측기 개발을 중심으로 분석 기기, 기록계, 압력 트랜스미터, 유량계 및 현장 기기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상하수도 화학 및 석유화학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EEA에서 설정한 환경 안정 및 건강
뉴로클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안정성과 정확성을 높인 오토 딥러닝 비전 소프트웨어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뉴로클이 이번 AW 2025에서 선보인 오토 딥러닝 비전 소프트웨어(Auto Deep Learning Vision Software)는 비정형적으로 발생하는 4680 배터리 셀 결함을 정확하게 검출한다. 배터리 캡 표면 검사와 외관 검사 뿐만 아니라 의약품 PTP 포장 불량 검사, 의약품 일련번호 자동 인식, 의약품 이물질 혼입 및 오염 검사를 실행하여 안정성화 정확성을 높였다고 밝혔다. 한편, 뉴로클은 제조, 의료, 교육 분야에서 딥러닝 비전 검사, 의료 연구, 인공지능 교육 등에 사용되고 있다. 딥러닝 모델 학습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자동으로 최적화하여 누구나 딥러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더불어 딥러닝 비전문가도
데키스트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40가지 이상의 센서 카트리지 선택 가능한 센서 데이터 전송기(이하 RN173plus)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데키스트가 이번 AW 2025에서 선보인 센서 데이터 전송기(이하 RN173plus)는 산업용IoT에 최적인 저전력,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LoRaWAN 통신을 지원한다. 센서 변경 및 교체, 검교정 진행시에는 USB 타입의 UA 센서 카트리지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 보수가 쉽고 편리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와 함께 네트워크 자동 저장, 네트워크 복구 시 데이터 전송 자동 시행이 가능하다. 한편, 데키스트는 산업용 IoT(IIoT) 계측기를 전문적으로 개발하고 생산하는 기업으로, 다양한 센서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하는 산업용 IoT 데이터로거를 제공한다. 측정된 데이터를 라디오노드365
SETech(이하 쎄택)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다양한 생산 환경에서 직접 사용 가능한 너트러너(Nutrunner)를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쎄택이 이번 AW 2025에서 전시한 너트러너는 자동차 부품 관련 메이커의 생산 설비에 주요하게 사용되었으며, 소형 경량 디자인으로 설치, 운전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와 함께 AC 서보 모터를 채택하여 브러시 교환이 필요 없고 시퀀스 제어가 용이하여 토크 효율을 향상시킨다. 한편, 쎄택은 제어 및 계측기를 전문으로 연구, 개발 및 제작하는 업체로 15년간 AC SERVO NUTRUNNER를 개발 및 생산 하고 있으며, 회전형 토르크 트랜스듀서 및 너트런너 국내 최초 개발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특히 산업생산 설비 현장에 지속적으로 공급, 신기술 개발 및 국산화에 중
HIKROBOT(이하 하이크로봇)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스마트 제조 현장에 응용 가능한 로봇암 배터리 장비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하이크로봇이 이번 AW 2025에서 전시한 로봇암 배터리는 멀티 센서 데이터 융하 감지로 유연한 장애물 회피를 지원한다. 높은 종확도의 동작 제어 및 업무 도킹이 가능하여 다양한 공업, 창고 물류 및 스마트 제조 현장에 응용될 수 있도록 했다. 한편, 하이크로봇은 머신 비전 및 모바일 로봇에 특화된 글로벌 제품을 선보이는 솔루션 기업으로 IoT, 스마트 물류는 물론 스마트 제조 등을 중심으로 개방형 협력 생태계 및 산업 물류 고객에게 혁신 기술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번 AW 2025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팩토리엑스포(Smart Factory Expo),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Xuzhou Transfer Technology(이하 트랜스퍼테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3D 비전 시스템, 3D 산업용 카메라로 Epic Eye 시리즈를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트랜스퍼테크가 이번 AW 2025에서 전시한 Epic Eye 시리즈 중에서도 Epic Eye Pixel Mini는 협동 로봇에 최적화된 소형 경량 설계로 제작되었다. 로봇의 유연한 동작을 지원하면서 고속 이미지 캡쳐가 가능하여 실시간 3D 스캐닝에 적합하다. 또한 고해상도 센서를 통하여 정밀한 검사 및 측정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한편, 트랜스퍼테크는 산업용 3D 카메라 및 AI 기반 3D 비전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3D 하드웨어, 딥러닝 기반 비전 알고리즘, 사용자 친화적인 소프트웨어를 결합하여 자동화 산업의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NODKA(이하 노드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고성능 산업용 컴퓨터 NP-6133 시리즈를 제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노드카가 이번 AW 2025에서 제시한 고성능 산업용 컴퓨터 NP-6133 시리즈는, 산업 자동화 분야를 위해 설계된 컴펙트한 캐비닛 산업용 자동화 PC이다. 10세대 및 11세대 인텔® 코어™ i9/i7/i5/i3 LGA1200 타입 CPU를 지원하여, 최대 65W TDP의 고성능을 제공한다. NP-6133 시리즈는 다양한 확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특정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 맞게 구성 가능하다. 한편, 노드카는 산업용 패널, HMI(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산업용 PC, 자동화 컴퓨터 등을 주요 제품으로 제공하고 있다. ISO9001 인증을 받은 기업으로서, CE, FCC, BIS, CCC 등의 인증을 보유하고
HIIKMICRO(하이크마이크로)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다양한 휴대용 열화상 카메라 시리즈를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하이크마이크로가 이번 AW 2025에서 전시한 열화상 카메라 시리즈 중에서도 M30은 산업용 휴대용 열화상 카메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온도 모니터링과 문제 진단에 활용된다. 고해상도 열화상을 통해 온도 분포의 시각화를 제공하며, 수동 초점 기능이 탑재되어 다양한 거리의 대상에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하이크마이크로는 열화상 및 야간 투시 제품을 설계 및 제조하며 아웃도어와 산업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열화상 카메라의 경우 고해상도 센서를 탑재하여 정확한 온도 측정과 이미징을 가능하게 하고 야간 투시 장비를 개발하여 보안 및 아웃도어 활동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번 AW 202
에이치알티시스템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세계 최초 금속, 복합소재 3D 프린터 인더스트리얼 시리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에이치알티시스템이 이번 AW 2025에서 전시한 인더스트리얼 시리즈 중에서도 FX10 모델은 산업용 복합소재 3D 프린터로, 고강도 및 고내열성 소재를 사용하여 정밀하고 견고한 부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했다. 탄소섬유, 유리섬유 등 다양한 강화 섬유를 사용하여 금속에 버금가는 강도와 내구성을 지닌 부품을 출력할 수 있으며 대형 부품 제작 역시 가능하다. 한편, 에이치알티 시스템은 산업용 3D 프린터 및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문 기업이다. 산업용 3D 프린터를 개발하여 제조업체들이 복잡한 부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동화 시스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여 고객사의 요구에 맞는 시스템을 설계
Lucid Vision Labs(이하 루시드비전랩)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산업용 GigE 비전 카메라, Triton 시리즈 카메라를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루시드비전랩이 이번 AW 2025에서 전시한 Triton 시리즈는 산업용 GigE 비전 카메라로, IP67 등급을 받아 방수 및 방진 기능을 갖추고 있다. 29x29mm 크기로, 공간이 제한된 환경에서도 설치가 용이하고 PoE지원 기능을 통해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이더넷 케이블 하나로 데이터 전송과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 한편, 루시드비전랩은 최신 기술을 활용한 머신 비전 카메라와 컴포넌트를 설계 및 제조한다. 주요 제품으로는 Atlas10, Triton2 4K 라인 스캔 카메라 등이 있으며 고속 데이터 전송, 고속 및 고해상도 이미징이 필요한 환경에 최적화 된 제품군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