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ivid는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제조, 물류, 로봇 가이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최적화된 산업용 3D 카메라와 비전 소프트웨어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Zivid가 공개할 주요 솔루션은 Zivid 2+ MR130 및 Zivid 2+ MR60 3D 카메라로, 로봇 기반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 Zivid 2+ MR130 3D 카메라는 단 한 번의 촬영으로 150ms 내에 복잡하고 까다로운 소재에서도 정확한 포인트 클라우드를 생성해낸다. 로봇의 속도를 제한하지 않으면서도 추가적인 2D 카메라와 조명 없이도 AI 기반의 세분화, 자세 추정, 충돌 검사 및 배치 계획이 가능해 로봇 셀 구성을 간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특징은 빠른 배포를 가능하게 하며, 공정 최적화에 기여한다. Zivid 2+ MR60은 조립, 가이드, 유지보수 검사 등 세부 사항이 중요한 작업에 최적화된 고해상도의 포인트 클라우드를 제공한다. 특히 가까운 거리에서도 뛰어난 정밀도를 자랑하며, 로봇이 접근 가능한 모든 위치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점이
여의시스템은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산업 현장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는 맞춤형 산업용 컴퓨터와 네트워크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여의시스템은 AI 컴퓨터와 네트워크 제품을 주요 솔루션으로 전시한다. 여의시스템의 AI 컴퓨터는 'Accelerate your AI Universe'이라는 슬로건 아래, AI 기반의 자동화 공정과 데이터 분석을 가속화하는 데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한다. 특히 공장자동화(FA), 스마트폰 및 반도체 제조 공정, 물류, ITS 산업 등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맞춤형으로 설계되어 최상의 성능과 안정성을 보장한다. 네트워크 제품으로는 무선 통신과 이더넷 스위치 등을 선보이며, 스마트 팩토리의 네트워크 안정성을 지원하는 핵심 솔루션을 제공한다. 여의시스템의 네트워크 장비는 신뢰성이 중요한 제조 환경에서 데이터 전송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가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한다. 여의시스템은 30년 이상 쌓아온 자동제어 분야의 기술력과 필드 경험을 바탕으로 맞춤형 산업용 컴퓨터와 특수 목적 시스템을 개발해왔다. 공장 자동화(FA)부터 전력, 철
iba는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제조 및 에너지 산업의 데이터 기반 생산성 혁신을 지원하는 최신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iba가 공개할 주요 솔루션은 자동화 제어 시스템과의 폭넓은 연동성을 자랑하는 데이터 수집·분석 시스템과 NorthBound 상위 시스템 연동 기술이다. iba의 데이터 수집 솔루션은 PLC, DCS, SCADA 등 다양한 제조사의 설비 및 시스템과 폭넓게 연동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높은 해상도의 실시간 측정 기능과 중앙 집중식 시간 동기화를 통해 정밀한 공정 분석이 가능하며, 24시간 연속 기록 또는 조건부 트리거 기반 기록 기능을 활용해 필요한 데이터만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징후 발생 시 빠른 알림 기능을 제공해 설비 안정성과 대응 속도를 극대화한다. NorthBound 상위 시스템 연동 기술은 수집된 데이터를 MES, ERP, 클라우드 시스템 등에 실시간으로 전송해 업무 효율을 높인다. OPC UA, MQTT, SQL 등 표준 인터페이스와 프로토콜을 지원해 다양한 상위 시스템과의 통합성을 보
Basler AG는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배터리, 반도체, 디스플레이, 물류 등 다양한 산업군의 도전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원스톱 비전 솔루션을 선보인다. Basler는 이번 전시 기간 동안 부스에서 PC와 프레임 그래버에서 각각 이미지 전처리를 수행할 때의 CPU 부하 차이를 비교 시연해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성능 차이를 명확히 체험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 또한, 3월 13일에는 '(주)첨단 주최 AI 자율 제조 혁신 포럼'에서 Basler의 혁신적 기술과 머신 비전 솔루션을 심도 있게 소개할 예정이다. Basler가 전시할 주요 솔루션으로는 배터리 셀 공정 내 전극 코팅 검사 솔루션과 디스플레이 검사용 Scheimpflug Tilt 솔루션이 있다. 배터리 셀 공정 내 전극 코팅 검사 솔루션은 신형 Basler racer 2 라인 스캔 카메라를 기반으로 최대 200kHz의 라인 스캔 속도와 16k 해상도를 지원한다. FPGA 기반 전처리 기술을 통해 대용량 데이터를 신속하게 처리하며, 관심 영역(ROI)만 선별적으로 처리해 PC의 데이터 부하를 획기적으로 줄인다.
EMI는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반도체 및 제조업체를 위한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전력 관리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EMI가 선보일 주요 솔루션은 Power Distribution Module로, 공간과 작업 최적화에 초점을 맞춰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Power Distribution Module은 Flexible Busbar 기술을 통해 파워 케이블의 곡률로 인한 공간 낭비를 최소화하고, 적은 공간에서도 다양한 기능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MCBS 기술은 배선량을 줄여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적인 생산 환경을 지원한다. EMI의 솔루션은 효율적인 생산 공정과 원가 절감을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고객 맞춤형 프로젝트에 적용되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Control Box와 분전반이 있으며, UL508A 및 세미 S2 인증을 바탕으로 메인 파워박스, 전기 제어 박스, 배전반을 설계·제조·배송한다. 특히 품질 결함 최소화를 위해 AVIS 방식, 온도 상승 테스트, i-Marking 테스트 등을 활용하며
(주)마이링크는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제조업체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핵심 IT 솔루션 'LINKBIZ'를 선보인다. LINKBIZ는 제조업에 특화된 올인원 협업 플랫폼으로, 프로젝트 관리, 품질 관리, 생산 관리를 하나의 통합된 플랫폼에서 제공하여 제조업체의 생산성과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또한 다양한 기존 소프트웨어와의 연동이 가능해 각 기업의 맞춤형 요구에 맞게 필요한 기능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기능은 배제하고, 스마트한 워크플로우로 운영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주)마이링크는 "IT로 세상을 행복하게"라는 비전 아래, 수주형 제조 기업을 위한 프로젝트 및 생산 최적화 솔루션과 제조 데이터 연계 기술 등 앞선 IT 기술을 바탕으로 특허 기반의 서비스를 다수의 기업에 제공하고 있다. 오랜 기간 대기업 및 외국 기업에서 제조 IT 솔루션을 개발한 전문 인력들이 모여 2021년에 설립된 이후, 빠르게 제조 IT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아시아 최대 규모의 제조업 혁신 전시회인 AW2025는 국제
(주)에스엠인스트루먼트는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첨단 초음파 음향 카메라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에스엠인스트루먼트는 부스에 압축 공기 누설 모사 장치를 설치해 관람객들이 직접 제품을 체험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주요 출품 제품으로는 휴대용 초음파 음향 카메라 ‘BATCAM 2S’와 고정형 초음파 음향 카메라 ‘BATCAM FX’가 있다. BATCAM 2S는 압축 공기, 진공, 고압 가스 누설 및 전기 부분방전, 설비 이상소음 등을 측정하는 휴대용 장비로, 에너지 비용 절감과 산업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한다. 특히 GIS 및 클라우드 기반의 AI 분석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효율적인 보고서 작성 및 측정 이력 관리를 할 수 있다. 주요 사용처로는 석유·화학·가스, 군사·항공·우주, 전기전자, 제철소, 발전소 등이 있다. BATCAM FX는 고정형 초음파 음향 카메라로, 설비의 상시 모니터링과 이상 발생 시 알람을 제공하는 설치형 장비다. 단독으로 설치하거나 로봇과 연동해 원격 무인 감시 용도로 활용되며, 주요 사용처는 BATCAM 2S와 동일하다. 에스엠인스트루
(주)비케이인스트루먼트는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산업자동화 전시회인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초분광 카메라를 활용한 품질검사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비케이인스트루먼트가 선보일 솔루션은 RESONON과 ClydeHSI 사의 초분광 이미징 시스템으로, 근자외선, 가시광선, 근적외선 영역의 다양한 파장대를 수백 개의 채널로 분할하여 물체의 특징적인 반사 스펙트럼 정보를 감지하고 저장하는 기술이다. 해당 기술은 기존 RGB 카메라로 해결하기 어려운 한계를 극복하며, 머신비전, 식품, 이차전지, 재활용 산업 등 다양한 산업에서의 품질 모니터링 및 이물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RESONON 사의 초분광 이미징 시스템은 연구 및 산업 현장에서 정밀한 분석을 가능하게 하며, 최적의 솔루션을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ClydeHSI의 초분광 시스템은 엔드 투 엔드(End-to-End) 솔루션으로 고객이 연구와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학술 및 산업 분야 전반에서 정확하고 반복 가능한 측정을 보장한다. 비케이인스트루먼트는 25년 이상의 분광학 측정 장비 제작
아시아 최대의 산업자동화 전시회인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 2025)’이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 전관에서 개최된다. 이에 앞서 사전 붐업을 위해 마련된 프리뷰 웨비나 ‘산바시(산업을 바꾸는 시간)’는 총 3편으로 나뉘어 진행되며, 그중 2편은 전문기자들이 AW 2025에서 주목해야 할 핵심 키워드와 트렌드를 심도 있게 다룰 예정이다. 2월 26일 열리는 ‘산바시’ 토크콘서트 2편에서는 (주)첨단의 임근난 부장, 김재황 기자, 최재규 기자가 나서 최신 산업자동화의 대표적 트렌드와 주목할 기술, 주요 업체들을 다룬다. 이들은 직접 전시회와 현장을 취재하며 얻은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AW 2025에서 참가자들이 반드시 주목해야 할 요소들을 소개할 계획이다. 이번 토크콘서트의 핵심 키워드는 제조AI(생성AI 포함), 로봇 자동화, 디지털 트윈, 글로벌 표준, AI 융합 솔루션 및 서비스, 머신비전 등으로 요약된다. 특히 제조AI는 단순히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존 AI를 넘어 생성AI와의 결합으로 더욱 정교한 제조 공정 설계와 품질 예측을 가능하게 하며, 로봇 자동화는 협동로봇과 자율이동로봇(AMR) 기술의 진보로 유연한 제조 환경 구축을 지원
아시아 최대의 산업자동화 전시회인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 2025)’이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 전관에서 개최된다. 이에 앞서 사전 붐업을 위해 마련된 프리뷰 웨비나 ‘산바시(산업을 바꾸는 시간)’는 총 3편으로 나뉘어 진행되며, 그중 2편은 전문기자들이 AW 2025에서 주목해야 할 핵심 키워드와 트렌드를 심도 있게 다룰 예정이다. 2월 26일 열리는 ‘산바시’ 토크콘서트 2편에서는 (주)첨단의 임근난 부장, 김재황 기자, 최재규 기자가 나서 최신 산업자동화의 대표적 트렌드와 주목할 기술, 주요 업체들을 다룬다. 이들은 직접 전시회와 현장을 취재하며 얻은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AW 2025에서 참가자들이 반드시 주목해야 할 요소들을 소개할 계획이다. 이번 토크콘서트의 핵심 키워드는 제조AI(생성AI 포함), 로봇 자동화, 디지털 트윈, 글로벌 표준, AI 융합 솔루션 및 서비스, 머신비전 등으로 요약된다. 특히 제조AI는 단순히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존 AI를 넘어 생성AI와의 결합으로 더욱 정교한 제조 공정 설계와 품질 예측을 가능하게 하며, 로봇 자동화는 협동로봇과 자율이동로봇(AMR) 기술의 진보로 유연한 제조 환경 구축을 지원
스마트 제조의 핵심 솔루션으로 주목받는 코그넥스가 ‘2025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에서 AI 기반 생산 공정 효율화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발표는 김창모 코그넥스 코리아 차장이 맡아 최신 AI 기술이 임베디드된 신제품 DataMan 290과 DataMan 390 시리즈의 주요 기능과 활용 방안을 소개하며 스마트 제조의 진화를 선도할 계획이다. DataMan 290과 390 시리즈는 AI 기반 이미지 처리 기술과 강력한 코드 판독 기능을 결합해 제조업 현장에서의 데이터 정확도와 생산성을 극대화한다. 특히 AI 기반 튜닝 기능은 다양한 코드 유형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손상되거나 저품질의 코드를 판독할 수 있어 기존 솔루션과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인다. Neural Processing Unit(NPU)이 탑재되어 있어 실시간으로 AI 알고리즘을 가속화하여 판독 속도와 정확도를 동시에 보장한다. DM290 모델은 모든 코드 유형에 적합한 일체형 조명을 제공하며, PowerGrid 기술을 통해 손상되거나 불완전한 코드를 정확히 판독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 DM390 모델은 고해상도 센서(3MP 또는 5MP)를 지원하며, 다양한 렌즈 및 조명 옵션으로
스마트 제조의 핵심 솔루션으로 주목받는 코그넥스가 ‘2025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에서 AI 기반 생산 공정 효율화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발표는 김창모 코그넥스 코리아 차장이 맡아 최신 AI 기술이 임베디드된 신제품 DataMan 290과 DataMan 390 시리즈의 주요 기능과 활용 방안을 소개하며 스마트 제조의 진화를 선도할 계획이다. DataMan 290과 390 시리즈는 AI 기반 이미지 처리 기술과 강력한 코드 판독 기능을 결합해 제조업 현장에서의 데이터 정확도와 생산성을 극대화한다. 특히 AI 기반 튜닝 기능은 다양한 코드 유형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손상되거나 저품질의 코드를 판독할 수 있어 기존 솔루션과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인다. Neural Processing Unit(NPU)이 탑재되어 있어 실시간으로 AI 알고리즘을 가속화하여 판독 속도와 정확도를 동시에 보장한다. DM290 모델은 모든 코드 유형에 적합한 일체형 조명을 제공하며, PowerGrid 기술을 통해 손상되거나 불완전한 코드를 정확히 판독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 DM390 모델은 고해상도 센서(3MP 또는 5MP)를 지원하며, 다양한 렌즈 및 조명 옵션으로
스마트 제조의 혁신적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3D 로봇 비전이 ‘2025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에서 픽잇코리아의 발표를 통해 구체화될 전망이다. 픽잇코리아의 박찬웅 매니저는 이번 발표에서 픽잇의 최신 3D 로봇 비전 솔루션과 이를 활용한 자율 제조의 미래를 조망하며 제조업 자동화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할 계획이다. 픽잇코리아는 별도의 복잡한 코딩 없이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3D 비전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해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특히, 신규 출시된 픽잇 2세대 카메라는 향상된 해상도와 넓어진 시야각을 바탕으로 투명하거나 반사되는 물체도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세미나에서 소개될 3D 로봇 비전의 주요 응용 분야는 크게 빈 피킹(Bin Picking)과 로봇 가이던스(Robot Guidance)다. 빈 피킹은 무작위로 적재된 부품을 정확히 인식하고 자동으로 취출할 수 있도록 지원해 작업자의 부담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로봇 가이던스는 크고 무거운 부품의 위치와 자세를 자동으로 보정해 조립 및 검사 공정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스마트 제조의 혁신적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3D 로봇 비전이 ‘2025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에서 픽잇코리아의 발표를 통해 구체화될 전망이다. 픽잇코리아의 박찬웅 매니저는 이번 발표에서 픽잇의 최신 3D 로봇 비전 솔루션과 이를 활용한 자율 제조의 미래를 조망하며 제조업 자동화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할 계획이다. 픽잇코리아는 별도의 복잡한 코딩 없이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3D 비전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해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특히, 신규 출시된 픽잇 2세대 카메라는 향상된 해상도와 넓어진 시야각을 바탕으로 투명하거나 반사되는 물체도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세미나에서 소개될 3D 로봇 비전의 주요 응용 분야는 크게 빈 피킹(Bin Picking)과 로봇 가이던스(Robot Guidance)다. 빈 피킹은 무작위로 적재된 부품을 정확히 인식하고 자동으로 취출할 수 있도록 지원해 작업자의 부담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로봇 가이던스는 크고 무거운 부품의 위치와 자세를 자동으로 보정해 조립 및 검사 공정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스마트 제조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비전 AI를 활용한 제조업 혁신의 미래가 '2025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에서 SAIGE의 발표를 통해 구체화된다. SAIGE의 홍영석 대표는 이번 발표에서 이미지 및 영상 분석 기반의 비전 AI 기술이 제조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SAIGE는 제조업에서 품질 검사, 공정 상태 모니터링, 작업 환경 안전 관리 등 다양한 영역에서 비전 AI 기술을 적용하여 자동화와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특히 이미지 분석을 통한 품질 검사 사례에서는 AI 기반 머신 비전을 활용해 제품의 결함을 빠르고 정밀하게 검출한다. 이차전지 제조 공정에서는 CT 검사 장비와 결합된 AI 소프트웨어가 단시간 내 초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생성해 기존보다 100배 이상 빠른 검사를 가능하게 했다. 이를 통해 SAIGE는 국내 주요 이차전지 제조업체들의 양산 라인에 해당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도입하는 데 기여했다. 영상 분석을 통한 공정 모니터링 또한 중요한 발표 내용 중 하나다. SAIGE는 AI 기반의 CCTV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제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상 동작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