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한국전력 상반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적자를 기록했다. 무려 8,147억 원의 적자다. 한전은 13일, 올 상반기 결산 결과를 발표하며 1분기 1,276억 원에 이어 2분기에는 6,871억 원 영업적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번 영업 실적은 지난해 상반기 영업이익 2조 3,097억 원에 비해 3조 1,244억 원 줄어든 수치다. 상반기 연결기준 당기순손실은 1조 1,690억 원(잠정)으로 작년 상반기 순이익 1조 2,590억 원 대비 2조 4,280억 원 감소했다. 한전의 상반기 영업이익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2013년 4,363억 적자를 보인 이후 5년 만이다. 한전은 2012년 2분기에 2조 602억 원, 2013년 2분기에는 1조 941억 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한 바 있다. 올 상반기 실적 악화는 영업비용 상승 탓이 크다. 한전은 올해 전기 판매 수익이 1조 5천억 원 증가했지만, 연료비 상승 등 영업비용도 크게 늘어나 적자를 기록할 수 밖에 없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상반기 대비 유가가 33% 이상 급등하고 유연탄 가격도 28% 동반 상승하는 등으로 인해 영업비용의 32.5%를 차지하는 발전자회사의 연료비 부담이 2조원(26.7%) 증
[첨단 헬로티] 지난 9일, Trina Solar Limited(이하 Trina Solar)는 태양광발전 제조사로서 유럽 최대 규모의 태양광발전 사업에 167MW 규모의 태양광발전 모듈을 공급한다고 발표했다. 턴키 방식의 에너지 분야 인프라에 특화된 ACS 그룹과 그 자회사 Cobra는 1천 헥타르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게 될 Murcia 주 Mula(스페인)에 위치한 총 전력량 500MW의 발전소를 건설한다. 인도는 올 3/4분기와 내년 1분기에 이뤄질 계획이다. 해당 사업은 2019년 말에 운영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Trina Solar는 355~340W의 전기 출력을 갖춘 자사의 TSM-PE14H 다중결정 모듈 49만 6천 대를 공급할 예정이다. 이 제품은 반전지 설계를 통해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신형 전지 배선계통을 통해 열 간 가림 현상에 따른 에너지 손실을 감소시킨다. 또한, 1,500V 인증 모듈은 하나의 전선에 더 많은 모듈을 연결함으로써 BOS 비용을 절감했기 때문에 대규모 설비에 이상적이다. Trina Solar 모듈사업부 유럽지사장 Gonzalo de la Vina는 “유럽 최대 규모로 진행되는 이번 태양
[첨단 헬로티] 에너지 관리 및 자동화 분야의 디지털 혁신을 수행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 슈나이더 일렉트릭(한국지사 대표 김경록)이 폭염 속 전력 수요 증가로 인한 정전 사태를 예방과 효율적 에너지 관리를 위한 솔루션을 강화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본격적인 전력 피크 시즌을 앞두고 정전 및 안전사고 우려가 증대되고 있어 이를 미연에 방지해주는 솔루션을 집중적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특히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순간적인 정전에도 큰 타격을 줄 수 있는 병원, 데이터센터, 산업 현장 등의 핵심 설비를 안전하게 보호해주는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를 집중적으로 제공한다. 현재 UPS는 설비 보호 차원에서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연간 12%씩 전 세계 시장이 증대되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UPS는 우수한 내구성 및 안전성과 함께 설치되는 현장 조건을 고려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높은 전력 요구 상황을 반영한 긴 수명 기간과 함께 실시간 고객 서비스 지원 및 유지 보수 서비스를 제공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대표적 UPS로는 대규모 산업 현장 및 데이터센터에 적용 가능한 ‘갤럭시 VX(Galaxy VX)’, 에너지 효율 향상 기능이
[첨단 헬로티] 3D 프린팅 부품으로 만든 자율주행 전기 셔틀이 뉴욕주립대 버팔로 캠퍼스에서 운행된다. 3D 프린팅 부품으로 만든 모빌리티 솔루션으로 유명한 LM인더스트리스의 자회사 로컬모터스는 뉴욕주립대 버팔로 캠퍼스에 올리(Olli)를 배치하여 운행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로컬모터스가 2016년 개발한 올리는 도시 모빌리티와 지속가능성의 미래를 재발명하도록 디자인된 세계 최초의 자율주행 전기 차량이다. 올리는 3D 부품으로 제작되어 모빌리티의 미래를 바꿀 수 있는 차량이라 평가받아 왔다. 이 차량은 자율주행을 통해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승객들을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능력을 갖추었다. 로컬모터스 수석부사장 매튜 리베트는 “뉴욕주립대 버팔로 캠퍼스 및 뉴욕주의 모빌리티 테스트와 지속가능 전략에 협력하기 위해 올리를 설치하고 커스터마이즈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이번 협력을 통해 대학, 주정부와 기타의 관련자들이 어떻게 운송의 미래에 투자하고 그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로컬모터스는 모빌리티 문제 해결을 위한 실제적 솔루션과 연구에 대해 UB 및 미래 파트너들을 지원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첨단 헬로티] 에너지 관리 및 자동화 분야의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 슈나이더 일렉트릭(한국 대표 김경록)이 ‘2018~2020년 슈나이더 지속가능성 영향(Schneider Sustainability Impact 2018-2020) 평가’의 2018년 2분기 결과를 발표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매 분기마다 ‘2018~2020년 슈나이더 지속가능성 영향’을 발표한다. 이는 2005년부터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자체적으로 구축해 자사의 지속가능성의 목표 달성 성과를 측정한 ‘플래닛 & 소사이어티 바로미터’를 대체한 것이다. 슈나이더 지속가능성 영향은 기후, 순환 경제, 의료 형평성, 윤리, 개발 등 분야에서 총 21개 지표를 포함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분기 목표인 10점 만점에 4점을 초과 달성해 2018년 7월 말 기준 10점 만점에 4.55점을 기록했다. 2018년 말의 목표는 10점 만점에 5점으로 설정됐다. 각 부문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은 성과를 기록했다. ‘기후’ 부문에서 ‘80% 재생 가능한 전기’ 지표가 2분기에 6%
[첨단 헬로티]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백운규)는 ’18년 하반기 ’수출도약 중견기업 육성 사업‘ 지원 대상 20개사를 선정, 8월 10일 KOTRA에서 워크숍을 개최했다. 수출도약 중견기업 육성 사업은 잠재력을 갖춘 유망 중견기업의 해외마케팅을 지원함으로써 이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돕고, 중견기업의 수출기업사를 촉진하기 위한 사업이다. 산업부는 지난 4월 1차로 79개사를 선정한 바 있으며, 이번에 추가로 20개사를 선정하여 총 99개 중견기업의 해외마케팅을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이번 선정부터는 보다 많은 중견기업을 수출기업화해 우리 수출의 저변을 확대를 도모한다. 이에 매출액 대비 수출액 비중이 5% 미만이고, 내수시장 위주로 성장해 온 기업들을 다수 선정했다. 선정 기업에 대해선 목표시장 분석 등 해외진출 전과정에 대한 보다 세밀하게 지원한다. 이를 통해 해당 기업이 내수시장에서 벗어나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는 발판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선정기업 중 하나인 청호나이스 측은 “현재 수출 비중이 1.5%에 불과하지만, 이번 지원을 계기로 신남방정책과 연계한 동남아 시장 진출 등 해외시장 개척에도 적극
[첨단 헬로티]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허남용)은 8월 8일부터 2박 3일 간 개최한 제13회 국제표준올림피아드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올해 과제는 ‘스마트팜 자동급수장치 만들기(중학생)’와 ‘장애물을 피하는 자율주행차 만들기(고등학생)’로 학생들은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미래의 생활과 과학기술에 관련된 문제를 가지고 열띤 경쟁을 벌였다. 대상인 국무총리상에는 장애물을 인식하여 회피 후 안전하게 다시 정해진 경로를 주행하는 자율주행차 표준모형을 만든 싱가포르 폴리테크닉(Singapore Polytechnic) 팀이 수상했다. 심사위원장인 이상봉 교수(교원대)는 “해를 거듭할수록 국제표준올림피아드에 참가하는 국내․외 청소년들의 경쟁이 치열해졌고, 올해는 최초로 해외팀이 대상을 수상하게 되어 국제대회로써의 위상을 실감한다”라고 밝혔다.
[첨단 헬로티] 한국중부발전(사장 박형구) 김호빈 CTO(기술본부장)는 8월 10일, 8월말 2호기 상업운전을 앞둔 제주발전본부 LNG복합발전소 건설현장을 방문하여 안정적 하계전력수급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현장점검을 펼쳤다. 김 CTO는 제주발전본부 발전운전원과 소통의 시간을 갖고, 대한민국 최고 전력 공기업 직원으로서의 책임감을 바탕으로 하계 전력 수급 안정에 최선을 다해줄 것을 강조했다. 또 전력생산의 최일선에서 발전설비의 안전운영에 기여하고 있는 교대근무자들이 안전한 근무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줄 것을 주문했다. 김호빈 CTO는 “최근 폭염 및 외부인구 증가 등으로 인해 제주지역 전력사용량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 하계전력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해달라”면서“특히 안전사고가 나지 않도록 근무활동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말했다.
[첨단 헬로티] 한국서부발전이 드론을 활용한 발전설비 실시간 원격 영상송수신시스템을 전 사업소로 확대 구축했다고 밝혔다. 서부발전은 정부정책에 맞춰 신재생발전설비를 지속적으로 확대·운용중에 있어 전국에 분산된 설비의 원격설비점검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지만, 기존에 활용 중인 드론은 영상송출범위의 제한으로(1Km 내외) 현장에서만 설비점검이 가능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서부발전은 4차산업 기술을 활용해 거리제약을 극복하고 원격 발전설비 점검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개발·도입 하게 됐다. 이는 서부발전이 올해 까다로운 국가보안지침에 따라 구축한 서부 LTE망 구축 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달성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전남 화순에 위치한 신재생 풍력발전설비를 점검하는 영상을 충남 태안 본사 종합상황실로 실시간 전송해 본사 전문가와 현장 점검자의 합동점검이 가능해졌다. 또한 사업소 재난 상황시 원격지 통제본부로 실시간 영상송출도 가능하게 되어 본사의 재난현장상황 통제능력도 향상시켰다. 서부발전은 새로운 시스템의 전사확대에 앞서 지난 2월 전남 화순풍력단지 원격설비진단으로 시스템 성능을 입증하였을 뿐만 아니라 3월 태안발전본부에서 시행한
[첨단 헬로티]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8월 9일, 폭염에 따른 전기요금 지원 대책 관련 쟁점에 대해 입을 열었다. 산업부가 전기요금 지원 대책에 대해 발표한 후 여러 의문사항이 제기됐다. 그중 하나는 인하된 전기 요금이 너무 적다는 것이었다. 실제로 1,512만 가구에 월 1만원, 19.5% 인하했다고는 하나, ‘찔끔 인하’, ‘언 발에 오줌 누기’, ‘주고도 뺨 맞는 꼴’ 등 요금 인하 수준이 국민이 체감하지 못할 정도로 불충분하다는 의견이 많이 제시됐다. 이에 산업부는 이번 한시 지원 대책으로 누진 2단계 이상에 속해 있는 1,512만 가구(전체의 65%)가 평균 19.5% 요금 할인 혜택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관계자는 가구별로 계산하면 최대 약 2만 7천원(26.7%)까지 할인받는 가구도 있다고 밝혔다. 산업부 관계자는 “한시 지원 대책에 사용 가능한 재원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국민들의 요금 할인 기대에 충분치는 않을 수 있다”고 말한 뒤 “다만, 한정된 재원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많은 국민들께 요금 인하 혜택이 골고루 돌아갈 수 있도록 노력한
[첨단 헬로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전기전문 연구기관인 한국전기연구원(원장 최규하, 이하 KERI)이 친환경 전기자동차의 보급에 앞장섰다. KERI는 차세대 이차전지 연구로 전기차 다중화를 앞당길 거대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이끌 예정이다. 이 연구는 연구개발비 약 243억 원이 투자되는 대형 프로젝트로 알려졌다. 차세대 이차전지 시장 선점하기 위한 연구 시작 KERI가 차세대 이차전지 연구를 통해 친환경 전기자동차의 보급을 앞당길 거대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이끌게 됐다. 정부추진 거대과학연구개발사업 ‘기후변화 대응 기술개발 사업’ 일환으로 진행되는 이번 연구의 과제명은 ‘전기자동차용 차세대 리튬금속 이차전지 핵심원천 기술 개발’이다. KERI 주관으로 진행되는 이번 연구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전자부품연구원이 협동 연구기관으로 참여한다. 총괄 연구 책임은 KERI 전지연구센터 이상민 센터장이 맡는다. 연구는 총 55개월(2018년 7월 27일 ~ 2023년 2월 26일) 동안 진행되며 연구개발비는 약 243억이 투자된다. 연구 내용은 리튬이온전지의 성능을 뛰어넘는 차세대 이차전지 개발이다. 지금까지 사용돼
[첨단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디지털-입력 자동차용 오디오 앰프인 FDA803D와 FDA903D를 출시했다. 이 디바이스들은 풍부한 기능을 기반으로 하이브리드 및 전기 자동차의 AVAS(Acoustic Vehicle Alerting Systems), 텔레매틱스(Telematics), 긴급비상전화(eCall) 장비의 신뢰성을 극대화하고 집적화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하이엔드급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켜준다. 이번 1x45W 클래스 D 앰프는 저잡음 고음질을 위한 I2S 및 TDM 디지털 오디오 입력과 피드백-사후 필터(Feedback-After-Filter)를 갖춰 설계를 간소화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FDA803D 및 FDA903D는 재생 모드에서의 독보적인 오프셋 및 개방형 부하 감지 기능과 완벽한 I2C 자동차 등급 진단 기능을 통합해 비용 효율적인 필수 안전 장비에 적합한 차세대 앰프를 구현했다. 이러한 통합 기능으로 필수 요건인 ISO 26262 ASIL(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 인증 작업을 간소화할 수
[첨단 헬로티] 재생에너지 확산과 함께 상반기 ESS시장 20배 확대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이 커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상반기, ESS 보급이 전년 동기 대비 20배 증가한 1.8GWh가 보급됐다고 밝혔다. 따라서 정부는 국내 보급 지속 확산과 함께 ESS 자생력 및 경쟁력 제고에 중점을 두고 정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복합용도 에너지저장장치 비즈니스 모델 실증을 올해 하반기 중 착수할 예정이고, 가정용 ESS 보급도 촉진할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 ESS 보급 촉진 정책 시행 산업통상자원부는 재생에너지 확산과 함께 재생에너지 출력 변동성을 흡수하는 유연성 설비로 주목받고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의 국내 보급이 전년에 비해 크게 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상반기, ESS는 전년 동기 대비 20배 증가한 1.8GWh가 보급됐다. 이는 지난 6년간의 총 보급량인 1.1GWh을 훨씬 상회하는 수준이다. ESS 1MWh 설치비는 약 5.4억 원이다. 용도별로는 재생에너지연계용이 올 상반기 전년 동기 대비 16배 증가한 683MWh 구축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급격한 증가는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중치 부여 등 성과급(인센티브)
[첨단 헬로티] 프리미엄 기준 전동기 사용 전면시행 두 달 전 돈을 모으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불필요한 소비 줄이기’이다. 에너지 분야도 마찬가지다. 원전 에너지든 화석 에너지든 신재생에너지든 우선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일이 선행돼야 한다. 그리고 이 소비를 줄이는 데 꼭 필요한 존재가 프리미엄 전동기다. 한국에너지공단은 최근 한국전기산업진흥회와 ‘프리미엄 전동기 보급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프리미엄 전동기 보급에 앞장섰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전력 소비하는 전동기 전력이 부족하다. 화석연료는 점점 고갈되고 있다. 환경 문제로 원전도 문을 닫고 있다. 대체 에너지로 재생에너지 개발이 이뤄지고 있지만, 물리적, 기술적 잠재력을 보았을 때 한계가 있으리라 예상된다. 전력을 아끼는 운동이 계속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점심시간 모니터 끄기, 실내 적정온도 유지 등의 활동이 모두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이뤄지는 운동이다. 하지만 이러한 활동만으로 에너지 절약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렇다면 전력 기기에 사용되는 에너지 자체를 줄이면 어떨까? 또, 불필요한 전력 낭
[첨단 헬로티] 한국전기공사협회(회장 류재선)가 몽골과 전기공사업계 협력 강화에 박차를 가한다. 협회는 지난 8월 1일, 한국-몽골 협력포럼에 참가하여 김태년 국회의원(경기 성남시수정구), 한정애 국회의원(서울 강서구 병), 김병욱 국회의원(경기 성남시분당구 을), 정재남 주몽골대사를 비롯한 포럼 사절단과 함께 공식 일정을 소화했다. 협회 측에서는 류재선 한국전기공사협회 회장, 이현규 이사, 김종두 경기도회장, 조덕승 세종충남도회 부회장이 참석해, 국내 전기공사업계의 몽골 진출을 위한 기반 마련에 기대를 높였다. 몽골 지역은 신재생에너지의 중요 지역으로 떠오르면서 동북아 슈퍼그리드 사업의 핵심 지역으로 분류되고 있다. 류재선 한국전기공사협회 회장은 한-몽 협력포럼에서 개최한 세미나 등을 통해 양국 우호 증진 및 협력의 토대를 만드는 한편, 다바수엔 몽골 자원에너지부 장관을 만나 전력산업 교류 물꼬를 트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지난 6일에 진행된 장관 면담을 통해 차후 MOU 체결을 통해 전력산업 교류 및 인력 교류에 관한 내용을 추진한다는 골자의 논의를 진행했다. 류재선 회장은 “양국간의 전력분야 협력을 통해 상생협조 기조를 이어가길 바란다&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