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7월 9일 전기차 보급을 촉진하고 관련 신산업을 창출하기 위해 ‘전기차 신산업 생태계 협의회’를 구성하고 첫 번째 회의를 열었다.
이번 협의회는 전기차의 본격적인 확산을 위해서는 엔진 기반 자동차 생태계와 다른 전기차산업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는 인식 아래, 현장 관계자와 전문가가 함께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전기차는 온실가스 감축과 전후방 산업 효과가 커, 올해 24대 국정 개혁 핵심 과제인 ‘에너지 신산업 활성화’의 대표 사업 모델로서 올해부터 보급이 본격화되고 있다. 동 협의회에서는 새로운 신산업 모델을 발굴하는 한편, 전기차 신산업과 맞는 제도를 발굴하고 신산업을 영위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기차는 대표적인 융복합 산업이며 전후방 연관 효과가 큰 연계(네트워크) 산업으로서 충전기, 배터리, 전력망과 정보통신이 융합된 다양한 연관 서비스 산업의 창출이 가능하다. 반면 상용화 초기 단계로서 차량 가격이 비싸 고액 보험료와 세금이 책정되고, 배터리 잔존가치 평가가 어려워 중고시장 활성화에 애로가 있는 등 산업 생태계가 미성숙한 상황이다.
또한 전기차별 충전기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고 충전 시간이 길며, 사용 부품과 운행 패턴 등 많은 부분에서도 엔진 기반 차량과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전기차와 관련한 완성차·충전·부품 제조사, 보험, 정비 등 생태계를 아우르는 모든 관계자가 정례적으로 모여 전기차에 맞는 생태계를 수립한 후에 관계부처와 협업해 지속적으로 해결해 나갈 계획이다.
김혜숙 기자 (eltred@hellot.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