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헬로즈업] 스마트 산업의 청사진, 산업 AI 엑스포에서 만나다

URL복사

 

제1회 산업 AI 엑스포가 지난 3일부터 5일까지, 코엑스 마곡 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됐다. 이번 엑스포는 ‘AI와 산업의 융합, 새로운 산업혁명을 이끌다’를 대주제로 제조업을 넘어 에너지·물류·의료·기후테크·디지털 헬스케어 등 산업 전반에 AI를 접목한 미래형 기술과 솔루션을 한자리에 선보였다.

 

국내 최초 산업 특화 AI 전문 전시회라는 점에서 주목받은 이번 엑스포는 전시회뿐 아니라 컨퍼런스, 산업AI 국제인증포럼, AI‑Tech 세미나, IR 피칭·비즈니스 커넥트 등 다양한 부대 행사를 통해 산업계 AI 생태계 활성화와 실질적인 비즈니스 협력 기회 마련에 주력했다.


HD현대, 산업 AI 엑스포 2025서 ‘사람 중심’ 스마트 산업 혁신 기술 대거 공개

 

 

HD현대가 ‘산업 AI 엑스포 2025’에서 첨단 AI 기술과 혁신 솔루션을 통해 조선·건설·에너지 등 제조업 전반에 걸친 스마트 산업 전환 비전을 제시했다. 마곡 코엑스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이번 전시회에서 HD현대는 ‘사람 중심 스마트 산업 환경’을 핵심 주제로 다양한 AI 기반 혁신 솔루션을 선보이며 참관객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이번 전시에서는 디지털트윈 기술을 접목한 선박 및 육상 안전 관제 솔루션 ‘하이캠스(HiCAMS)’와 AI 기반 장비 운전 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및 상태 기반 진단 관리 솔루션 ‘하이씨비엠(HiCBM)’이 중심에 섰다. 이들 솔루션은 복잡한 제조 현장의 안전성을 높이고 장비 고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현재 조선소 현장에 실제 도입되어 작업자 안전과 생산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다.

 

조선소 특화 AI 통번역 서비스인 ‘HD에이전트(HD Agent)’도 주목받았다. 현장 용어는 물론 외국어, 심지어 지역 사투리까지 섞인 복잡한 작업 지시 문장을 실시간으로 표준어로 변환해주는 이 서비스는 작업자 간 소통 효율을 극대화하며 현장 작업의 정확성을 높였다. 전시장 내 체험존에서는 참관객들이 직접 HD에이전트를 사용해 작업 지시 문장을 표준어로 변환하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었다.

 

이밖에도 선박 운항 데이터를 활용해 최적 항로를 추천하는 ‘오션와이즈(OceanWise)’, 강화학습을 접목한 미래형 건설장비 제어 솔루션 ‘Real-X’, 기동형 무인전력통제함과 전투용 무인수상정(USV), 원자력 추진선 모형 등 해상·육상 산업 미래 기술도 함께 공개되어 미래 스마트 산업 현장의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인터엑스, AI 기반 자율제조 솔루션으로 제조업 디지털 혁신 선도

 

 

산업 AX(Autonomous Transformation)와 자율제조 분야의 선도기업 인터엑스(InterX)는 ‘산업 AI 엑스포 2025’에서 소프트웨어 정의 제조(SDM)를 기반으로 한 AI 자율공장 솔루션과 통합 AX 플랫폼을 선보이며 제조업의 미래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인터엑스는 기존 설비 중심의 제조 운영 방식을 탈피해 공장, 설비, 제품, 공급망 등 제조 전 주기를 디지털화·지능화·자율화하는 SDM 개념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혁신 기술을 전시했다. 이를 통해 생산성 향상, 품질 예측, 에너지 절감, 탄소 배출 저감, 납기 단축 등 제조 현장의 핵심 운영지표 개선을 가능하게 한다.

 

부스에서는 AI 자율공장 플랫폼과 생성형 AI 솔루션, 디지털 트윈 기술, 그리고 디지털 공급망(Data Space) 플랫폼 등이 대표적으로 소개됐다. 특히 제조 현장 운전 기술(OT)을 AI로 자산화하는 현장 맞춤형 솔루션이 주목받았다. 인터엑스는 이를 통해 제조 현장의 실제 문제를 해결하고, 고객과의 긴밀한 협업으로 AI 도입 장벽을 낮추며 실행 중심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

 

한편, 인터엑스는 기술 공급에 그치지 않고 사람과 현장의 작동성까지 고려한 ‘현장 중심 혁신’을 기업 철학으로 삼아 고객과 함께 성과를 만들어내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2023년 중소벤처기업부 ‘아기유니콘 200’ 선정에 이어 2024년 ‘아기유니콘 플러스’에 최종 선정되며 성장 가능성과 글로벌 진출 역량을 인정받았다.


AMD 협력사 클레비, 사람 움직임 따라하는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주목

 

 

AI 전문기업 클레비(Clevi)가 ‘제1회 산업AI 엑스포’에서 첨단 텔레오퍼레이션(Teleoperation) 기술이 탑재된 휴머노이드 로봇을 선보이며 참관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텔레오퍼레이션 기술은 작업자의 행동을 로봇이 실시간으로 학습하고 따라 하는 방식으로 클레비는 이를 통해 산업 현장의 작업 자동화와 안전성 강화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클레비 부스에서 선보인 휴머노이드 로봇은 작업자의 동작을 세밀하게 재현하며 복잡한 제조 및 조립 공정에도 적용 가능한 높은 정밀도를 자랑한다. 이를 통해 작업자의 부담을 줄이고 작업 효율과 안전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어 제조업 현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클레비는 AI 연구개발의 핵심으로 자체 개발한 초거대 언어모델 ‘ivy’로도 주목받고 있다. ‘ivy’는 산업 현장에 특화된 맞춤형 AI 솔루션 구현에 최적화되어 있으며,실시간 멀티모달 분석(음성·이미지·비디오)을 지원해 복잡한 작업 환경에서도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해 처리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AI 에이전트 생성, 데이터 기반 예측 및 워크플로우 자동화 등 산업 현장에 즉각 적용 가능한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리더스시스템즈, NVIDIA 기반 슈퍼컴퓨터·디지털 트윈 플랫폼으로 산업 AI 인프라 혁신 제시

 

 

NVIDIA ELITE 파트너사 리더스시스템즈(대표 이부석)는 ‘2025 산업AI EXPO’에 참가해 고성능 GPU 기반의 슈퍼컴퓨팅 시스템과 산업용 디지털 트윈·AI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선보이며 산업 현장의 AI 인프라 혁신 가능성을 제시했다.

 

리더스시스템즈는 2003년 설립 이후 국내에서 AI·딥러닝·시뮬레이션·데이터센터 구축 분야를 선도해온 GPU 전문 기업이다. NVIDIA의 가속 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슈퍼컴퓨터부터 워크스테이션, GPU 가상화, 시각화, AI 교육 및 클라우드 연구 서비스까지 전방위적인 GPU 최적화 플랫폼을 공급하며 '풀스택 AI 인프라 파트너'로 자리잡아왔다.

 

이번 전시에서는 NVIDIA의 최신 아키텍처를 적용한 차세대 하드웨어 제품군과 더불어 실제 산업 적용 사례 중심의 체험형 부스를 구성, 관람객들이 AI 기술의 물리적 구현을 눈으로 보고 손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전시의 중심은 최신 GPU 아키텍처 기반의 플래그십 장비인 NVIDIA DGX™ B200이다. 이 제품은 LLM(초거대 언어모델), 추천 시스템, 생성형 챗봇 등 대규모 AI 워크로드를 지원하는 차세대 슈퍼컴퓨터로, 현장에서는 GPU, 보드, 냉각 시스템 등 내부 구성 요소를 실제로 분해해 구조와 작동 원리를 공개했다. AI 성능과 병렬처리 최적화에 관심 있는 기술 관계자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또한 전문가용 워크로드에 특화된 고성능 워크스테이션용 GPU NVIDIA RTX™ PRO 6000 Blackwell 시리즈도 함께 소개됐다. 96GB GDDR7 메모리와 최신 Tensor·RT 코어를 장착한 이 GPU는 고해상도 3D 모델링, 실시간 시뮬레이션, 과학적 시각화 등 고난도 컴퓨팅 작업에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한다.


마이크로소프트, 생성형 AI ‘코파일럿’으로 업무 혁신의 현재와 미래를 보여주다

 

 

이번 전시회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스 중 하나는 단연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였다. 수십 대의 태블릿이 길게 놓인 대형 부스에는 행사 내내 참관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사람들이 직접 손으로 만지고, 입력하고, 반응을 살펴보는 이 체험형 공간은 단순한 홍보가 아닌, 마이크로소프트의 대표 생성형 AI 솔루션 ‘코파일럿(Copilot)’의 실질적인 사용 경험을 제공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코파일럿은 오픈AI의 ChatGPT 기술과 통합돼 있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생성형 AI 솔루션으로 이미 Word, Excel, PowerPoint, Outlook, Teams 등 Microsoft 365 전반에 걸쳐 적용되고 있다. 부스에서는 참가자들이 직접 이메일 초안 작성, 회의 요약 생성, 엑셀 데이터 분석 등의 기능을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실제 업무 현장에서의 효용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코파일럿은 단순한 ‘대화형 AI’에 그치지 않는다. 문서 작성 속도를 최대 12%까지 높이고 사용자의 업무 스타일을 학습해 점차 더 개인화된 지원을 제공하며, 반복적 업무에 드는 시간을 주당 20시간 이상 줄여준다는 보고도 있다. 또 Microsoft의 강력한 보안 체계 위에 구축되어 GDPR, HIPAA 등 주요 규정을 준수하며 민감한 산업 데이터를 다루는 현장에서도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다는 점도 주목된다.


에이로봇, 4세대 휴머노이드 ‘앨리스 4’로 산업AI EXPO 첫 무대

 

 

에이로봇은 휴머노이드 로봇의 상용화와 보급을 목표로 연구와 개발을 이어온 기업이다. 앨리스, 에이미, 에디 등 다양한 모델을 선보이며 기술력을 축적해왔고 이번 산업AI EXPO에서 차세대 모델 ‘앨리스 4’를 공개했다.

 

새롭게 선보인 앨리스 4는 정밀 제어와 저소음 보행을 구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중 링크 병렬 구조의 다리와 SLIP(Spring-Loaded Inverted Pendulum) 보행 모델을 채택해 안정적인 보행을 가능하게 했으며 보행 속도 3m/s 달성을 목표로 성능을 고도화하고 있다. 또한 AI 플랫폼 ‘아이작 그루트’를 활용해 자연어를 이해하고 산업 환경에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부스 현장에서는 관람객이 앨리스 4와 직접 주사위 게임을 하며 비전과 음성 인식 기능을 체험할 수 있었다. 게임 종료 후에는 생수병을 전달받으며 로봇의 부드러운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어 눈길을 끌었다.

 

에이로봇은 자체 개발한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탑재해 감속기 없이도 정교한 힘 제어를 구현했다. 이 기술은 백드라이브 기능과 높은 전류 민감도를 갖춰 섬세한 구동을 가능하게 하며 열 관리 설계로 안정성과 내구성을 강화했다. 낮은 감속비로 소음을 줄여 사람과 함께하는 환경에 적합하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한편, 에이로봇은 정부 주도의 ‘K-휴머노이드 연합’ 참여를 통해 산업 생태계 확산에도 동참하고 있으며 지난 7월에는 100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해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다.

 

에이로봇 관계자는 “앨리스 4는 산업 현장에서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로봇”이라며 “휴머노이드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HP코리아, AI 개발 최적화 워크스테이션 라인업 공개

 

 

HP코리아는 AI 개발, 3D 모델링, 데이터 분석 등 고성능 연산 환경에 특화된 Z 시리즈 워크스테이션을 선보였다. HP Z AI 워크스테이션은 전문가용 PC로 조립 PC나 게이밍 PC와 달리 장시간 고부하 작업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설계됐다. 주요 ISV 인증 소프트웨어와 AI 보안 기능을 제공하며 국내 워크스테이션 시장 점유율 1위(2021 Q3~2025 Q1, IDC)를 기록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주력 제품으로 소개된 ‘Z8 Fury G5’는 엔비디아 RTX 6000 시리즈 그래픽카드를 최대 4개까지, AMD Radeon PRO W680 그래픽카드는 최대 2개까지 장착할 수 있다. 고사양 GPU가 동시에 최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발열 제어 설계를 강화했으며 대용량 데이터 처리와 sLLM 학습과 같은 복잡한 워크로드도 효율적으로 지원한다.

 

HP코리아는 데스크탑과 모바일 워크스테이션 라인업을 통해 다양한 환경에서 전문가 수요를 충족시키는 전략도 강조했다. 부스에서는 워크스테이션 기반의 영상 감시 솔루션을 함께 선보이며 AI 인프라를 활용한 실제 적용 사례를 소개했다.

 

HP코리아 관계자는 “워크스테이션은 잘 만든 AI 솔루션을 실제로 구현해 줄 수 있는 튼튼한 몸”이라고 강조하며 “앞으로도 AI 솔루션과 하드웨어를 함께 발전시켜 산업 현장의 수요를 충족하겠다”라고 밝혔다.


UVC, 디지털 트윈 ‘OCTOPUS’ 전주기 솔루션 시연

 

 

UVC는 제조 디지털 트윈 분야에서 축적한 경험을 바탕으로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을 제공해온 기업이다. OPC UA 국제 표준 기술을 기반으로 한 자체 플랫폼을 통해 IIoT 연결과 데이터 분석을 지원하며 다양한 OT·IT 기술을 통합해 디지털 트윈 환경을 구현한다.

 

UVC는 이번 전시에서 자율 제조를 위한 전주기 솔루션 ‘OCTOPUS’를 선보였다. ‘All About AI Factory’를 주제로 마련된 이번 전시에서는 OCTOPUS 8대 솔루션 가운데 AI 기반 분석 플랫폼 ‘OCTOPUS Insight AI’와 AI 기반 제어 센터 ‘OCTOPUS MCP Center’를 시연해 관람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전시 기간 동안 UVC 조규종 대표이사의 발표도 이어졌다. 그는 ‘제조 AI는 브레인, 그것 만으로 자율 제조 가능한가?’라는 주제로 제조 현장의 AI 도입 한계를 짚었으며, 조예창 파트장은 ‘From DX to AX: 앞서가는 기업들이 선택한 무인화·자율화 디지털 트윈 전략’을 통해 실제 산업 현장의 자율화 사례를 공유했다.

 

부스 현장에서는 OCTOPUS의 마스코트인 문어 인형을 활용한 참여형 이벤트도 진행됐다. 관람객은 문어 캐릭터와 함께 Physical AI 기반 로봇 제어를 직관적으로 체험하며 디지털 트윈 기술을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UVC 관계자는 “이번 전시는 제조 산업의 AI 전환을 위한 통합 솔루션 비전을 보여주는 자리”라며 “특히 Insight AI와 MCP Center를 중심으로, AI가 스스로 판단하고 공정을 제어하는 자율 제조 환경을 직접 경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모빌린트, 고성능·저전력 NPU로 ‘에리스’와 저전력 ‘레귤러스’ 산업AI 공략

 

 

모빌린트는 초저전력·고효율 AI 연산이 가능한 SoC를 자체 기술로 개발하는 NPU 전문 기업이다. Edge AI 시대를 선도하며 스마트 모빌리티, IoT, 보안, 헬스케어 분야에 적용 가능한 경량형 AI 반도체를 공급하고 있으며 SoC 설계 전 과정을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다.

 

모빌린트는 이번 전시에서 AI 반도체 제품군 ‘에리스(ARIES)’와 ‘레귤러스(REGULUS)’를 전시했다. 에리스는 최대 80 TOPS 성능과 25W 전력 소모를 동시에 구현한 고성능 NPU로 PCIe 카드 ‘MLA100’ 시리즈와 독립형 AI 박스 ‘MLX-A1’ 등 다양한 폼팩터로 제공된다. 전시장에서는 에리스 기반 카드가 PC에 장착돼 비전 인식, 이미지 분석, 자연어 처리 등 AI 연산을 시연했으며 고해상도 영상 복원, 로컬 환경에서의 LLM 추론 속도 검증, 다중 채널 영상 분석 등 데모가 진행됐다.

 

레귤러스는 온디바이스 AI에 최적화된 저전력 SoC로 10 TOPS 연산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전력 소모는 3~5W 수준에 불과하다. 고성능 CPU와 AI 엔진, 범용 인터페이스를 내장해 서버 연결 없이도 독립적으로 AI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로봇, 드론, AI CCTV, 스마트홈 기기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합하다.

 

모빌린트는 이번 전시를 통해 데이터센터 중심에서 현장으로 확산되는 온디바이스 AI 수요에 대응하는 전략을 제시했다. 또한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에도 나서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임베디드 플랫폼 기업 에티나(Aetina)와 전략적 협약을 체결해 AI 엣지 컴퓨팅 상용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모빌린트 관계자는 “에리스와 레귤러스는 고성능과 저전력을 동시에 만족하는 NPU 솔루션”이라며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엣지 AI 도입을 앞당길 수 있도록 협력과 기술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원프레딕트, ‘AI 팩토리 OS’로 자율제조 비전 제시

 

 

원프레딕트는 AI와 도메인 지식을 결합해 산업 현장의 운영·정비(O&M) 혁신을 선도하는 기업이다. 이번 산업AI 엑스포에서 새로운 브랜드 태그라인 ‘AI 팩토리 회사’를 공식적으로 선포하며 자율제조AI 전문기업으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전시 중심에는 산업AI 운영체제 ‘AI 팩토리 OS’가 자리했다. 이 플랫폼은 제조데이터 기반 플랫폼 ‘Cyclone’과 설비·공정 성능 관리 솔루션 ‘가디원 pdx’를 핵심 구성 요소로 한다. Cyclone은 제조 현장에서 생성되는 대규모 데이터를 수집·정제·관리해 자산화하고 이를 토대로 AI 모델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가디원 pdx는 설비와 공정을 동시에 진단·예측하는 통합 플랫폼으로 예지보전과 품질예측을 함께 수행해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이미 검증됐다.

 

원프레딕트는 AI 팩토리 OS를 통해 단일 장비 모니터링을 넘어 공장 전체를 아우르는 지능형 운영체제 비전을 제시했다. Cyclone과 pdx를 기반으로 향후 AI-MMS, AI-MES, AI-FEMS 등 특화 애플리케이션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설비 정비 최적화, 생산 스케줄링, 에너지·탄소 절감과 같은 구체적 성과를 뒷받침한다는 전략이다.

 

원프레딕트 관계자는 “AI 팩토리 OS는 자율제조를 현실화하는 핵심 플랫폼”이라며 “제조 현장의 운영 효율을 넘어 산업 전반의 혁신을 견인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김재황 기자 / 구서경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