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솔라커넥트가 지난 20일 RE100 신재생공급인증서(REC) 거래시장에서 REC 매매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국내 REC 거래시장 개설 이후 최초 매매 사례다. 한국형 RE100 참여기업이 재생에너지를 직접 구매할 수 있도록 개설된 REC 거래시장은 복잡한 절차 없이 월 2회 시스템을 통한 매매가 가능하다. 솔라커넥트는 2020년 12월에 스위스 소재 투자은행과의 RE100 이행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거래를 통해 REC 소유권을 이전함으로써 RE100 인증을 지원하게 됐다. 솔라커넥트는 지난 2020년 국내 최초 글로벌 RE100 파트너사인 영국 CDP(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 인증 획득으로 일찍이 글로벌 RE100 및 한국형 RE100 이행 솔루션을 제공해왔다. 최근 IT사와의 RE100 이행 계약을 체결하면서 솔루션의 신뢰도와 우수성이 입증됐다. 이영호 솔라커넥트 대표는 “REC 구매는 해외에서도 RE100 참여기업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이행 수단”이라며 “기업의 RE100 참여를 위해 REC 거래시장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에너지 전환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는 RE100(재생에너지 100%) 참여기업 등 일반 기업들이 재생에너지를 구매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시장을 개설, 2일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한다고 1일 밝혔다. REC 거래시장은 거래당사자 간 계약체결 후 시스템에 등록·정산하는 장외거래 방식과 플랫폼에 매물을 등록해 매매하는 플랫폼 거래 방식으로 운영된다. 복잡한 절차 없이 상시로 REC를 구매할 수 있고, 구매한 REC는 온실가스 감축 실적으로도 인정받을 수 있어 기업들의 참여가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REC 수요가 확대돼 REC의 수급 안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산업부는 기대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미 운영 중인 녹색 프리미엄, 제3자 전력구매계약(PPA) 이외에 REC 구매 방식이 추가돼 기업들의 재생에너지 조달 방식이 한층 다양해지고 더 쉽게 재생에너지 사용을 인정받을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올해 중 직접 PPA 방식까지 도입해 국내 기업의 RE100 참여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활동을 지원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직접 PPA는 재생에너지 전기공급자가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생산한 전기를 전력시장을 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