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특화 AI 스타트업 마키나락스가 '코리아 AI 스타트업 100' AI 솔루션·플랫폼 분야에 2년 연속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 코리아 AI 스타트업 100은 AI 혁신 생태계의 선진화를 조성해 국가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스타트업을 발굴하기 위한 프로젝트로 2021년부터 매년 100개 기업을 선정하고 있다. 카이스트와 KT경제경영연구소가 공동 개발한 평가 모델에 따라 ▲ 시장의 규모 및 확장성 ▲ 기업가치 및 매출 ▲ AI 인력 전문성 ▲ AI 기술 및 제품 등 정량 지표와 지속가능성, 사회적 문제 해결 등 정성 지표를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윤성호 대표는 "이상탐지, 예측, 조합최적화에 특화된 AI 기술로 산업의 문제를 해결해온 마키나락스의 기술력을 인정받아 영광"이라며 "마키나락스가 자체 개발한 MLOps 플랫폼 '런웨이'로 기업들이 빠르고 쉽게 머신러닝 모델을 개발-배포-운영하며 실질적인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마키나락스는 반도체, 에너지, 자동차 등 다양한 제조 및 산업 AI 프로젝트에서 고성능 ML 모델을 개발하고 운영한 경험을 바탕으로 엔터프라이즈 MLOps 플랫폼 런웨이를 개발했다. 클라우드와 도메인에
한국인터넷진흥원과 KT경제경영연구소가 2017년 인터넷시장에서는 전에 없던 가치가 생산되는 ‘혁신(Revolution)’과 기존의 것이 더 발전하는 ‘진화(Evolution)’가 공존할 전망 등을 내용으로 발표한 ‘2017년 인터넷 10대 이슈 전망’보고서에서 주요 이슈로 선정된 차세대 네트워크 5G를 정리했다. 5G는 LTE 대비 전송은 약 270배, 지연 속도는 30배 이상 빠른 차세대 이동통신이다. 2017년은 미래의 핵심 인프라가 될 5G의 국제표준 토대가 마련되는 해로, 5G 주도권 선점을 둘러싸고 세계 각 국의 사업자들은 우호세력 확보를 위해 치열한 합종연횡 경쟁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18년 평창에서 선보일 5G 서비스와 단말의 개발도 본격적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5G는 4G 다음에 등장하는 5세대 이동통신의 정식 명칭이다(그림 1 참조). 5G 표준 규격을 제정하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5G 요건은 ‘데이터 전송 속도 초당 20Gbps이상, 지연 속도 0.001초 이하’로, 4G LTE 대비 전송 속도는 약 270배, 지연 속도는 30배 이상
ⓒGetty images Bank [헬로티]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KT경제경영연구소는 2017년을 ICT 주도 기술이 변화하는 패러다임 전환의 원년이 될 것으로 보고, 내년 인터넷시장에서는 전에 없던 가치가 생산되는 ‘혁신(Revolution)’과 기존의 것이 더 발전하는 ‘진화(Evolution)’가 공존할 전망 등을 내용으로 하는‘2017년 인터넷 10대 이슈 전망’보고서를 발표했다. 2010년부터 정책수립 및 기업 활동 지원을 위해 인터넷 관련 주요 이슈를 선정하여 매년 발표해 온 인터넷진흥원이 KT경제경영연구소와 공동으로 발표한 이번 ‘2017년 인터넷 10대 이슈’는 문헌 조사를 통한 키워드 선정, 빅데이터 분석, ICT 종사자 대상 설문조사, 전문가 평가 등을 통해 선정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인터넷 시장은 전에 없던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는 혁신적 기술이 등장할 전망이다. 주요 이슈로는 ▲음성비서를 통한 생태계 구축과 서비스 경쟁을 촉발할 인공지능 ▲20GB 초고화질 영화 한편을 8초 만에 전송할 수 있는 성능으로 진정한 IoT 환경을 실현할 차
최근 사물인터넷의 확산으로 ICT 융합산업은 새로운 도약의 시기를 맞고 있다. 이는 기존 산업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산업 혁신을 활성화하는 촉매제가 될 것이다. KT경제경영연구소 임양수, 박유진, 김선명 연구원은 <2015년 IoT 중심의 융합산업 전망> 제하의 보고서를 통해 에너지, 보안, 헬스케어, 자동차·교통 등 4대 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퀀텀 점프'하기 위해서는 사물인터넷과의 융합이 반드시 추진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 내용을 정리 요약한다. 최근 사물인터넷이 확산 기로에 들어서면서 융합산업은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됐다. 사물인터넷의 가장 큰 장점은 소비자 접점이 산업 외부의 사업자들에게 쉽게 노출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기기는 누구나 의료, 보안, 자동차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소비자 접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해당 사업자가 제공하는 제품만 이용할 수 있었던 과거와 비교해 볼 때, 주요 사업자들이 가지고 있던 대표적 경쟁우위가 약해진다는 것이다. 이처럼 사물인터넷은 다양한 융합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그림 1). 이에 에너지, 보안, 헬스케어, 자동차·교통 등 4대 기존 융합 산업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