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표준 기반 엔드투엔드 보호 체계로 산업 디지털 전환 안전성의 강화 24×7 관리형 보안 서비스로 인력 부담 해소… OT 보안 운영 ‘현실적 해답’ 산업 자동화 기업들이 디지털 전환을 가속하는 가운데, 운영기술(OT) 영역을 겨냥한 사이버 공격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로크웰 오토메이션이 새롭게 선보인 ‘시큐어OT(SecureOT)’는 복잡한 산업 현장을 위한 통합 보안 패키지로 주목받고 있다. 제조업과 에너지, 인프라 산업까지 OT 시스템 의존도가 커지는 상황에서, 현장 조직이 직면한 보안 공백을 실질적으로 메우는 데 초점을 맞춘 것이 특징이다. 시큐어OT는 실시간 자산 가시성, 취약점 관리, 탐지·대응 체계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해 엔드 투 엔드 보호를 구현했다. 특히 여러 기기·벤더가 공존하는 OT 환경에서 장비 현황을 단일 화면으로 파악하고, 위협 수준에 따라 우선순위를 자동 제시하는 기능이 적용돼 운영 효율을 높였다. 국제 표준인 NIST CSF, NIS2, IEC 62443를 폭넓게 준수해 글로벌 산업 규제 대응에도 강점을 보인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플랫폼 제공을 넘어 컨설팅·평가·구현 서비스까지 포함한 ‘전문 서비스’,
카스퍼스키가 발표한 '2025년 1분기 산업제어시스템 사이버 보안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ICS 컴퓨터의 21.9%에서 악성 객체가 탐지됐다. 공격은 전 지역에서 확인됐으며 특히 아프리카 지역의 비율이 29.6%로 가장 높았고, 북유럽은 10.7%로 가장 낮았다. 산업군별로는 생체인식 시스템이 28.1%로 가장 높은 공격 비율을 기록했으며, 이어 빌딩 자동화(25%), 전력 설비(22.8%) 등의 순이었다. 1분기에는 인터넷을 통한 위협이 전체 ICS 컴퓨터의 10.11%에서 탐지돼 여전히 주요 감염 경로로 나타났다. 이메일 클라이언트(2.81%)와 이동식 미디어(0.52%)도 위협 요인으로 지목됐다. 특히 악성 스크립트, 피싱 페이지, 차단된 인터넷 자원은 ICS 공격의 주요 수단으로 활용되며 초기 감염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악성 스크립트와 피싱 페이지가 남유럽(10.31%), 아프리카(10.14%), 중동(9.58%)에서 집중적으로 차단됐다. 스파이웨어 탐지 비율 역시 아프리카(7.05%), 남유럽(6.52%) 등에서 높았다. 랜섬웨어는 동아시아(0.32%), 채굴기는 중앙아시아(1.72%)에 집중됐다. ICS에 웜과 바이러스를 유
2023 스마트제조혁신포럼, 세부 세미나와 컨퍼런스 9개 개최 대기업은 물론, 중소중견 제조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노력이 한창이다. 그 일환으로 모든 프로세스의 디지털전환에 주목하고 있다. 모든 산업이 처한 여러가지 변수를 고려했을 때 결국 디지털전환은 필수이며, 빠르게 변하는 지금의 시대에서 뒤쳐지지 않을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전환 고려할 것이 너무나 많다. 그렇다고 마냥 손놓고 있을 수는 없다. 최신 정보 취합부터 시작해 우리 기업이 현 상황을 진단하고, 가장 쉽게 먼저 시작할 수 있는 디지털전환부터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디지털전환을 위해서는 AI부터 클라우드, 디지털트윈, 3D프린팅, 로봇, 머신비전, 품질검사 등 다양한 혁신기술이 필요한데, 이러한 기술의 동향을 확인하고, 탄소중립, 순환경제 등의 이슈도 체크하는 것도 빼놓을 수 없다. 이렇게 디지털전환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오는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2023 스마트제조혁신포럼이 개최된다. 아시아 최대, 국내 최대의 스마트팩토리, 산업자동화 전시회인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