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전자기술 기자 | GE는 대형 가스터빈 등급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H클래스 가스터빈이 전 세계 20개 국가에서 50곳이 넘는 고객사로부터 수주해 26기가와트(GW)에 달하는 전력을 생산하고 1백만 시간이 넘는 상업운전 시간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HA 가스터빈은 2014년 출시 후 기록적인 복합발전 효율을 자랑하며, 2016년 첫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발전사업자는 배출가스를 줄이고 효율성은 높이며 탁월한 연료 유연성으로 여러 재생에너지와 연동해 사용하고, 석탄발전을 대체할 수 있다. GE가스파워의 대형 가스터빈 제품관리를 책임지고 있는 아밋 쿨카르니(Amit Kulkarni) 총괄은 “GE는 HA가스터빈 기술이 지속 가능한 전력을 공급해 발전사업자가 저탄소 에너지 미래로 전환하는데 도움이 되며, 미래에도 최상의 기술로 자리하는 가스터빈을 설계 개발하는데 주력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가스는 재생에너지를 보완하는 최적의 에너지원으로 지속 가능한 에너지 미래를 육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HA가스터빈이 달성한 괄목할 만한 기록을 기념하며, 이 여정을 함께 한 고객, 기술 발전, 성과가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2021년 말레이시아 남부발전의 트랙4A 복
[헬로티] GE는 오늘 통영천연가스발전소에 용량 1기가와트(GW) 이상의 발전설비를 공급하는 계약을 수주했다고 밝혔다. ▲GE 7HA 가스터빈 이번 수주로 GE는 7HA.02 가스터빈 2기와 STF-D600 증기터빈 1기, 배열회수보일러(HRSG) 2기, H65 발전기 3기를 공급하고, 향후 18년간의 유지보수 계약도 함께 제공한다. 통영시 안정국가산업단지에 건립되는 통영천연가스발전소는 100만이 넘는 가구에 전력을 공급하는 규모의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시공사인 한화건설이 2021년 착공해, 2024년 상업운전을 개시할 예정이다. GE코리아 강성욱 총괄사장은 "한국의 증가하는 에너지 수요를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통영천연가스발전소를 지원하게 돼 자랑스럽다"고 소감을 밝혔다. 강성욱 총괄사장은 "가스발전은 저탄소 미래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천연가스 복합발전은 이산화탄소(CO2),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입자상물질, 수은 등 측면에서 배출 수준이 가장 낮은 화석연료 발전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GE의 HA가스터빈은 연료 유연성이 높아, 수소와 천연가스 혼합을 포함해 다양한 연료로 가동할
[첨단 헬로티] 화석연료에서 신재생에너지로의 에너지 전환이 세계적으로 이뤄지면서 신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전력 공급이 중요해졌다. 태양광이나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원은 전력 공급에 있어서 주변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주목받고 있는 에너지자원이 천연가스다. 천연가스는 탈원전·탈석탄의 중간지대를 점유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서 저렴하면서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담당할 수 있어서다. 용량과 효율, 운영의 유연성, 비용 등 모든 분야 개선 GE는 천연가스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HA 가스터빈 시리즈의 최신 기술 버전인 ‘7HA.03’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7HA.03은 기존의 GE HA 가스터빈 플랫폼의 공통된 아키텍쳐와 기술을 유지하면서, 업계 최고의 발전소 운전의 유연성과 가스를 전력으로 전환하는 데 있어 최저 수준의 비용으로 세계 최대이자 최고효율의 60Hz 가스터빈으로 한 단계 진일보했다. GE의 기존 7HA.02 가스터빈(2x1 조합의 복합 발전) 대비 134MW 더 많은 전력을 생산한다. 이는 미국 10만 5백 가구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규모로, 7HA.02 가스터빈보다 효율이 0.4%
[첨단 헬로티] GE파워는 미시건주 나일즈의 인덱 나일즈 에너지 센터로부터 HA 가스터빈 기술을 수주했다고 21일 밝혔다. GE파워는 “1천 메가와트 발전소 프로젝트의 EPC 공급업체인 키위트 파워(Kiewit Power Constructors)와 계약을 체결하고, 자사의 7HA.02 가스터빈 2기를 공급한다. 미시건주에서 가장 효율적인 에너지 센터 중 하나가 될 인덱 나일즈는 63만5천 가구와 사업체가 필요로 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이번 프로젝트의 디벨로퍼는 인덱 에너지 서비스로, 한국남부발전이 50%, 대림에너지가 30%, 인데크 에너지 서비스가 20%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으며, 2022년 준공될 예정이다. 발전소 공사는 500개의 건설 일자리와 지속적인 발전소 운영을 위한 21개의 정규직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수주는 GE 스팀 터빈, 발전기, 배열회수보일러(HSRG) 2기 및 다년간의 서비스 계약을 포함한다. 인덱 에너지 서비스 회장이자 대표이사인 제럴드 R. 포시스는 “인덱 나일즈 에너지 센터가 GE의 최신 가스 발전 기술 사용하여 미시간 주에서 가장 효율적인 에너지 센터 중 하나가 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