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전, 머신비전 분야에 첫 발을 내딛은 에프에이플러스는 지금도 변함없이 같은 길을 걷고 있다. 미국 코그넥스의 국내 파트너로서 국내에서 가장 오랜 전통과 가장 큰 전문 인력을 보유한 에프에어플러스는 AI 딥러닝 기반의 비전 시스템으로 반도체·배터리·물류 등 제조 현장의 정밀도와 생산성을 혁신하고 있다. 이에 더해 최근에는 미국 시장 진출을 앞두고 글로벌 네트워크 전략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머신비전이라는 길을 개척해 온 에프에이플러스가 걸어온 여정과 앞으로의 방향성을 양해영 에프에이플러스 대표를 통해 들어봤다. 순수 머신비전 외길 25년, 고객 신뢰로 성장 이어가다 Q. 에프에이플러스는 어떤 기업입니까? A. 2000년 설립된 저희 에프에이플러스는 미국 코그넥스사의 공식 파트너로 25년간 머신비전 시스템과 바코드 리더기, 딥러닝, 3D 제품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솔루션을 개발·공급해왔습니다. 대전 본사와 창원, 경기 지사를 포함해 53명의 전문 조직을 갖추고 있으며 고객 맞춤 기술 지원과 서비스에 집중해온 결과 첫 거래 고객과 지금까지도 인연을 이어가고 있을 만큼 고객사들의 신뢰도도 높습니다. 무엇보다 기계나 전기 분야가 아닌 ‘순수 머신비전 시스템’에만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인공지능 검사설비 전문기업 트윔이 올해 새로운 프로젝트 수주를 연이어 성공하면서 공장자동화 및 스마트 팩토리 산업에서 큰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이번에는 제약회사에 AI검사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됐다고 트윔은 밝혔다. 이번 제약회사는 ‘스틱 파우치 제품 생산량 증가’에 따른 불량제품 검수를 위해, 신규 제품 생산 설비의 육안 검사원을 14명 정도 신규 채용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이에 따라 해당 고객사는 이번 기회를 스마트 팩토리 및 공장자동화를 구축할 수 있는 기회로 여겨 AI검사기를 도입에 투자를 결정하게 되었다. 트윔이 이번 프로젝트를 수주하게 된 핵심 요인은 트윔만의 차별화인 고객 맞춤형 설비 구축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공지능 도입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경우에 대한 불량 학습이 필요한데, 이를 고객이 직접 하기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직접 학습할 연구 인력도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 현실이다. 반면 트윔은 다양한 불량에 대한 학습 및 설정을 진행해, 고객은 시작 버튼만 누르면 원하는 모든 부분을 맞춤형으로 운영되게끔 시스템을 구축해왔다. 또한, 머신비전 기반에서 요구되는 카메라의 사양, 렌즈의 호환, 공장 환경에 맞는 조명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