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분기 매출, 전년 동기 대비 7% 줄어...3개 분기 연속 감소 인텔은 작년 4분기 142억6000만 달러의 매출과 0.13달러의 조정된 주당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30일(현지시간) 밝혔다. 매출과 조정된 주당 순이익은 시장조사업체 LSEG가 집계한 월가 평균치 138억1000만 달러와 0.12달러를 각각 웃돌았다. 이번 실적 발표는 작년 12월 팻 겔싱어 전 최고경영자(CEO)가 사임한 이후 처음 이뤄진 것이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 줄어든 수준으로, 이로써 인텔 매출은 3개 분기 연속 감소했다. 올해 1분기 매출은 117억 달러∼127억 달러에 이르고 이익을 보고할 것이라고 인텔은 밝혔다. 1분기 예상 매출은 시장 분석가들의 평균치 128억7000만 달러보다 낮은 수준이다. 부문별로는 PC 칩을 판매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팅 그룹 매출은 1년 전보다 9% 줄어든 80억2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분석가 예상치(79억4000만 달러)는 웃돌았다. 클라우드 업체 등에 프로세서를 제공하는 데이터 센터 및 인공 지능 부문은 3% 줄어든 33억90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려 시장 전망치에 부합했다. 인텔 파운드리 매출도 13% 줄었으나, 예상치 45억 달
영업익 전년비 15% 감소 수치..영업이익률 개선과 매출 증대에 방점 온라인 진출 5년 만에 매출액 284% 성장…4272억 원 기록 오아시스마켓은 2022년 4분기(누적) 실적을 발표하며 영업이익 약 48억 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오아시스마켓 관계자에 따르면 전년 대비 약 15% 감소한 수치이나 흑자 기조를 유지한 만큼 앞으로 이익 구조 면에서는 문제없다는 판단이다. 지속적인 영업이익 창출 속, 매출액 역시 온라인 진출 5년 만에 284% 증가하며 성장성을 입증했다. 2022년 4분기 오아시스마켓의 매출액은 427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20% 신장했다. 오아시스마켓은 올해 신사업 확대를 통해 영업이익률 개선과 매출 증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오아시스마켓 관계자는 “KT와 함께하는 기가지니 AI 음성 장보기 서비스 고도화, 이랜드 리테일과 합작 브랜드 킴스오아시스 시너지 강화, KT알파와 온에어 딜리버리 전개, 케이뱅크와 협업 등 다양한 방법으로 기업 교류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이동통신사업 및 알뜰폰 가입자, 5G 가입자 증가, 해지율 하락 등으로 수익 성장 LG유플러스가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10.4% 증가하며 처음으로 1조 원을 넘어섰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13조9060억 원, 단말기 판매를 제외한 서비스 매출 11조4106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0.4%, 3.1% 증가했다고 3일 공시했다. 연간 영업이익은 1조813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4% 증가했다. 순이익은 6626억 원으로 8.5% 줄었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3조6106억원이었고, 영업이익은 2866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81.1% 늘었다. 해당 분기 순이익은 1594억 원으로 집계됐다. 4분기 영업이익은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2308억 원을 24.2% 상회했다. 연간 매출 중 모바일 매출은 전년 대비 2.1% 증가한 6조1832억 원이었다. 모바일 매출에서 접속 수익을 제외하고 모바일 통화료·데이터 요금 등으로 산정한 무선 서비스 매출은 5조8309억 원으로 2.4% 늘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모바일 가입자가 1989만6000명으로 10.6% 증가했다"며 "이동통신사업(MNO)과 알뜰폰(MVNO) 가입자 증가와
부품 조달의 어려움, 공급망 비용 초과 등이 원인으로 지적돼 미국 포드 자동차는 반도체 부족과 공급망 혼란으로 인한 생산 차질로 지난해 4분기 이익이 90% 가까이 급감하면서 실적이 연간 전망치에 미달했다고 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포드의 4분기 매출은 440억 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16.7% 늘었으나, 순이익은 13억 달러로 89% 줄었다. 지난해 연간 세전 이익도 104억 달러에 그쳐 앞서 회사가 제시한 전망치인 115억∼125억 달러에 미치지 못했다. 올해 세전 이익 전망치는 90억∼110억 달러로 제시했다. 존 롤러 포드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반도체를 비롯한 부품 조달에 어려움을 겪었고 공급망 비용도 예상보다 많이 나간 것이 지난해 실적 부진의 원인이 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포드의 실적 부진으로 주가는 이날 시간 외 거래에서 6% 넘게 빠졌다. 짐 팔리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119년 역사의 포드는 미국 내 전기차 업체 1위 목표 달성을 위해 지난해 초 전기차 사업 부문을 분사한 바 있다. 최근에는 사무직 수천 명을 해고하고 자율주행 벤처 자회사인 아르고 AI를 정리하는 등 조직 유연화에도 나서고
고금리, 경기 침체 장기화 우려, 코로나 특수 해제 등의 요인 작용 삼성전자가 글로벌 경기 침체로 주력 사업인 메모리 반도체 사업 등이 부진에 빠지며 어닝 쇼크를 기록했다. 특히 삼성전자 실적을 지탱하던 반도체 부문의 4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97% 급감한 2000억 원대에 그치며 증권가 예상에도 크게 밑돌아 충격을 더했다. 연간 매출로는 300조 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대를 기록했지만 빛이 바랬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영업이익이 43조3766억 원으로 전년보다 15.99%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1일 공시했다. 매출은 302조2314억 원으로 전년 대비 8.09% 증가했다. 삼성전자의 연간 매출이 300조 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순이익은 55조6541억 원으로 39.46% 늘었다. 하지만 이 같은 매출 기록에도 웃지 못했다. 작년 4분기 영업이익은 4조3061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68.95% 줄었다. 4분기 영업이익은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5조2913억 원을 18.6% 밑도는 수준이다. 삼성전자의 분기 영업이익이 4조 원 대에 그친 것은 2014년 3분기(4조600억 원) 이후 8년여 만에 처음이다.
매출액은 사상 최초 80조원 돌파하며 연간 기준 역대 최대 기록 LG전자가 2022년 4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연결 기준으로 지난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1조8597억원, 655억원이다. 매출액은 역대 분기 가운데 최대이며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했다. 영업이익의 경우, 연결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91.2% 줄었다. LG전자는 지난해 연간 기준 매출액 83조4695억원, 영업이익 3조5472억원을 달성했다. 매출액은 역대 최대이며 직전 년도 대비 12.9% 증가했다. 특히 연간 매출액이 80조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영업이익은 직전 년도 대비 12.6% 감소했다. 잠정실적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의거한 예상치다. 연결기준 순이익과 사업본부별 실적은 이달 말 예정된 실적 설명회에서 발표할 계획이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첨단 헬로티] 올해 D램 10나노급 3세대 제품(1z나노)와 낸드 플래시 128단 올해 양산 예정 SK하이닉스는 2019년 연간 26조9907억 원의 매출과 2조7127억 원(영업이익률 10%)의 영업이익을 달성하면서 전년 대비 경영실적이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K-IFRS 기준) 이에 대해 SK하이닉스 측은 지난 한 해 시장 변동에 대응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투자와 생산량을 조정하는 등 경영 효율화에 나섰으나 글로벌 무역 갈등으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됐고, 고객들의 재고 증가와 보수적인 구매 정책으로 수요 둔화와 가격 하락이 이어져 경영실적이 전년대비 감소한것으로 분석했다. 2019년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6조9271억 원, 2360억원(영업이익률 3%)을 기록했다. 4분기는 달러화의 약세 전환에도 불구하고 수요 회복에 적극 대응한 결과 매출은 전 분기 대비 소폭 상승했으나,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비중을 확대한 제품군의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낮았고, 신규 공정 전환에 따른 초기 원가 부담 등으로 영업이익은 전 분기 대비 50% 감소했다. 제품별로는 D램 출하량이 전 분기 대비 8% 증가했고, 평균판매가격은 7% 하락했으며, 낸드플래시는
[첨단 헬로티]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으로 매출 59조8800억 원, 영업이익 7조1600억 원의 2019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2019년 연간으로는 매출 230조4000억 원, 영업이익 27조7700억 원을 기록했다. 4분기는 전년 동기 대비 프리미엄 세트 제품 판매 호조로 매출은 소폭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메모리 실적 약세로 3조6400억 원 감소했다. 반도체 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메모리의 경우 D램 가격이 하락해 실적이 감소했고, 시스템반도체는 고화소 이미지센서와 고성능 컴퓨팅(HPC) 칩 수요 증가로 이익이 증가했다. 디스플레이 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중소형 디스플레이의 경우는 일부 프리미엄 제품군 수요 약세로 실적이 소폭 감소했고, 대형 디스플레이도 업계 공급 확대로 실적이 하락했다. IM 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플래그십 제품 판매 확대와 갤럭시 A시리즈 라인업 재편으로 실적이 개선됐다. CE 사업은 QLED·초대형 등 프리미엄 TV 제품 판매 확대와 더불어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가전 판매 호조, 냉장고∙세탁기 등의 수익성이 개선돼 실적이 증가했다. 4분기 환영향은 미국 달러, 유로, 주요 성장 시장 통화가 원화 대비 약세
[첨단 헬로티] - 연결기준 지난해 매출액 62조 3,062억 원…3년 연속 60조 원 상회 - 생활가전은 연간 매출 20 조원 첫 돌파…영업이익/영업이익률도 역대 최대 LG전자가 2019년 연결기준으로 매출액 62조3062억 원, 영업이익 2조4361억 원을 기록하면서 연간 매출액 사상 최고 기록을 냈다. 이는 전년(61조3417억 원) 대비 1.6% 증가한 수치이며, 매출액은 3년 연속 60조 원을 상회했다. 영업이익은 전년(2조 7,033억 원) 대비 9.9% 감소했다. 이 같은 결과는 LG 시그니처(LG SIGNATURE), 신가전 등 프리미엄 제품의 비중을 높여온 생활가전 사업의 성과가 돋보였기 때문이다. 더불어 H&A사업본부는 글로벌 프리미엄 시장에서 지배력을 높이며 연간 매출액 20조 원을 처음으로 돌파했고, 영업이익(1조 9,962억 원)과 영업이익률(9.3%)도 각각 역대 최고를 기록한 결과다. VS사업본부는 연간 기준 매출액이 5조 원을 처음으로 넘었다. BS사업본부도 매출액,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모두 사상 최대다. ▲LG전자의 프리미엄 가전 브랜드 'LG 시그니처' ■ 지난해 4분기 사업본부별 실적 지난해
▲ 삼성전자는 이달부터 세계 최초로 10나노급 16Gb(기가비트) LPDDR4(Low Power Double Data Rate 4) 기반의 '8GB LPDDR4 모바일 D램'을 공급하기 시작했다고 20일 밝혔다. (삼성전자 제공) 2016.10.20/뉴스1 반도체 호황에 힘입어 삼성전자가 깜짝 실적을 기록했다. 초호황인 D램과 낸드플래시로 반도체 사업이 삼성전자에 날개를 달았다. 삼성전자는 올해 중반 가동되는 평택공장을 중심으로 반도체 시장 리더십을 확대한다. 다만 D램 슈퍼호황에도 불구, 증설은 하지 않고 신중하고 탄력적으로 시장의 높은 수요에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갤럭시노트7의 단종 충격에서 성공적으로 벗어난 스마트폰 사업은 인공지능(AI)을 주무기로 부활을 노린다. 삼성전자는 24일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9조2000억원을 기록해 2013년 3분기(10조1600억원) 이후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역대 순위로는 2013년 2분기 9조5300억원에 이어 3위에 해당하는 실적이다.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은 29조2400억원으르 기록했으며 이 가운데 반도체 영업이익이 13조6000억원으로 절반에 육박했다. 삼성전자 호(好)실적의 주역은 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