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전력이며 NFC 대비 8천 배 빠른 초고속 근접통신 기술 개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무인 서비스단말기(키오스크)에 갖다 대면 기기가 서로를 바로 인지하여 초고속으로 기가급 대용량 데이터를 안전하게 순간 전송하는 사물인터넷(IoT) 통신시대가 열릴 전망이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는 10cm내의 근접거리에서 기가급의 대용량 콘텐츠를 복잡한 접속 절차 없이 손쉽고 빠르게 송수신할 수 있는 초고속 근접통신 기술인 ‘징(Zing)’을 개발했다. 1Gbyte 영화 한 편을 3초 만에 전송 징은 기기를 키오스크에 갖다 대면 원하는 데이터를 바로 가져올 수 있는 10cm 내 근접통신 기술이다. 데이터 전송 속도 제한 때문에 교통카드 등 극히 제한적인 응용에만 활용되던 근거리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대비 약 8천 배 빠른 3.5G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인터넷을 통하지 않는 차세대 초고속 NFC인 셈이다. 1Gbyte 영화 한 편을 전송하는 데 3초면 된다. 여기서 NFC는 10cm 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다양한 무선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을 말한다. 그리고 실제 최대 유효데이터 전송률은 대략 2.4G
▲ 초고속 근거리 통신 ‘징(Zing)’ [사진=ETRI] [헬로티] 스마트폰을 단말기에 갖다 대는 것만으로 기가급 영화가 순식간에 전송되는 사물인터넷(IoT) 통신시대가 열릴 전망이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와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코프는 10cm내의 근접거리에서 기가급의 대용량 컨텐츠를 복잡한 접속 절차 없이 손쉽고 빠르게 송·수신할 수 있는 초고속 근접통신 기술인 징(Zing)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Zing은 기기를 무인 서비스 단말기(키오스크)에 갖다 대면 원하는 데이터를 바로 가져올 수 있는 10cm내 근접통신 기술로 근거리무선통신(NFC) 대비 약 8천배 빠른 3.5G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1Gbyte 영화 한 편 전송이 3초 만에 가능하다는 것이다. Zing에는 100mW의 저전력·저복잡도 기술이 적용되어 있고 직관적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어 상용화가 쉽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무료인 비면허대역 60GHz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어 광대역 통신도 가능하다. 안전한 통신영역에서 활용하기에 와이파이 등에 비해 해킹 가능성을 차단한 점도 장점이다. Zing은 사용자 주변의 스마트폰, 카메
밀리미터파 빔 스위칭, MHN, Zing 기술이 포함된 ‘미래 SNS’ 시연 ETRI는 ‘미래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서비스와 더불어 ‘밀리미터파 빔스위칭 기술’ 등 5G 핵심 요소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5G는 기존 4G에 비해 전송속도가 훨씬 빠르고 전송지연이 낮으며, 엄청나게 많은 장치들을 연결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기술이다. 이에 따라 5G에서는 기존 서비스와 차별화된 새로운 응용 서비스가 나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디지털이동통신(CDMA), 3세대(G) WCDMA,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4세대 이동통신기술인 LTE와 LTE-Advanced를 세계 최초로 개발함으로써 이동통신 강국의 역사를 새롭게 쓰고 있는 국내 연구진이 5세대 이동통신 핵심 원천 기술을 개발함에 따라, 이동통신의 역사를 또 한 번 바꿔 가고 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가 개발한 ‘미래 SNS’는 5G 기술을 적용해 보기 위한 일종의 프리(Pre) 5G 시범 서비스 모델이며 나를 중심으로 주변 사람, 사물, 공간을 동적으로 연결하는 확장된 개념의 SNS이다. 이것을 실현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