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NT로봇은 자체적으로 로봇을 만들기도 하고 수입도 하고 있다. 그중에 NT로봇에서 공급하고 있는 덴소와 야스카와 로봇을 비롯한 세계 유수의 로봇들이 발휘하는 기능과 성능을 소개함으로써 로봇 사용자들이 로봇의 가능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지난 3월 27일 열린 ‘제4차 산업혁명과 로보틱스 컨퍼런스 2019’에서 NT로봇 김경환 박사가 강연한 내용을 정리했다. ▲ NT로봇 김경환 박사는 “로봇의 기술 내재화와 빠른 사업화를 위해서는 복잡도를 줄이고 기본에 집중해서 제품을 만들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덴소는 소형로봇을 만드는 회사로, 단일 공장에서 15,000대 로봇이 연동되어서 돌아가는 세계 최고 기록을 가지고 있다. 도요타의 자회사이기 때문에 도요타의 전장 부품을 오랫동안 생산하는 과정에서 로봇 기술을 취득했다. 덴소는 또 PC 기반 제어를 일찍 시작했다. 로봇은 기본적으로 CPU 메모리 IO가 들어가는 펌웨어 방식의 프로세서를 쓰기도 하는데, 덴소는 윈도 제어가 구동하는 PC 기반 제어를 10여 년 전부터 제품에 반영했다. 야스카와는 소형 중형 대형 로봇을 다 만든다. 대형 로봇
[첨단 헬로티] ‘인간과 로봇의 공생’을 경영 이념으로 하는 NT로봇은 식사보조 로봇 ‘케어밀(CareMeal)’과 척추손상 환자를 위한 웨어러블 보행 로봇 ‘리워크(ReWalk)’를 선보였다. 케어밀은 근력이 부족하여 혼자 식사가 어려운 환자를 위한 로봇이다. ▲ 이번 전시회에서 NT로봇은 식사보조 로봇 ‘케어밀’을 선보였다. <사진 : 김동원 기자> 밥과 반찬을 집어주는 팔(그랩 암)과 입에 음식을 넣어주는 팔(스푼 암)으로 구성된 이 로봇은 조이스틱으로 식사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휴대전화에서 전용 앱을 이용해 식사 속도와 순서, 일 회 식사량도 설정할 수 있다. NT로봇 관계자는 “케어밀은 숟가락의 교환이 쉬워 개인뿐 아니라 요양 시설에서도 교대로 사용할 수 있는 로봇”이라고 설명했다. NT로봇이 케어밀과 함꼐 전시한 리워크는 환자들의 보행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이다. 척추 손상 등으로 하반신이 불편한 환자의 재활과 이동을 돕는다. ▲ NT로봇이 전시한 척추손상 환자를 위한 웨어러블 보행 로봇 ‘리워크(ReWalk)&rsq
[쳠단 헬로티] 모두 4차 산업혁명을 이야기하고 있다. 인력난에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이 더해지면서 기업의 경영여건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중국제조 2025>는 우리 제조업의 큰 위 협이 될 것이다.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킨 스마트 공장으로 변신해야 할 이유는 점점 늘어나고 있다. 정부 주도로 스마트공장 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중소중견기업에 바로 적용할 수 있을 정도로 기술이 확립되어 있지는 않다. 이미 글로벌 수준의 제조생산 경쟁력을 갖춘 대기업과 아직 3차 산업혁명 시대에 머물러 있는 중견중소기업 간의 격차는 매우 크다. 이 글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로봇기술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다. [편집자 주] 로봇기술의 새로운 트렌드 로봇기술은 로봇 팔 제품을 중심으로 작업 속도, 정밀도 등의 기본 성능을 꾸준히 개선했으며, 기술혁신과 시장 확대로 가격 경쟁력도 향상되었다. 이제는 어느 규모의 기업에서도 산업로봇을 도입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산업로봇의 새로운 트렌드가 있다면, 그림 1과 같이 조작성, 사용성, 이동성, 안전성, 지능화의 5가지로 요약할 수 있겠다. ▲ 그림 1. 로봇기술의 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