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자일링스와 삼성이 앞으로 출시될 Versal ACAP(Adaptive Compute Acceleration Platform)을 이용해 첨단 5G 솔루션 제공을 위해 협력키로 했다. 적응형 및 지능형 컴퓨팅 부문의 선두주자인 자일링스(Xilinx)는 삼성전자와 5G NR(New Radio) 상용화 구축을 위해 협력을 강화한다고 25일 밝혔다. 이 상용화 작업은 한국에서 진행되며 올해를 시작으로 이후 전 세계 다른 국가들에서도 전개될 예정이다. 자일링스는 “삼성과는 자사의 울트라스케일+(UltraScale+™) 플랫폼을 이용해 다중 5G mMIMO(Mass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및 mmWave(Millimeter Wave) 솔루션을 개발 및 구축하기 위해 협력해 왔다”고 말했다. 이어, “삼성은 앞으로 출시될 자일링스의 차세대 적응형 컴퓨팅 가속화 플랫폼(ACAP, Adaptive Compute Acceleration Platform)인 Versal®을 기반으로 최첨단 5G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자일링스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5G 설계와 배포, 이제부터 시작이다 5G는 실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어디에서 누구와 대화하든5G는 신기술에 관한 대화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이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는5G 시대가 이미 도래했다고 했지만 아직 완전히 5G시대가 시작된 것은 아니다. 다만 거의 근접해 있는 것만은 사실이다. 무선 통신 커뮤니티는 표준화 절차의 진행 상황과 규제 기관에서 전달한 기초 업데이트부터 새로 제안된 밀리미터웨이브(mmWave) 주파수용 채널에 대한 이해, 5G를 본격적으로 상용화하기 위해 개발 중인 기술 등으로 매우 바쁜 한 해를 보냈고, 5G에 대한 기대는 그 어느 때보다 높다. 이와 같은 지난해의 모든 5G 관련 성과가 뜻하는 바는 무엇일까? 그리고 5G의 시대는 언제 열리는 것일까? 5G 주파수: mmWave와 Sub-6GHz의 결합 5G와 관련하여 정의해야하는 개념은 매우 많지만, sub-6GHz 스펙트럼이 여전히 매우 중요하고 mmWave 주파수가 sub-6GHz 기술을 보완하는 데 활용될 것이라는 점은 확실하다. 그림 1은 eMBB(강화 무선 광대역)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신뢰성 높은 고대역폭 통신부터 우리가 사물 인터넷(IoT) 어플리케이션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