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M·MDM 컨설팅 역량에 주목해...“제조 라이프사이클 통합 관리 가능할 것” 다쏘시스템이 피앤피어드바이저리와 제품수명주기관리(PLM)·기준정보관리체계(MDM) 컨설팅 관련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양사는 앞으로 자동차·방산·조선·전기전자 등 제조업 분야 기술 혁신을 노린다. 다쏘시스템은 피앤피어드바이저리의 PLM·MDM 컨설팅 역량을 자사 솔루션과 융합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 기반 버추얼 트윈 제품수명관리, 모델 기반 시스템 엔지니어링, 스마트 제조, 스마트 시티 등 솔루션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양사는 그동안 연구개발(R&D), 제품 데이터 관리 등 분야에서 협력해왔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디지털 전환(DX)을 도모하는 고객사를 폭넓게 지원하게 됐다. 정운성 다쏘시스템코리아 대표이사는 “제품 개발, 검증, 생산, 마케팅 등 제조 전주기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이 중요한 시대”라며 “피앤피어드바이저리의 컨설팅 역량과 자사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결합해 제조 혁신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유영진 피앤피어드바이저리 CEO는 “자사 컨설팅 전문성을 바탕으로, 모델 기반 시스템 엔지니어링 체계를 확대하는 데 크게
모비콘트롤(MobiControl)로 MDM 시장 공략 강화 소티가 제공하는 모비컨트롤을 통해 모바일 기기 관리 비용 절감과 보다 향상된 모빌리티 업무환경 실현을 통해 단기간에 ROI를 달성한 다양한 사례를 전파함으로써 MDM 도입이 확대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계획이다. 소티코리아 안병욱 지사장과의 일문일답을 싣는다. ▲ 소티코리아(SOTI) 안병욱 지사장 Q. 국내외 MDM(Mobile Device Mamagement) 시장의 트렌드는. 모든 산업에서 모바일 기기 사용의 급속한 확산에 따라 MDM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있습니다. 기기들의 중앙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손쉬운 배포 및 관리, 사후관리 등을 위해서 MDM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본적인 모바일 기기의 원격지원과 업무 외적 기능들을 제어해 업무 집중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합니다. 산업용 단말기의 경우, 최근 들어 OS가 윈도우에서 안드로이드로 전환되는 추세입니다. 제조업체들은 안드로이드가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보안 취약점이 있기 때문에 MDM으로 해결하려는 인식이 있는 것 같습니다. 아울러 자사 제품의 밸류를 높이는 차원에서 MDM을 접근하고 있습니다. 소티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국
모비콘트롤(MobiControl)로 MDM 시장 공략 강화 소티가 제공하는 모비컨트롤을 통해 모바일 기기 관리 비용 절감과 보다 향상된 모빌리티 업무환경 실현을 통해 단기간에 ROI를 달성한 다양한 사례를 전파함으로써 MDM 도입이 확대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계획이다. 다음은 소티코리아 안병욱 지사장과의 일문일답이다. ▲ 소티코리아(SOTI) 안병욱 지사장 Q. 국내외 MDM(Mobile Device Mamagement) 시장의 전반적인 트렌드는 어떻습니까? 모든 산업에서 모바일 기기 사용의 급속한 확산에 따라 MDM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있습니다. 기기들의 중앙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손쉬운 배포 및 관리, 사후관리 등을 위해서 MDM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본적인 모바일 기기의 원격지원과 업무 외적 기능들을 제어해 업무 집중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합니다. 산업용 단말기의 경우, 최근 들어 OS가 윈도우에서 안드로이드로 전환되는 추세입니다. 제조업체들은 안드로이드가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보안 취약점이 있기 때문에 MDM으로 해결하려는 인식이 있는 것 같습니다. 아울러 자사 제품의 밸류를 높이는 차원에서 MDM을 접근하고 있습니다. 소티와 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