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LS산전이 글로벌 스마트에너지 솔루션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사명을 ‘LS ELECTRIC(LS 일렉트릭)’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변경했다. 그동안 금성계전, LG산전, LS산전을 거치며 국내 공장자동화 시장에서 한결같이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해온 LS ELECRIC은 스마트공장이 확대됨에 따라 제품 기술력 향상에 심혈을 기울이고 온라인을 통한 다양한 프로모션과 영업활동을 시도하고 있다. LS ELECTRIC의 자동화국내사업부 김병균 이사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들이 모든 공장과 가정에 보급되어 우리의 삶을 더 스마트하고, 더 빠르고, 더 좋게 바꿀 것이라며 이 기회를 두려움이나 걱정으로 바라보기 보다는 욕심과 열정을 가지고 사업 확장의 기회로 삼겠다고 말한다. LS ELECTRIC의 새 이름을 걸고 더 큰 꿈을 위해 글로벌 항해를 준비하고 있는 김병균 이사를 만나 올해 신사업과 앞으로 계획을 들어봤다. ▲ LS ELECTRIC 자동화사업본부 자동화국내사업부 김병균 이사 Q. 최근 사명이 ‘LS ELECTRIC’으로 변경되었는데요, ‘LS산전’이라는 인지도 높은 브랜드를 내려
[첨단 헬로티] LS ELECTRIC(일렉트릭)이 납품 대금 조기 지급을 통해 코로나19로 자금난을 겪고 있는 중소 협력회사와 상생협력 실천에 나선다. LS일렉트릭은 협력회사의 자금 부담 해소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약 400억 원 규모의 납품 대금을 조기 지급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 올해 1월 LS일렉트릭이 협력회사와 동반성장 다짐의 자리를 가진 모습 (사진 : LS일렉트릭) 이번에 조기 지급되는 대금은 정기지급일인 오는 4월 27일 정산분으로 이를 5일 앞당겨 22일에 지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LS일렉트릭은 협력회사가 기업 운영 자금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원자재 대금 결제나 설비 투자, 부품 개발 등을 차질 없이 이어가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S일렉트릭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을 함께 극복해 나가기 위해 협력회사와 소통을 강화하는 등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면서 "언제 끝날지 모르는 지금의 어려움 앞에서 다양한 상생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해 LS일렉트릭과 협력회사가 바람직한 동반성장의 틀 안에서 ‘윈윈’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LS일렉트릭은 평소 협력회사
[첨단 헬로티] LS산전이 LS ELECTRIC으로 사명을 바꾸며 글로벌 사업 확대를 향한 신호탄을 쐈다. 글로벌 사업 확대를 위해 지난해 말 글로벌 사업본부를 시설하는 등 파격적인 조직개편을 단행한 데 이어 사명까지 변경하며 대대적인 혁신을 예고했다. ▲ LS산전이 LS ELECTRIC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LS ELECTRIC 제공) LS산전은 24일(화) 경기도 안양 소재 LS타워에서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LS ELECTRIC’(일렉트릭)을 신 사명으로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LS ELECTRIC은 지난해 연말부터 사명 변경을 위한 사전 준비를 거쳐 24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이를 승인, 이달 중 사명 등기 후 공식화한다. 공식 상호는 엘에스일렉트릭주식회사, 상표는 국문과 영문을 통합한 CI를 적용해 ‘LS ELECTRIC’을 사용할 예정이다. LS ELECTRIC은 지난 1974년 럭키포장을 모태로 1987년 3월 금성산전으로 사명을 변경한 이후 ‘산전’이란 이름을 33년간 사용해왔다. 지난 1994년 LG산전을 거쳐 2003년 LG그룹에서 계열 분리 이후 2005년 LS산전으로 사
[첨단 헬로티] LS산전이 본사와 연구소가 위치한 안양 지역 어린이들의 꿈과 희망을 응원하는 기부를 진행했다. LS산전은 굿네이버스와 함께 저소득 초등학생에 약 2천만 원 상당의 책가방과 학용품 등을 기부하는 ‘LS산전 꿈드림 학습 키트 지원’ 사업을 진행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날 전달 된 키트는 학생들의 학업과 생활에 필요한 책가방, 보조가방, 연필세트, 필통, 등으로 구성됐으며, 굿네이버스를 통해 안양 지역 초등학생 약 150여 명 에게 전달 될 예정이다. LS산전 관계자는 “신학기 키트가 미래 세대를 이끌어 갈 아이들이 마음껏 더 큰 꿈을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올해도 임직원들이 나눔을 생활화 할 수 있도록 일상 속에서 쉽게 동참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LS산전은 지난해부터 어린이 후원을 위한 ‘Let’s Start Together with LSIS’ 캠페인을 추진하고 있다. ‘Let’s Start Together with LSIS&rsqu
[첨단 헬로티] LS산전이 세계 3대 디자인상 중 하나인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Design Award) 2020’에서 본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LS산전은 차세대 전력 솔루션 Susol Smart MCCB(수솔 스마트 배선용 차단기)와 자동화 핵심 제품 iXP2(HMI)가 2020년 iF 디자인 어워드 ‘Product-Industry/Tools’ 부문에서 본상을 수상했다고 18일 밝혔다. ▲ LS산전이 세계 3대 디자인상으로 꼽히는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본상을 수상했다. 사진은 LS산전 차세대 전력 솔루션 Susol Smart MCCB(수솔 스마트 배선용차단기 세계에서 가장 공신력 있는 디자인 공모전으로 꼽히는 iF 디자인 어워드는 독립 디자인 기관 ‘iF 인터내셔널 포럼 디자인’이 매년 우수한 디자인에 상을 주는 행사다. 독일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미국 ‘IDEA’와 함께 ‘세계 3대 디자인상’으로 불린다. 2020 iF 디자인 어워드에는 56개국에서 7천298개 후보작이 출품돼 수상을 위해 치열한 경쟁을
[첨단 헬로티] LS산전이 경기도 안산시 소재의 한양대 ERICA 캠퍼스에서 더욱 새로워진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산업체 재직자 역량 향상에 나섰다. ▲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전경 LS산전은 지난 2018년부터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직업능력 러닝센터’와 협력하여 한양대 ERICA 캠퍼스에서 다양한 자동화 제품 교육을 진행해 고 있다. 올해 개설되는 교육 프로그램으로는 PLC, HMI, 인버터, 협동로봇+PLC 연동을 위한 PLC 기본 수업 등이다. 특히 이번 재직자 역량 교육들은 고용 보험 환급 과정으로 교육비의 약 50%를 환급 받을 수 있어, 수강생 및 수강생 파견 회사의 부담을 한층 줄이게 됐다. 단, 협동로봇+PLC 연동을 위한 PLC 기본 수업은 비환급 과정이다. LS산전 관계자는 ERICA 캠퍼스에서는 기존 안양 교육센터보다 넓고 쾌적한 교육장이 마련되어 수강생들에게 보다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첨단 헬로티] 스마트공장 솔루션 기업 LS산전이 중소기업 제조 경쟁력 향상을 위한 스마트공장 구축 확대에 직접 나섰다. LS산전은 21일, 경기도 안양 LS타워에서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이하 협력재단)과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을 위한 상생협력기금 출연협약’ 체결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 LS산전 관계자가 청주 스마트공장 생산라인을 점검하고 있는 모습 이번 협약으로 LS산전은 협력재단에 상생협력기금 30억 원을 출연하고 △솔루션 공급기업 풀(Pool) 구성 △전문가 멘토링 서비스 △LS산전 스마트공장 플랫폼인 테크스퀘어(Tech Square) 기반 맞춤형 솔루션 공급을 통해 국내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과 경쟁력 강화를 돕는다. 김동현 LS산전 전무는 “LS산전은 대·중소기업의 균형 있는 성장과 혁신적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지원사업을 통해 대한민국 제조업 부흥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순철 협력재단 사무총장은 “지난해 대&mid
[첨단 헬로티] LS산전이 납품 대금 조기 지급을 통해 명절 전 어려운 자금 사정에 고심하는 중소 협력회사 지원에 나섰다. LS산전은 설 명절을 앞두고 협력회사의 자금 부담 해소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약 390억 원 규모의 납품 대금을 조기 지급하기로 결정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에 조기 지급되는 대금은 1월 28일 정산분으로 이를 6일 앞당겨 설 연휴 전인 22일에 지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LS산전은 원자재 대금 결제나 상여금 지급 등 자금 수요가 일시적으로 집중되는 명절 연휴에 즈음해 대금을 미리 지급, 중소 협력회사 운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S산전 관계자는 “이번 물품대금 조기 집행은 ‘함께 하여 더 큰 가치를’ 창출한다는 LS그룹 경영철학 LS파트너십을 실천하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상생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LS산전과 협력회사가 바람직한 동반성장의 틀 안에서 ‘윈윈’ 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첨단 헬로티] LS산전이 유럽 등 선진국 메이저 기업들이 주도해온 태국 철도 신호제어시스템 현대화 사업 수주하며 현지 누적 수주가 1천억 원을 훌쩍 넘어섰다. LS산전은 24일, 태국 철도건설분야 1위 기업 ITD社(이탈리안타이개발)과 함께 태국철도청이 발주한 총 사업비 24억 4,500만 바트(약 943억 5천만 원) 규모 ‘태국 북동선 복선 신호통신제어시스템 구축 프로젝트’ 사업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 LS산전 태국 철도신호사업 수주 현황 LS산전은 이번 사업에 ITD와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 철도 신호통신시스템 설계, 제작, 설치 등을 맡아 총 사업비 약 944억 중 510억 원을 수주 했다. 이 사업은 태국 철도 인프라 현대화 프로젝트 9단계 사업(ST9)으로 북동부 지역개발 및 화물, 여객 운송 능력 확대를 위해 ‘맙카바오(Map kabao)-타논지라(Chira Junction)’ 구간 총 연장 132km 철도를 복선화하고 20년 이상 된 노후 시스템을 전면 교체하는 프로젝트다. LS산전은 지난 2001년 태국 철도 현대화 프로젝트 1단계 사업(ST1)을 수주하며 국내 기업 최초로 현지 시장에 진출한
[첨단 헬로티] 다양한 스마트제조 기기의 상호연동 애로 해소를 위해 정부가 스마트제조 기기(장비, SW, 센서 등) 간 상호운용성을 검증하는 행사를 마련했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스마트제조 장비(센서, 제조로봇 등) 간, 소프트웨어(MES 등) 간, 또는 장비와 소프트웨어 간 데이터 형식과 통신 규격 등에 대한 해석․구현의 차이로 상호 연동되지 않는 문제를 차단하기 위함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하 표준원)은 지난 22일 안산 SMIC 데모공장에서 ‘제2회 플러그페스트(Plugfest)’를 개최했다. 국가기술표준원이 주최하고 전자부품연구원(KETI)이 주관한 이 날 행사에는 LS산전, 한화로보틱스, 한컴MDS, 지멘스, 유니버설로봇 등 국내외 15개 스마트제조 기기 제조사가 참여했다. 이 행사는 국제표준(IEC 62541)으로 제정된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설계․제조된 스마트제조 기기 간 상호연동성을 시험하고, 제조사별로 필요한 보완 사항을 진단, 컨설팅하는 행사로 지난 해 11월 첫 개최 이후 2회 째를 맞았다. 이 날 행사에 참가하는 회사들은 자사에서 이미 출시했거나 개발 중인 장비와 소프트웨어
[첨단 헬로티]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17일 서울 엘타워에서 ‘세계 표준의 날 기념식’을 개최하고 표준화를 통해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유공자‧단체에 정부포상을 수여했다. 세계 표준의 날은 3대 국제표준 제정기구가 표준화 공적을 기리기 위해 지정한 날로, 우리나라는 2000년부터 매년 기념식을 개최해 왔으며 올해로 20회째를 맞이했다. 국제표준화기구는 세계 표준의 날을 맞아 ‘비디오 표준이 창조하는 세상(Video standards create a global stage)'을 주제로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동영상 기술의 발전 및 보급은 방송, 교육, 의료 등 우리 생활의 모든 분야를 혁신시켰으며, 동영상 분야의 표준은 산업을 발전시키고 비디오 앱 및 서비스에 대한 투자를 촉진시킬 것이라는 메시지였다. 세계 표준의 날은 특별강연, 표준화 우수사례 발표, 정부포상 및 IEC 포상의 순으로 진행됐다. 특별강연은 광운대학교 심동규 교수가 ‘멀티미디어 표준기술과 비디오 압축기술의 동향과 미래’를 주제로 비디오 표준을 소개하고 동영상 시대 비디오 표준의 중요성과 역할, 미래 전략 등을 설명하는
[첨단 헬로티] 전남 진도군 서거차도가 발전원과 배전망 모두 100% 직류를 사용하는 세계 최대 직류(DC) 아일랜드로 변신했다. 최근 한국전력 전력연구원과 LS산전은 진도군과 함께 ‘서거차도 저압 직류배전망 구축 및 운영 실증사업’을 완료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 2016년 6월부터 직류 에너지 생태계 구축을 통해 서거차도 등 도서지역의 고질적인 전력난을 해소하고 세계적으로도 초기 단계에 있는 직류 배전 관련 핵심 기술 선점을 목적으로 추진됐다. 한전 전력연구원과 LS산전은 서거차도에 기존의 디젤발전기를 대신해 200kW급 태양광, 100kW급 풍력발전, 1.5MWh급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직류 전기를 생산하고 저장하는 신재생에너지 전원을 구축했다. 이와 함께 직류배전망, 에너지통합운영시스템, LED가로등, 전기카트, 직류디지털가전 등 직류 생태계를 조성해 직류를 교류 전기로 변환할 때 발생하는 전력 손실을 줄임으로써 에너지효율이 약 10% 이상 향상됐다. 직류는 일정하게 한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로 시간에 따라 전류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교류(AC)에 비해 안정적이고 효율적이다. 지금까지 직류는 변압의 어
[첨단 헬로티] 베트남 진출 1세대 전력 기업 LS산전이 차세대 전력 솔루션을 앞세워 현지 저압전력기기 시장 점유율 1위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고 동남아 전력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LS산전은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4일간 베트남 호찌민시 사이공전시컨벤션센터(SECC)에서 열리는 ‘2019 한국-베트남 스마트 전력에너지전(KOSEF 2019)’에 직류(DC)와 교류(AC)를 망라한 스마트 전력 통합 솔루션 역량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LS산전은 ‘Power Total Solution Provider in Vietnam’을 메인 콘셉트로 국내 민간기업 중 최대인 12부스 규모의 전시 공간에 △고객 맞춤형 플랫폼 △스마트 전력 솔루션 △디지털 전환 솔루션 등 3개 테마를 중심으로 현지 고객들이 직접 자사의 솔루션을 체험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한다. LS산전은 스마트 전력 솔루션 전면에 배치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DC·AC 제품 솔루션을 대거 소개한다. 지난해 LS산전과 한국전력공사가 전남 진도군 서거차도에 세계 최대 규모로 조성한 ‘직류 배전 에너지자립섬’ 레퍼런스를 비롯해 직류
[첨단 헬로티] LS산전이 새로 출시한 759kW, 1.5MW급 PCS(전력변환장치)가 국내 최초로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ESS용 PCS 인증 Edition 3.0(2019 전기에너지저장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성능 요구사항)’을 취득했다고 밝혔다.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는 지난 2017년부터 ESS 관련 기업의 시장 진입 지원과 함께 소비자의 안전과 제품 신뢰성 확보를 위해 관련 단체표준인증을 진행하고 있다. LS산전의 신제품이 취득한 인증은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ESS용 PCS 단체인증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지난 3월 ▲절연내력 ▲공간·연면거리 ▲온·습도사이클 ▲감전보호 등 시험 항목을 신설, 변경해 소비자의 안전과 제품 신뢰성 강화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LS산전은 신제품 개발 단계부터 자체적으로 강화된 기준을 적용해 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인증을 통과함으로써 다시 한번 글로벌 수준의 신뢰성과 기술력을 공식 인정받았다. 이날 인증을 획득한 750kW, 1.5MW급 PCS는 다양한 중·대용량을 선호하는 국내 태양광 연계 ESS 발전 시장을 겨냥해 개발한 모델이다. LS산전은 이번 인증 신제품과 함께
[첨단 헬로티] 연이은 화재로 얼어붙었던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장이 정부의 원인 발표 이후 훈풍이 예상되는 가운데, LS산전이 세계 최고 수준의 품질인증을 획득하고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LS산전이 최근 태양광 연계 ESS 시장 선점을 위해 개발한 750kW, 1.5MW급 PCS(전력변환장치) 신제품이 국내 최초로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ESS용 PCS 인증 Edition 3.0 (2019 전기에너지저장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성능 요구사항)’을 취득했다고 4일 밝혔다. 이 인증은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ESS용 PCS 단체인증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지난 3월 △절연내력 △공간·연면거리 △온·습도사이클 △감전보호 등 시험 항목을 신설, 변경해 소비자의 안전과 제품 신뢰성 강화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는 지난 2017년부터 ESS 관련 기업의 시장 진입 지원과 함께 소비자의 안전과 제품 신뢰성 확보를 위해 관련 단체표준인증을 진행하고 있다. LS산전은 신제품 개발 단계부터 자체적으로 강화된 기준을 적용해 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인증을 통과함으로써 다시 한 번 글로벌 수준의 신뢰성과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