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개국 상호 인정 국제공인 인증서 발급으로 국내 기업 시험인증 시 비용 및 처리기간 절감 효과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하 KTL)이 국제전기전자 적합성 평가제도(IECEE) 사무국으로부터 소비자 IoT 디바이스 사이버보안 규격인 ‘ETSI EN303 645’에 대한 국제공인 시험·인증기관으로 지정됐다. IECEE는 회원국 인증기관에서 발급한 국제공인인증서(IECEE-CB인증서)와 성적서를 추가 시험 없이 상호 인정해 국가 간 무역을 증진시키기 위한 국제적합성 평가제도이며, 전 세계 53개국이 가입했다. KTL 관계자는 “소비자 IoT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호주, 인도, 싱가포르, 베트남, 영국 등 사이버보안 관련 규제를 추진해 사이버 범죄에 대한 비용 부담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에 여러 국가가 소비자 IoT 디바이스의 사이버보안 관련 규정에 ‘ETSI EN303 645’를 인용했다. KTL의 「ETSI EN303 645」 국제공인 시험·인증기관 지정은 앞으로 국내 기업이 국내 시험인증을 진행하는 경우 비용과 처리기간을 약 30~50% 수준까지 절감할 수 있음을 뜻한다. 또한 KTL으로 ‘부적합 발생에 대한 신속한 보완’, ‘IoT 디바이스 사이버공격 취약점
인증 소요 비용·기간 대폭 아껴 국내 기업 경쟁력 강화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은 국제전기기기인증기구(IECEE)로부터 국내 최초로 자동제어장치(IEC 60730-1) 기능안전 분야 국제공인시험기관(CBTL)으로 지정됐다고 24일 밝혔다. 현재 자동제어장치 기능안전 분야 인증기관은 전 세계적으로 18개국 24개 기관이 지정돼 있으며, 한국에서는 KTL이 유일하다. 정보통신기술(ICT) 발달로 가정용 및 산업용 전기제품들에 다양한 기능과 소프트웨어(SW)가 탑재되면서 예기치 않은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자동제어장치 기능안전 분야 시험은 사용자 실수, SW 오류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제품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드럼 세탁기를 운용할 때는 부주의로 문이 열리지 않도록 자동 잠금 기능이 탑재돼 있다. 자동 잠금 기능이 특정 조건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기능안전 시험이다. 그동안 국내기업은 가정용 전기기기(세탁기, 냉장고 등) 수출에 필요한 인증 획득을 위해 해외기관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고가의 인증비용, 긴 인증획득 소요 시간, 시험 중에 발생한 오류 수정(디버깅) 어려움, 개발 기술 해외
[첨단 헬로티] 글로벌 규격인증 시험기관인 유씨에스(UCS)와 CE인증 대표 유럽기관인 SZU의 한국지사 에스지유코리아(SZU Korea)가 지난 4일, MOU를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정한모 UCS 사장과 오재영 SZU Korea 지사장이 참석했다. ▲ 유씨에스와 에스지유코리아의 업무협력 MOU 체결식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 : 유씨에스> 양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의료기기, 전자파, 기계류 등과 관련한 상호 간 기술서비스, 인증자원 및 인증시험에 대한 공유, 인적교류, 공동프로젝트 발굴 등에 서로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오재영 SZU Korea 지사장은 “글로벌 트렌드에 발 맞추어 회사의 각 국가별 시험소 설립보다 국내 굴지 시험소와의 MOU를 통한 시너지 창출이 우선”이라며 “이번 행사는 매우 뜻깊은 자리”라고 말했다. 정한모 UCS 사장은 “시험인증서비스에 대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이번 MOU가 국내 제조업체들에게 더 많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올해로 창립 20주년을 맞는 유씨에스는 KOLAS(한국인정기구)와 IECEE(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