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 카메라 제조업체 노비텍이 i-Nova3 및 i-Nova4 시리즈를 통해 ITS(지능형 교통 시스템) 및 FA(공장 자동화) 시장에서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i-Nova 시리즈는 각각 8.9MP(i-Nova3)와 5MP(i-Nova4) 해상도를 지원하며, 3-Motorized 줌 렌즈를 탑재해 줌, 포커스, 조리개를 카메라 자체에서 제어할 수 있는 줌 시리즈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이 시리즈는 글로벌 표준인 ONVIF(Open Network Video Interface Forum)와 GenICam(Generic Interface for Cameras) 프로토콜을 모두 지원하여 영상 감시와 머신비전 시스템의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 ONVIF 프로토콜은 IP 기반의 영상 감시 시스템을 위한 표준으로, NVR(Network Video Recorder) 및 VMS(Video Management System)와의 호환성을 제공하며, RTSP 기반의 실시간 영상 스트리밍도 지원한다. 반면, GenICam은 머신비전 카메라의 표준 인터페이스로 다양한 산업용 카메라 및 소프트웨어와의 호환성을 보장하고 고성능 이미지 처리 및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노비텍의 i-
씨크코리아 동탄 소재 쇼룸 ‘이노베이션 센터’ 개소 머신비전·산업안전·엔코더 등 솔루션 강조...설비 효율 최적화 기술도 전시 현장 안전부터 제조·물류까지 영역 지속 개척 의지 드러내 인더스트리 4.0(Industry 4.0), 정보통신(ICT) 기술 융합 트렌드, 디지털 전환(DX) 국면 등으로 시시각각 변화하는 산업 자동화 영역은 각 관련 기업에 더욱 다각적인 역량을 내재화할 것을 요구한다. 쉽게 말해 자동화 분야에 활용 가능한 기술의 폭을 넓히는 것이 기업 경쟁력을 제고하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되는 것이다. 이에 기업 입장에서 한 가지 분야에 특화된 ‘스페셜리스트’로 시장에서 존재감을 발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산업 자동화 성장에 기여하기 위한 레퍼런스 및 포트폴리오 확장도 주효하게 작용한다. 제조·물류 등 주요 산업에 활용되는 자동화 요소 안에는 분석 및 검출, 안전, 제어, 에너지 효율, 요소 간 연결 등을 담당하는 각 파트가 존재한다. 이러한 요소에 활용되는 다양한 솔루션을 갖추는 것이 기업의 성장 모멘텀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독일에 컨트롤타워를 둔 산업 자동화 솔루션 업체 씨크(SICK)의 한국 지사인 씨크코리아가 지난달 경기도 화성시 동탄 소
NIT(New Imaging Technologies)가 SenS 1280 HD SWIR 카메라 라인에 스마트 버전을 추가했다고 발표했다. NSC1901TY-SI 센서가 장착된 이 카메라는 다양한 머신비전 및 감시 애플리케이션용으로 설계되었다. 온보드 NUC(불균일성 보정) 및 BPR(불량 픽셀 교체) 기능, 자동 게인 제어 및 자동 통합 시간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GenIcam과 호환된다. 동적 범위는 61dB이고 판독 노이즈는 30e-이다. 해상도는 10μm 픽셀 피치, 0.9~1.7μm의 스펙트럼 응답 및 10μs~500ms의 노출 시간을 가진 1280 x 1024 픽셀이다. QE(Quantum Efficiency)는 풀 프레임에서 80% 이상의 프레임 속도와 60Hz로 평가된다. Camera Link 및 SDI 인터페이스가 있다. 무게는 400g이고 설치 면적은 58 x 58 70mm이며 -40°C ~ +71°C의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첨단 헬로티] IVSM, GenICam 카메라 표준 추가로 개발할 계획 소프트웨어 레벨을 위한 새로운 임베디드 비전 표준을 구현할 때, IVSM위원회는 XML 기반의 설명에 특히 중점을 두고 있다. XML은 GenICam GenAPI 표준에서 널리 사용되며 카메라 설명에 대한 의미 및 해석을 정의한다. GenCam에는 최초로 3D 라인 스캔 카메라 설명에 사용된 처리 모듈도 잘 알려져 있다. 임베디드 이미지 프로세싱 디바이스는 최근까지 CPU나 GPU, FPGA 및 SoC(System on Chip)와 같은 이기종 프로세싱 유닛에 인터페이스 된 카메라 또는 비전 센서로 구성되었으며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싱 모듈의 조합이다. IVSM(국제 비전 표준 회의) 표준화기구의 초점은 반기별 세션 동안 이러한 다양한 요소의 소프트웨어 측 조정과 점진적 솔루션 이동을 진행하는 것이다. 패널은 이미지 처리 장치 내에서 표준화된 데이터 교환을 달성하기 위해 장치의 신속한 구현 및 비용 효율적인 작동을 보장하는 GenICam 카메라 표준을 추가로 개발할 계획이다. 브뤼셀에서 열린 2016년 10월 회의에서 IVSM위원회는 하위 구성 요소 소프트웨어를 연결하는 두 가지 가장 중
디지털 소프트웨어 표준 소개 각 머신비전 관련 협회는 글로벌 비전 및 이미징 산업의 성장을 활발히 하도록 한다. 표준 개발은 산업의 핵심 성공 요인이고, 각 협회는 표준을 위한 기금 모금, 유지 관리, 홍보 등을 돕고 있다. 2009년 3대 비전 관련 선도 협회인미국영상협회(AIA), 유럽머신비전협회(EMVA), 일본산업영상협회(JIIA)는 전세계적으로 적용된 비전 표준의 개발을 조정하는 협력 사업을 시작했다. 이 출판물은 협력의 결과물 중 하나다. 소프트웨어 표준은 머신비전 시스템 구성 요소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는 하드웨어 표준만큼 중요하다. 소프트웨어 측의 인터페이스는 전송 계층(TL: transport layer)과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software development kit)의 일부로 제공되는 라이브러리로 구성된다. SDK는 독립 제품일 수 있고, 프레임 그래버 또는 이미지 프로세싱 라이브러리의 일부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전송 계층은 표준화되거나 고유한 전송 계층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고, 카메라와 호스트 사이의 데이터 이동만 다룬다. 낮은 수준의 카메라 레지스터에 대응하고 기능을 표준화하는 것이 SDK 라이브러리의 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