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에스씨(MSC)가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KICEF 2025)에 참가해 전자파 차폐용 EMI·EMC 제품군을 선보였다.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 ‘KICEF 2025’가 10일부터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회는 ‘산업단지 기반의 수출 확대와 기술 혁신’이라는 취지를 살려 자동화·정밀·계측제어기계, Robot·자동화 시스템, 산업용 IT 설비, 반도체·전자 부품, 화학·바이오 소재, 건축자재 및 일반 생활용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국내외 중견기업 및 스타트업이 참여해 최신 기술과 솔루션을 선보였다. 엠에스씨는 이번 박람회에서 EMI·EMC 제품군과 주요 특성을 소개했다. 전도성 직물(Conductive Fabric)은 높은 전도성을 바탕으로 우수한 차폐 효과를 지니며, 유연성과 가공성이 뛰어나다. 전도성 테이프(Conductive Tape)는 전도성 섬유와 접착제로 제작돼 소형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을 만큼 안정적인 전도성을 제공한다. 실드 폼 가스켓(Shield Foam Gasket)은 폴리우레탄과 전도성 섬유로 구성돼 전자파 흡수 효과가 크고, 부품과의 접촉 안정성을 높인다. 전도성
EMI는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반도체 및 제조업체를 위한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전력 관리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EMI가 선보일 주요 솔루션은 Power Distribution Module로, 공간과 작업 최적화에 초점을 맞춰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Power Distribution Module은 Flexible Busbar 기술을 통해 파워 케이블의 곡률로 인한 공간 낭비를 최소화하고, 적은 공간에서도 다양한 기능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MCBS 기술은 배선량을 줄여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적인 생산 환경을 지원한다. EMI의 솔루션은 효율적인 생산 공정과 원가 절감을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고객 맞춤형 프로젝트에 적용되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Control Box와 분전반이 있으며, UL508A 및 세미 S2 인증을 바탕으로 메인 파워박스, 전기 제어 박스, 배전반을 설계·제조·배송한다. 특히 품질 결함 최소화를 위해 AVIS 방식, 온도 상승 테스트, i-Marking 테스트 등을 활용하며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이하 TI)는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개최되는 응용전력전자 전시회인 APEC(Applied Power Electronics Conference)에서 전원 관리와 관련해 복잡한 설계 과제를 해결하는 전원 솔루션을 소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3월 20일부터 24일까지 개최되는 APEC 전시회에서 TI는 전원관리 포트폴리오에 추가된 최신 기능을 소개하면서 전력 밀도는 향상시키고 EMI와 잡음, 정동작 전류(IQ)는 낮추고 신뢰성을 높이는 방법에 관해 시연할 예정이다. 더불어, TI의 전원 전문가들이 16개의 산업 및 기술 세션을 리드하면서 관련 주제에 대한 발표도 진행한다. 마크 게리(Mark Gary) TI 아날로그 전원 제품 분야의 선임 부사장은 “TI는 지난 수십 년에 걸쳐서 전원 관련 디자이너가 더 높은 전력 밀도 달성, 배터리 수명 연장, EMI 축소, 전력 및 신호 무결성 유지와 함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지원하는 새로운 프로세스와 패키징, 회로 설계 기술을 개발해왔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차세대 전원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TI의 노력은 기술 혁신을 거듭함으로써, 차량용 파워트레인과 차체 전장 제품에서부터 전기차 충전,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조용환(Yonghwan Cho) 선임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 키스 솔루샤(Keith Szolusha) 애플리케이션 디렉터 / 아나로그디바이스 자동차 애플리케이션 회로는 방송 및 모바일 서비스 주파수 대역과 간섭을 피하기 위해 엄격한 EMI 표준을 만족해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사일런트 스위처 및 사일런트 스위처 2 솔루션은 이러한 EMI 표준을 만족하는 성능에서 상당한 차이를 만든다. 그렇다 하더라도 신중한 레이아웃은 언제나 필수다. 이 글에서는 특히 4-스위치 벅-부스트 컨트롤러를 위한 두 가지 가능한 솔루션을 살펴보고, EMI 챔버 결과를 비교해 보기로 한다. 4-스위치 벅-부스트는 벅 컨트롤러와 부스트 컨트롤러를 단일 IC에 결합한 것으로, 출력이 입력보다 낮을 때는 벅으로 동작하고 출력이 입력보다 높으면 부스트로 동작한다. 출력과 입력이 유사한 영역에서는 4개의 모든 스위치가 동작한다. 아나로그디바이스(이하 ADI)의 전력 제품 연구팀은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에 있는 사내 EMI 챔버를 사용해 원래의 듀얼 핫 루프 동기식 레이아웃의 효과를 알아보고, EMI 표준을 통과하기 위해 EMI 잡음을 억제하기 위한 대체 레이아웃 사용이
[헬로티] VideoRay는 바이코의 솔루션을 사용한 수중 ROV로 고밀도 전력 공급을 통해 다양한 페이로드 및 정교한 조종을 실현했다고 밝혔다. ▲출처 : 바이코 원격조종 수중로봇(ROV)는 지속해서 필요한 수중 검사와 수색에서 안전 보장, 구조 작업 지원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비디오가 장착된 ROV는 장시간 동안 접근하기 어려운 심해 영역에 머물 수 있다. ROV가 효과적으로 작동하려면, 임무별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페이로드 공간을 확보할 때 해류의 변화를 견디는데 필요한 추력을 내야 하며, 주변 환경에 안정적인 시야를 제공하는 고밀도의 전력 분배 네트워크(PDN)가 필요하다. VideoRay 계류식 수중 ROV는 호스트 플랫폼 또는 선박에서 전력을 공급받으며, 최대 305m(부유 모드 시 2000m)의 깊이에서 연중무휴 하루 24시간 작동한다. 또한, 최대 8시간 동안 수중 작업 가동을 유지할 수 있다. VideoRay는 단일 지능망에 있는 교체식, 모듈형 부품 ROV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는 임무에 따라 손쉽게 조정하는 유연한 주문 제작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페이로드 및 임무별 프로토콜을 위한 확장 ROV는 깊은 수심에서 높은
[헬로티] 기존 대비 1/5 작아진 크기, 업계 유일 1㎓ 절연 프로브, 동급 최고 커먼코드 제거비(CMRR) 달성으로 전원 시스템 설계 혁신 가속화 텍트로닉스가 IsoVu 절연 프로브 2세대인 TIVP 시리즈를 출시한다고 3일 밝혔다. 이 제품은 2016년 시장에 첫 출시된 이래 폼팩터 및 기능이 대폭 개선된 제품이다. 새로워진 2세대 IsoVu 프로브는 1세대의 1/5 사이즈로 작아진 크기는 물론 더 편리해진 사용법, 전기적 퍼포먼스 향상으로 절연 프로브 기술이 요구되는 전원 시스템 설계 시장에서 적극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접지되지 않은 고속 시스템에서 기존 디퍼런셜 프로브를 사용해 정확한 측정값을 얻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SiC 및 GaN 같은 와이드밴드갭을 설계하는 엔지니어는 더 높은 주파수와 스위칭 속도로 인해 장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특성화하기가 까다로워졌다. IsoVu 프로브는 오실로스코프와 갈바닉 방식으로 절연돼 전력 연구자와 설계자가 와이드 밴드갭 전력을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수치 스리니바산(Suchi Srinivasan) 텍트로닉스 메인스트림 솔루션 부문 총괄 이사는 “IsoVu 프로브가 처음
[첨단 헬로티]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는 자사 고유의 트랜스포머 통합 기술을 적용해 전자파 간섭(EMI) 이 500mW 고효율 절연형 DC/DC 컨버터인 UCC12050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 제품은 높이가 2.65mm에 불과해 솔루션 부피는 디스크리트 솔루션 대비 80%, 전원 모듈 대비 60%까지 줄어든 반면에, 효율은 경쟁 제품에 비해 두 배에 달한다. 산업용으로 설계된 UCC12050은 5kVrms의 강화 절연과 1.2kVrms의 작업 전압으로 산업 운송, 전력망 인프라, 의료 장비 같은 시스템을 고전압 스파이크로부터 보호한다. UCC12050 제품은 TI의 혁신적인 트랜스포머 통합 기술을 적용해 EMI는 낮추면서도 고밀도 절연형 DC/DC 전원 변환이 가능하다. 단일 패키지의 표면실장 아키텍처는 사용하기 편리한 로우-프로파일 IC를 제공하며 BOM(Bill Of Material)을 줄이고 폭넓은 온도 대역에서 효율적으로 작동한다. 커패시턴스(정전용량) 가 낮은 EMI 최적화 트랜스포머와 잡음이 적은 제어 기법으로 EMI 적합성을 수월하게 달성하는 동시에 강화 절연 또는 기본 절연 옵션을 지원하는 신뢰성 높은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첨단 헬로티] MAX25610A/B, MOSFET 내장으로 90% 효율과 CISPR25 EMI 준수 아날로그 혼합 신호 반도체 기업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MAX25610A', 'MAX25610B' LED 드라이버를 17일 출시했다. 이로써 고성능 차량 조명 애플리케이션 설계자들은 MAX25610A/B로 고휘도LED(HBLED)를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됐다. 맥심은 벅(buck), 벅 부스트(buck-boost), 부스트 모드로 원활하게 전환되는 60V 동기형 고전압 4 스위치인 벅 부스트 LED 컨트롤러 'MAX25600'도 선보였다. 이 IC는 차량· 상업·산업용 고전력 조명 애플리케이션에서 LED 부하 변경에 이상적인 제품이다. ▲MAX25610A/B 맥심은 동기형 벅, 벅 부스트 LED 드라이버/DC-DC 컨버터 MAX25610A/B가 효율과 크기에 영향 없이 최적의 EMI(전자파 간섭) 성능을 갖춘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차량 배터리 전원으로 최대 8개 HBLED를 구동하고 여러 외부 소자를 통합함으로써 전체 구성 비용과 공간을 절감해 차량용 조명 시스템은 물론 산업 및 상업용 조명 애플리케
[첨단 헬로티] 스마트 팩토리의 핵심은 EMI(전사적 제조 지능)를 어떻게 구현하느냐에 따라 고도화의 성패가 좌우된다. 즉, EMI란 실시간 정보 확인을 통해 빠른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것으로, 어떤 일이 있었는지, 왜 이 현상이 발생했는지, 앞으로 어떤 일이 발생할지, 그리고 지금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하는지를 시스템이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 예측, 처방 및 이행하는 형태로 진화해 가고 있다. 스마트제조 진화와 최신 플랫폼 동향에 대해 지난 9월 20일 열린 ‘스마트제조 지능화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18’에서 로크웰오토메이션 코리아 권오혁 부장이 강연한 내용을 정리했다. [편집자 주] ▲ 로크웰오토메이션 코리아 권오혁 부장 지금까지 많은 공장은 데이터가 아래에서부터 위로 취합되어 올라가고 현장의 엔지니어나 운영자보다는 경영자에게 모든 정보가 집중되고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계층적 구조였다. 그러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하게 되면 누구나 정보를 가져다 쓸 수 있고 의사결정도 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데이터 정보가 공유되어야 하고 정보들이 실시간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그리고 정보를 원활하게 주고받을 수 있도록 보안을 기반으
PCB 설계에서 전자기 간섭을 줄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연산 증폭기를 지능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안타깝게도 연산 증폭기는 대부분 애플리케이션에서 EMI를 줄일 수 있는 도구로 여기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글에서는 EMI의 소스들을 검토하고 섬세한 PCB 설계에서 근거리 EMI를 완화시켜주는 연산 증폭기의 특징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자동차, 산업 및 의료용, 그리고 많은 애플리케이션들은 섬세한 아날로그 회로를 사용하고 있다. 이들은 근거리 환경에서 잡음 교란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제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교란의 대부분은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위치한 주변의 ‘시끄러운’ 회로에서 발생하는데, 이 PCB와 회로의 잡음을 커플링하는 케이블 인터페이스가 다른 간섭들도 발견할 수 있다. EMI 소스, 피해 회로 및 커플링 메커니즘 PCB 설계에서 전자기 간섭(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을 줄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연산 증폭기를 지능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안타깝게도 연산 증폭기는 대부분 애플리케이션에서 EMI를 줄일 수 있는 도구로 여기지 않
[헬로티] PCB 설계에서 전자기 간섭을 줄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연산 증폭기를 지능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안타깝게도 연산 증폭기는 대부분 애플리케이션에서 EMI를 줄일 수 있는 도구로 여기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글에서는 EMI의 소스들을 검토하고 섬세한 PCB 설계에서 근거리 EMI를 완화시켜주는 연산 증폭기의 특징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PCB 설계에서 전자기 간섭(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을 줄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연산 증폭기를 지능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안타깝게도 연산 증폭기는 대부분 애플리케이션에서 EMI를 줄일 수 있는 도구로 여기지 않는 경우가 많다. 연산 증폭기는 EMI에 취약하고 잡음 내성을 강화하기 위해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는 인식 때문인 듯하다. EMI는 RFI(radio frequency interference)에 국한되지 않는다. ‘낮은’ 주파수 범위의 무선 대역 아래에는 강력한 EMI 소스들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소스들이 바로 수십에서 수백 킬로헤르츠(kHz) 범위에서 작동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 LED 회로 및 모터 드라이버들이다.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