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AI 대응 전략 워크숍, 17일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아트홀서 개최 챗지피티(ChatGPT)로부터 시작된 인공지능 발전 가속화 현상은 인공지능과 관련된 다양한 윤리적 문제를 수면 위로 떠올렸다. 생성형 AI가 여러 혐오, 차별적 표현이 담긴 문장을 생성하거나 부정확한 정보를 양산할 수 있다는 문제뿐 아니라 저작권, 보안, 사회 양극화 가속화 등 다양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면서, 인공지능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규제가 논의되고 있다. 지난 6월 유럽연합 의회에서 인공지능법(AI Act)이 첫 통과되면서 향후 전 세계 인공지능 개발에 큰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EU AI 대응 전략 워크숍이 17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아트홀에서 열린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산업AI국제인증포럼,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산업지능화협회가 주관하는 이번 워크숍은 인공지능과 관련된 규제에 대한 최신 정보와 동향을 제공하고 국내 기업이 산업AI국제인증포럼을 통해 해외 규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산업AI국제인증포럼은 행사 추진 목적으로 “AI Act 및 국제 표준 기반의 AIA프로세스 심사 및 인증을 제공해 국내 기업의 기술 발전과 경쟁
[첨단 헬로티] 작년 3분기까지 북미지역 머신비전 시스템과 부품 매출은 20억7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6% 감소했다. 북미영상협회(AIA)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스마트카메라와 애플리케이션 전용 머신비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머신비전 시스템 매출액은 전년보다 2% 감소한 5억9990만 달러를 기록했다. 카메라, 조명, 광학, 이미징 보드, 소프트웨어 등 머신비전 부품도 4%하락한 9억210만 달러를 기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년 10월 중순에 실시된 AIA 조사 결과 응답자의 53%가 향후 6개월 동안 머신비전 부품 시장규모가 증가할 것으로 답한 반면, 38%는 판매가 부진할 것으로 보고 있다. 머신비전 시스템의 경우 70%는 크게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으나, 24%는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협회 관계자는 "전반적인 시장 성능에도 불구하고 비전 및 영상 기술은 다양한 자동화 솔루션의 핵심 요소로서 업계의 필수 요소로 남아 있다"며 "자율 자동차, 인공지능, 자율형 모바일 로봇과 같은 세계적인 트렌드는 강력한 비전과 영상 시스템에 달려 있어 이 산업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첨단 헬로티] 미국영상협회(AIA), 임베디드 비전 및 딥러닝 확장에 주목해야 2019년도 머신비전을 한 마디로 정의한다면 ‘천천히 그리고 꾸준하게 레이스에서 승리한다’로 요약해볼 수 있겠다. 경제적 불확실성은 산업에 영항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 피해 정도는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딥러닝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임베디드와 같은 하드웨어 플랫폼이 번성할 것으로 예상되며, 공장과 같은 현장에서의 전통저인 애플리케이션은 여전히 강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영상협회(AIA)는 2019년 머신비전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4가지 트렌드를 발표했다. 임베디드 비전, 폭발적 성장 2019년에도 임베디드 비전은 자율주행, 생명과학, 가전, 국경감시, 유통, 농업 등 다양한 시장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계속 확산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처리 능력은 엄청나게 증가했으며, 메모리는 매우 저렴해졌다. 사용자는 매우 작은 카메라를 선택하고 다양한 소스의 클라우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이 머신러닝과 결합될 때 비전은 단일 패키지로 구현된다“고 말했다. 고객들은 전체 임베디드 비전 시스템을
디지털 소프트웨어 표준 소개 각 머신비전 관련 협회는 글로벌 비전 및 이미징 산업의 성장을 활발히 하도록 한다. 표준 개발은 산업의 핵심 성공 요인이고, 각 협회는 표준을 위한 기금 모금, 유지 관리, 홍보 등을 돕고 있다. 2009년 3대 비전 관련 선도 협회인미국영상협회(AIA), 유럽머신비전협회(EMVA), 일본산업영상협회(JIIA)는 전세계적으로 적용된 비전 표준의 개발을 조정하는 협력 사업을 시작했다. 이 출판물은 협력의 결과물 중 하나다. 소프트웨어 표준은 머신비전 시스템 구성 요소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는 하드웨어 표준만큼 중요하다. 소프트웨어 측의 인터페이스는 전송 계층(TL: transport layer)과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software development kit)의 일부로 제공되는 라이브러리로 구성된다. SDK는 독립 제품일 수 있고, 프레임 그래버 또는 이미지 프로세싱 라이브러리의 일부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전송 계층은 표준화되거나 고유한 전송 계층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고, 카메라와 호스트 사이의 데이터 이동만 다룬다. 낮은 수준의 카메라 레지스터에 대응하고 기능을 표준화하는 것이 SDK 라이브러리의 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