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제우스가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 ‘커피에 반하다’의 무인 시스템 에피소드 마르코(EPISODE MARCO)에 자사 ‘6축 다관절 로봇(ZERO)’이 탑재된다고 3일 밝혔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비대면 소비의 수요 증가와 인건비 상승으로 다관절 로봇으로 운영하는 무인 카페가 확산되는 추세다. 무인 매장은 매장 관리의 편의성과 운영 시간이 확대되는 장점이 뚜렷해 증가 추세가 장기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커피에반하다의 24시 무인 카페 시스템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키오스크로 고객이 간편 결제를 완료하면 로봇 바리스타가 주문한 메뉴를 제공한다. 이번에 도입되는 제우스 다관절 로봇은 균일한 맛의 커피와 음료를 대기 시간 없이 빠르게 제조할 수 있다. 제우스 6축 다관절 로봇 ZERO는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제조산업 현장뿐만 아니라 식품·음료와 같은 B2C 산업 현장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제로는 바리스타 기능을 비롯해 피자·치킨 조리 등 다양한 전문 기술을 수행하는 데 적합하다. 특히 선회 동작 특허기술인 ‘패스스루(Pass-Through)’를 적용해 30% 이상 공간 절약 효과가 있으며, 자판기 형태의 탑재도 할 수 있다. 한편 로봇
이송현 에디터, 마이로봇 솔루션 ‘작업반경(Reach)’은 로봇의 스펙을 검토할 때 봐야 하는 아주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사람보다 훨씬 더 거대한 로봇들은 보통 한 장소에 설치하고 작업물(단계)에 닿을 수 있는 범위인 ‘작업 반경’ 내에서만 작업이 가능한데, 로봇의 레이아웃을 검토할 때 이 작업 반경이 안 나와서 까다로운 경우가 정말 많다. 뿐만 아니라 부족한 작업 반경 때문에 불필요하게 가반하중이 큰 장비를 도입해야 할 때도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리니어 트랙(또는 겐트리)’이다. 이 리니어 트랙을 적용해 넓은 작업 반경을 이동하며, 여러 대의 가공 장비들을 훌륭하게 대응하는 로봇들을 비교해 보겠다. 현대로봇을 활용한 위아 터닝센터 유압 피팅 가공 보조 먼저, 영창로보테크에서 진행한 이 적용 사례는 HH7로봇을 위아 공작기계(KIT450) 상단 리니어 트랙에 장착하여 유압 피팅을 가공하는 공정이다. 좁은 공간은 아니지만 할당된 공간을 더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공작기계 상단에 리니어 트랙과 함께 로봇을 설치한 모습인데, 이로 인해 연속적인 공정을 일괄적으로 자동화하여 생산 효율을 매우 높였다. 뿐만 아니라 공작기계
[첨단 헬로티] SIMTOS 2018에 참가한 두산로보틱스는 6축 다관절 로봇을 출품 및 시연함으로써 관람객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두산로보틱스의 6축 다관절 로봇은 우수한 힘 감지력과 충돌 민감도를 갖추고 있으며, 토크 센서가 탑재되어 안전성이 뛰어나다. 또한 힘 제어를 통해 다양한 정밀 작업이 가능하며, 다양한 가반 중량과 작업 반경으로 고객 니즈에 따른 최적의 협동 로봇 자동화 솔루션 제공이 가능하다. 6축 다관절 로봇 중 M0609 모델은 가반 중량 6kg, 작업 반경 0.9m의 로봇으로 좁은 공간에서 빠른 반복 작업을 실행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다. M1509 모델의 경우, 가반 중량 15kg, 작업 반경 0.9m의 로봇으로 사람에게 부담이 되는 중량물 작업에 효과적이다. 그리고 M1013 모델은 가반 중량 10kg, 작업 반경 1.3m 로봇으로 모든 작업 공정에 적합한 기본 모델이다. M0617 모델의 경우에는 가반 중량 6kg, 작업 반경 1.7m의 로봇으로 2개 이상의 작업 공정에 대응하거나 원거리 작업 시 최고의 효율을 발휘한다.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주최로 4월 3일부터 7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SIMTOS 2018에서는 절삭기계,
[첨단 헬로티] “좋은 모터 만들기 54년, 그 기술 기반으로 로봇도 잘 만드는 기업이 되겠다.” 하이젠모터 김재학 대표이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역점사업으로 지능형 모터 못지않게 로봇 개발을 강조했다. 3상유도 전동기와 서보드라이브, 서보모터를 동시 생산하며 모터의 국산화에 앞장서온 하이젠모터는 국내 최초 EtherCAT 인증 취득과 자동화 설비 제어 기술 개발에 이어, 지금은 사출기용 델타로봇, 6축 다관절 로봇 등을 생산하고 있다. 서보 시장과 마찬가지로 로봇 시장 역시 글로벌 플레이어들의 각축장이 되어버린 국내 시장에서 하이젠모터가 도전장을 내민 것이다. 글로벌 강자를 꿈꾸며 산업용 모터 분야 외길을 걸어온 김재학 대표를 만나, 그의 계획을 들어봤다. Q. 모터 분야 국내 제조 기술력을 평가한다면. 우리나라 산업용 모터 제조 기술력은 선진국과 비교하면 매우 열악하다고 생각한다. 국제 경쟁력은 떨어지고 국내의 수요는 한정되어 있어 설비투자가 어렵고 수요의 유지 정도 수준이다. 따라서 이제는 변신이 필요할 때라고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반 모터에서 드라이버 세트로의 고부가가치 영역으로 확대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이젠모터는 이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