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 본 기사는 3월 27일 진행한 ‘4차 산업혁명과 로보틱스 컨퍼런스’에서 ABB코리아 로봇사업부 이상호 그룹장이 발표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5G 모바일 네트워크가 상용화 되었다. SK텔레콤, KT, LGU+ 등의 통신망 사업자들은 광고에서 자율주행차, 로봇, VR/AR 등이 구현되는 모습을 보여줬다. 5G는 단순히 속도 빠른 네트워크가 아니라 스마트시티, 스마트팩토리 등 산업 전반을 고도화시킬 수 있는 IoT 네트워크다. ▲ABB코리아 로봇사업부 이상호 그룹장 산업 현장에서 왜 5G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을까? ABB는 ‘어빌리티 디지털 플랫폼’을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 플랫폼은 ABB에서 생산하는 모든 디바이스를 연결해 분석하고 모니터링 해주는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이다. 이 플랫폼은 ABB의 로봇, 모터, 변압기, 인버터 등에서 발생하는 정보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올린다. 과거에는 많은 기업들이 엣지 컴퓨팅을 거치지 않고 와이어리스 또는 내부 네트워크 망을 통해 클라우드에 거의 모든 데이터를 업로드 하였다. 하지만 기밀 정보 누출과 같은 데이터 보안 문제로 이러한 방식을 꺼려했다. 그 대안으
[5G 통신 기술] 5G 모바일 시대의 킬러 서비스 포트폴리오 1 -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흐름 [5G 통신 기술] 5G 모바일 시대의 킬러 서비스 포트폴리오 2 - 5G 무선 기술이란? [5G 통신 기술] 5G 모바일 시대의 킬러 서비스 포트폴리오 3 - 5G 모바일 메신저 포트폴리오 5G 모바일 메신저 포트폴리오 LTE 시대가 되면서 MIM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성장한 MIM은 5G 시대에 다양한 콘텐츠 플랫폼들을 연결할 것으로 기대된다. MIM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하나이다. 그런데 기존의 SNS 서비스 포트폴리오가 하나의 플랫폼에서 다양한 콘텐츠 장르를 제공하도록 했다면, MIM 중심의 새로운 서비스 포트폴리오는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들을 이어주는 촉매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그림 5 참조). 그림 5. SNS 서비스 포트폴리오 - 기존 모델 vs. 신규 모델 소셜네트워크를 통해 게임, 만화, 동영상,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례로는 페이스북, 다음카카오가 대표적이다. 다음카카오는 최근 GPS로 사용자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콜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카오 택시를 개시했다. 이러한 서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