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가 5G NR V2X(차량-사물 간 통신) 기술을 이용한 사이드링크 상호운용성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이번 테스트는 에티포스의 SIRIUS 5G-V2X 사이드링크 플랫폼과 오토톡스의 SECTON3 5G-V2X 칩셋 간의 협력으로 이루어졌으며, 3GPP(3세대 이동통신 표준화 협력 기구) 릴리즈 16 기준을 준수한 것이 특징이다. 이번 상호운용성 테스트는 커넥티드 카와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된다. 5G NR V2X 기술은 차량이 네트워크와 독립적으로 도로 시스템 및 주변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하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기반으로 하며, 차량 간 통신에서 향상된 데이터 처리 능력, 짧은 지연 시간, 안정성을 제공한다. 에티포스의 이강민 최고운영책임자는 “이번 벤더 간 적합성 테스트는 5G-V2X 발전의 핵심적인 순간”이라며, “세계 최초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가능한 5G-V2X 온보드 유닛이 도로 안전 및 편의성을 위한 안정적이고 간섭 없는 통신을 제공함으로써 글로벌 대량 배포를 향한 첫 걸음을 내디뎠다”고 밝혔다. 또한 오토톡스의 연구 개발 담당 부사장 아모스 프라운드는 “이번 성공적인 테스트는 오토톡스
KT가 6G 이동통신 분야 연구 개발과 기술 표준화를 추진하기 위해 LG전자와 협력에 나선다고 13일 밝혔다. 양 사는 앞으로 ▲차세대 전송 기술인 전이중(Full Duplex) 통신 기술 개발 ▲글로벌 표준화 협력 ▲차별화된 6G 응용 서비스 발굴 등 6G 이동통신 기술 주도권을 선점하고 글로벌 6G 표준화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전이중 통신 기술은 업링크와 다운링크 데이터를 시간 혹은 주파수 영역에서 분할해 송수신하던 기존의 방식과 달리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시에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이다. 주파수 효율을 최대 2배까지 높일 수 있어 차세대 전송 기술로 손꼽힌다. 양 사는 6G 후보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광대역 전이중 통신 기술을 개발하고, 전이중 통신 송수신 장치를 설계 및 제작해 실제 성능 검증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또 협업 결과를 포함해 전반적인 6G 기술의 공동 연구 및 개발과 표준화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십을 함께 강화해 나간다. 현재 세계적으로 ‘ITU(국제전기통신연합)’와 ‘3GPP(이동통신 표준화 국제 협력기구)’와 같은 표준화 단체를 통해 새로운 6G 서비스 발굴과 이를 위한 성능 지표 수립 등이
TTA, 3GPP 최상위 정책 결정 기구에서 리더십 발휘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는 미국 레스턴에서 열린 제52차 3GPP PCG(정책 조정위원회) 및 제51차 OP(운영기관) 국제회의에서 3GPP의 6G 로고가 확정됐다고 발표했다. 3GPP는 2008년 LTE 규격 개발 이후 기술의 진화마다 새로운 로고를 도입해왔으며, 지난해 12월 6G 표준화를 위한 공동선언문을 발표한 바 있다. 이어 2024년 3월에는 6G 표준화 일정이 수립됐으며, 이번 회의에서 새로운 6G 로고를 선보이며 준비 작업을 마쳤다. 이번 회의에서 TTA의 김대중 본부장은 3GPP PCG 부의장으로 활동하며 정책 및 규정 논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삼성전자와 LG전자를 포함한 31개 국내 회원사의 이익을 대변했다. 특히 김 본부장은 2026년 10월에 개최될 예정인 RAN(무선접속망) 작업반 국제회의 유치를 포함해 매년 3GPP 주요 국제회의를 국내에서 개최할 수 있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는 국내 전문가들이 3GPP 의장단으로 진출하는 데 유리한 환경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TTA 손승현 회장은 “3GPP의 6G 로고 공개로 6G 표준화를 위한 모든 준비가 완료됐으며
트렌드마이크로, '프라이빗 5G 네트워크 보안' 신규 조사 결과 발표 트렌드마이크로가 프라이빗 5G 네트워크 보안에 관한 새로운 조사 결과를 2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기업들은 5G 기술의 보안 수준이 기본적으로 높다고 여기면서도 IT 예산의 5~10%를 프라이빗 5G 네트워크 보안에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렉 영 트렌드마이크로 사이버 보안 부문 부사장은 "프라이빗 5G 네트워크 기술에 '기본적 보안'이라는 것은 없다.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보안을 추가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라며 "앞으로 중요한 것은 가장 중대한 보안 격차가 어디서 발생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환경에서 공동 책임 모델이 어떠한 양상일 것인지에 대해 새로운 사용자들에게 교육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기업의 72%는 프라이빗 5G 보안에 대한 3GPP 접근 방식이 충분하다고 여기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보안을 염두에 두고 구축되었으며, 프라이빗이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퍼블릭 5G보다 안전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것이 모든 공격으로부터 안전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대부분의 기업들 역시 IT 예산 중 100만~500만 달러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는 3GPP 산하 무선접속망 5개 작업반 국제회의를 5월 22일부터 26일까지 5일간 인천 파라다이스 시티와 그랜드하얏트 인천 호텔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3GPP 작업반은 세부 기술 규격안을 개발하는 중요한 회의로, 팬데믹 이후 작년 하반기부터 일부 대면회의가 개최됐으나, 이번이 유럽 외 지역에서 개최되는 첫 번째 대면 회의로 의미가 있다. 회의에는 글로벌 제조사와 국내외 이동통신 사업자·연구소 등 1,300명 이상의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5G 진화 규격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3GPP는 5G 상용화를 위한 핵심 기술인 1차 표준(Release 15, ’18.6월), 他산업 융합서비스 지원을 위한 2차 표준(Release 16, ’20.7월), 융합 서비스 기능 강화 및 확장 기술을 포함하는 3차 표준(Release 17, ’22.3월)을 완료하고, 현재는 5G 진화 기술인 5G-Advanced(Release 18~) 표준화를 추진 중이다. Release 18은 5G-Advanced의 첫 번째 기술 표준으로 회의에서는 기존 다중안테나, 상향링크 성능 향상, 단말 이동성 관리 최적화, 스마트 중계기 등 기반기술 개선과, 사이
LG유플러스는 인공지능(AI) 기반 네트워크 자동화 기술인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기능'(NWDAF·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을 통해 통신 장애를 해결하는 기술에 대해 실증을 마쳤다고 13일 밝혔다. LG유플러스 설명에 따르면 NWDAF는 글로벌이동통신표준화기구(3GPP)가 표준기술로 정의한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이다. 네트워크 운영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해 AI 모델을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네트워크를 제어한다. 이 기술은 통신망에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적용할 때 품질을 보장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고 LG유플러스는 설명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물리적인 네트워크 하나를 다수의 가상 네트워크로 분리해 운영하는 기술이다. 초고속, 초저지연 등 다양한 요구사항을 가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네트워크 기술로 꼽힌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실증은 NWDAF를 활용한 'AI 기반 장애 인지 및 자동 조치' 기능을 검증하는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적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품질 저하 문제를 예측하고, 근본 원인을 자동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통신사들은 NWDAF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새로운
5G-Advanced, 6G 표준화 주도권 확보를 위한 3GPP 통합정보시스템 서비스 개시 ICT 분야 지식재산 및 국제 표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 협약 체결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는 특허청과 지난 29일, TTA에서 정보통신기술 분야 지식재산 및 국제 표준 경쟁력 제고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5G-Advanced 및 6G 기술 패권 경쟁이 본격화되는 시점에서,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우리나라 산업계가 국제 표준화를 선도하고 표준특허 확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여 대응키로 했다. 이번 협약으로 TTA는 특허청 표준 특허 심사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기술 키워드 기반의 3GPP 문서 검색 서비스를 구축하였으며, 특허청과 계속 협력하여 검색 데이터베이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더불어, 국내 산업계 표준화 역량 강화와 3GPP 표준화 활동 저변 확대를 위해 3GPP 표준화 전반을 소개하고 최신 기술 동향을 제공하는 3GPP 통합정보시스템 서비스도 개시하였다. 이번 협약을 통해 TTA는 정보통신 표준화 전문교육과 특허청 심사관의 표준화 회의 참여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며, 특허청은 지식재산 인식 제
[헬로티]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이하 TTA)는 6월 29일부터 7월 3일까지 전자회의로 개최된 3GPP 제88차 기술총회에서 다양한 他산업 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5G 2차 표준(Release 16)이 승인됐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총회는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방식(이메일 논의와 웹 전자회의 병행)으로 삼성전자, LG전자, 화웨이, 퀄컴, 에릭슨, 노키아 등 글로벌 제조사, 그리고 SKT, KT, LGU+, 보다폰, 오렌지, AT&T 등 국내외 이동통신 사업자 등 총 600여명이 참석하여 열띤 논의를 진행했다. 5G 1차 표준(Release 15)이 5G 초기 상용 서비스에 초점이 맞추어 졌다면, 이번에 승인된 Release 16 표준은 간섭완화, 이동성 향상, 전력 효율 등 5G 시스템 성능 개선을 비롯, 차량 자율주행을 위한 NR V2X,스마트공장을 위한 5G NR 사설망 및 초고신뢰 저지연 통신(URLLC) 등 5G 융합 서비스를 위한 특화․진화된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외에도 비면허 대역에서의 5G NR(NR-U)과 액세스망과 무선백홀망의 통합 운용을 고려한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관련 규격
[헬로티] 안리쓰가 3GPP로부터 Carrier Aggregation에 대한 5G NR SA 테스트의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테스트는 3GPP TS 38.523을 기반으로 하며 FR1(주파수 범위 1)의 3GPP RAN5 워킹 그룹에 의해 승인됐다. 또한 FR1에서 NR NSA(Non-Standalone)에 대한 Carrier Aggregation 테스트에 대해서도 3GPP 점차적으로 승인을 얻어 왔다. 이 모든 테스트는 안리쓰의 5G NR 모바일 디바이스 테스트 플랫폼 ME7834NR 장비로 가능하다. NE7834NR은 GCF(Global Certification Forum)와 PTCRB(PCS Type Certification Review Board)에 모두 테스트 플랫폼(TP) 251로 등록되어 있다. 안리쓰의 5G NR 모바일 디바이스 테스트 플랫폼 ME7834NR은 IMT-2000 3GPP 기반의 다중 무선 접속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ies)을 지원하는 PCT(Protocol Conformance Test)와 CAT(Carrier Acceptance Test) 모바일 디바이스의 통합 테스트 플랫폼이다. LTE, LT
[첨단 헬로티] 노키아는 유럽전기통신표준화기구(European Telecommunication Standards Institute)에 선언한 5G 표준 필수 특허군이 2,000개를 돌파, LTE 는 물론 5G 셀룰러 기술 연구개발(R&D) 및 표준화 분야에서도 리더십을 이어가게 됐다고 밝혔다. 특허 선언(Patent Declaration)은 특허 등록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으로, 특허 출원을 위한 내용이 사실임을 선언하는 선언서 형태로 제출한다. 세계적인 명성을 자랑하는 노키아 벨 연구소(Nokia Bell Labs)를 비롯해 전사적인 차원에서 추진되는 노키아의 5G 특허 개발 작업은 국제민간표준화기구(3GPP)와 협력 하에 5G 표준화 설정 및 5G 네트워크 구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노키아가 5G 기술 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있다. 노키아는 3GPP Release 15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상호 운용 가능한 5G 표준을 완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바 있으며, 현재 차세대 표준인 Release 16 개발에 기여하는 중이다. 최근 5G 특허 선언을 통해 2G, 3G, 4G, 5G 표준 가운데 하나 이상 선언된 노키아의 셀룰러
[첨단 헬로티] LTE 평균 다운로드 속도의 약 10배...3.5GHz 대역 5G 기지국 6천여개 설치, 연내 7천개 이상을 확대 예정 국내 이동통신사 중 가장 많은 기지국 설치로 5G 커버리지 확대를 이끌고 있는 LG유플러스가 5G 상용망을 통해 가장 빠른 속도를 구현하는 등 5G 시장 선도에 박차를 가한다. LG유플러스(부회장 하현회)는 서울시 강서구 LG마곡사이언스파크 인근에서 3GPP 표준 규격 기반의 실제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에서 5G 단말로 활용 가능한 최대 속도를 검증, 국내 최초로 1.33Gbps 이상의 속도를 구현했다. 이번 속도 측정은 서버에서 테스트 단말로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해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진행됐다. 1.33Gbps는 LTE 서비스의 평균 다운로드 속도인 133.43Mbps에 비해 최대 10배에 달하는 것으로, 이동통신사들이 5G를 제공 중인 3.5GHz 주파수 대역에서 LG유플러스가 할당 받은 80MHz 대역폭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이론적 최고 속도에 육박한다. 안테나 수와 송수신 방법 등 5G 규격을 감안할 때 현재 개발된 기술을 통해 80MHz 대역폭으로 구현 가능한 5G 최대 속도는 1.39Gbps 수준
[첨단 헬로티] KT는 11일부터 14일까지 나흘간 개최된 3GPP(이동통신 표준화 국제 협력 기구) 80차 무선총회에 참여해 5G 표준 완성에 기여하고 글로벌 사업자들과 5G 상용화를 위한 협력을 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무선 총회에서 NSA와 SA 주파수 기술이 총 망라된 28㎓ 주파수 대역 연구보고서 최종본을 발표했다. 이번 연구보고서는 국내 5G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인 28㎓ 대역이 세계 최초의 5G 초고주파 표준 대역으로 정식 인정받았음을 의미한다. 3GPP 5G 연구과제 초기 논의단계부터 28㎓ 대역의 표준화를 주도적으로 진행 해 온 바 있다. 이번 28㎓ 표준 완료는 대한민국 이동 통신사가 공통으로 사용할 5G 주파수 대역의 표준 개발에 KT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글로벌 5G 기술 생태계를 완성하는데 기여하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특히 동 회의에서 대한민국 5G 상용 주파수인 3.5㎓와 28㎓간 연동기술 표준도 대한민국 사업자를 대표해서 제안했고 해당 기술의 조기상용화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이것은 주파수 집성 기술 대비 5G 기지국을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기술로서 대한민국이 5G를 세계 최초로 선보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이
[첨단 헬로티] 삼성전자가 5G 이동통신 1차 표준 완성을 목표로 5월 21일부터 25일까지 부산에서 열리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실무그룹 최종 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3GPP의 5G 이동통신 기술을 개발하는 실무그룹인 RAN 워킹그룹 5개가참석해 5G 단독으로 동작하는 5G 단독모드(Standalone)에서 ▲초고속데이터와 초저지연 성능을 제공하는 5G 무선접속 기술 ▲5G 단말과 기지국의 전파방사 요구사항 ▲5G 단말기 평가방법 등 5G 상용 서비스를 위한 최종 기술을 공동으로 확정 짓게 된다. 특히, 삼성전자가 의장사로 참석하는 RAN 워킹그룹4에서는 국내 상용 서비스에 활용될 예정인 3.5GHz, 28GHz 대역 등 주파수 대역별 전파출력을 비롯해 5G 단말과 기지국에 대한 전파방사 요구사항을 확정할 예정이다. 3GPP는 이번 회의 결과와 지난 해 12월 완성한 4G LTE와 5G를 함께 사용하는 5G 종속모드(Non-Standalone) 표준을 다음 달 미국에서 열리는 3GPP 총회에서 5G 1차 표준으로 승인하고 공표할 계획이다. 이번 회의에는 국내 SK텔레콤, KT, LGU+, 미국
[첨단 헬로티] 2018년 이후의 기술 트렌드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것이 연결되는 초연결사회로의 진화가 중점이 될 것으로, 차세대 무선통신 기술인 5G 기반이 중심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초연결사회는 스마트폰과 컴퓨터를 넘어 모든 도시의 구석구석에 장착될 센서, 스마트기기 중심의 스마트홈 시스템, 스스로 작동될 자동차들과 대중교통들이 모두 연결돼 구성될 것으로 예측되며 결과적으로 스마트시티와 스마트국가로의 변화 및 진화가 전망된다. 초연결사회로의 진화는 소프트웨어 기반과 데이터 축적사회로의 변환이 동시에 이루어질 것으로, 사이버 보안의 무엇보다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사이버 보안시장의 시장 성장 예측과 함께 미래의 주요 직업 및 기술로의 성장 가능성이 높다. 가격과 제품의 품질만 보고 제품을 구매하던 시대는 이제 과거가 되고 있으며 차세대 소비자들은 이제 단순한 구매활동에서 벗어나 다양한 경험 등 부가가치를 더 중요시하고 있어 이에 맞는 마케팅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신기술의 발전과 개발은 로봇과 인간의 협력이 불가피한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으며, 자동화 시스템의 활성화는 미래의 일터와 직종 수요에도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미국의 주요 소비자층도
[첨단 헬로티] 퀄컴 테크놀로지는 KT, 삼성전자와 함께 최근 3GPP 릴리즈15(Rel.15) NSA(Non-Standalone) 5G NR(New Radio) 규격에 기반한 멀티 벤더 상호 호환성 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해당 시험은 KT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3.5 GHz 및 28 GHz 대역에서 실시간 OTA(over-the-air) 상호 호환 데이터 연결로 시연했으며, 삼성의 상용화 전단계 5G NR 기지국과 퀄컴 테크놀로지의 5G NR 단말기(UE) 프로토타입을 활용했다. 이번 상호 호환성 시험은 2018년 중에 진행될 5G NR 시범 서비스를 위한 핵심 이정표 중 하나로 2019년 중 예정된 5G NR 상용망 구축 및 멀티모드 스마트폰의 적기 출시에 기여할 전망이다. 이번 5G NR 시범 서비스는 삼성전자 수원 연구소에서 실시간으로 진행되었으며, 멀티 기가비트 다운링크 속도와 1000분의 1초 수준의 지연시간을 기록했다. 이러한 광케이블급 속도와 저지연성은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과 같이 모바일 광대역이 필요한 신기능을 비롯해 산업용 서비스·자율주행·드론 등을 지원할 수 있는 고신뢰성과 저지연성을 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