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R&D에 45% 증가한 1조1961억원 반도체, 미래차, 바이오 등 3대 신산업에 7870억원 내년 산업부 연구개발(R&D) 예산은 올해 4.9조원 대비 약 11.9% 증가한 5조5415억원으로, 사상 처음 5조원을 돌파했다. 2018년 이후 핵심 소재 글로벌 공급망 재편, 코로나19 펜데믹, 기후위기 등 전례없는 경제 위기 상황에서 산업기술 R&D 예산은 약 2.4조원 이상 증가했다. 핵심 분야별 연구개발 투자로는 먼저 탄소중립 R&D 예산에 1조1961억원을 편성해 2021년 대비 45% 이상 투자를 확대한다. 산업 디지털 전환 R&D 예산에 2640억원을 편성하여, 산업 현장에서 직면하는 디지털 전환 수요, 펜데믹 계기 비대면 디지털 경제로의 급속한 전환에 적극 대응한다. 핵심 소재․부품․장비 공급망 안정화와 미래 신공급망 창출․선점을 위해 올해 대비 8.1% 증가한 1조6816억원을 편성했다. 반도체, 미래차, 바이오 등 혁신성장 3대 신산업 분야에는 올해보다 27.8% 증가한 총 7천870억원을 투자한다. 먼저 반도체 부분에서는 인공지능반도체 상용화, 화합물기반 차세대 전력 반도체 개발, 주력산업 데이터
[헬로티] 한국판 뉴딜, 기초·원천 연구개발, 3대 신산업 육성, 포용사회 실현, 감염병 대응에 투자 확대 정부 R&D 예산 2,015억 원 증액된 27.4조 원으로 작년 대비 13.1% 증가 ▲2021년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예산안 편성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2021년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이 지난 2일 국회 본회의 의결을 통해 최종확정됐다. 2021년 과기정통부 예산은 올해의 16조 3,069억원보다 1조 2,086억원(7.4%) 증액된 17조 5,154억원이다. 내역을 살펴보면 한국판 뉴딜, 기초·원천 연구개발, 3대 신산업 육성, 포용사회 실현, 감염병 대응을 위한 예산이 각각 확대됐다. 한국판 뉴딜에는 올해보다 1조 1,030억원(132.3%) 증가한 1조 9,366억원을 투입한다. 디지털·녹색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이에 따른 미래 고용시장 구조변화에 대응하는 교육·인프라를 확충하겠다는 의도다. 정부는 국가·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디지털 뉴딜에 8,824억원(136.0%)이 증가한 총 1조
[첨단 헬로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지난 12일, 제18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이하 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를 열고, ‘2021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이하 투자방향)을 심의·의결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12월부터 전문가 자문단 및 자문회의 산하 7개 기술 분야별 전문위원회와 함께 투자방향(안)을 마련해 왔고, 올해 2월 중순부터 3월초까지 관계부처 협의, 공청회 등을 통해 부처 및 산‧학‧연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2021년도 투자방향은 국정과제 및 제4차 과학기술 기본계획 등의 차질 없는 이행을 위해 정부 R&D 주요 목적인 과학기술 혁신, 경제발전 기여, 삶의 질 개선의 기본 투자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R&D 예산 24조원 시대를 맞아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 창출과 혁신성장 성과 가속화를 위한 투자에 주력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는 △혁신주체의 연구역량 강화, △과학기술로 성장동력 기반 확충, △국민이 체감하는 삶의 질 개선의 3대 분야 10대 중점 투자방향을 설정하고, 자율과 협업 기반의 투자 강화 등 투자 시스템 개선을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