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인지 솔루션 전문기업 뷰런테크놀로지(대표 김재광)가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6’에서 자사의 AI 통합 플랫폼 ‘뷰엑스(VueX)’로 혁신상(Innovation Awards)을 수상했다. 뷰엑스(VueX)는 라이다(LiDAR) 기반 AI 개발을 위한 올인원 통합 플랫폼으로, 데이터 수집부터 라벨링, 학습, 배포까지 AI 개발의 모든 과정을 하나의 시스템 안에서 처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웹 기반 환경에서 별도의 코딩 없이 직관적인 조작만으로 모델을 구축할 수 있어, AI 비전문가도 쉽게 접근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술의 민주화를 실현한 플랫폼으로 평가받았다. 특히 뷰런의 독자 AI 엔진은 라이다 데이터 품질을 자동으로 선별·최적화해 라벨링 시간을 최대 95%까지 단축한다. 여기에 원클릭 학습 및 배포 기능을 더해 개발 효율성과 생산성을 동시에 높였다. 기존에는 고비용과 전문가 중심의 작업으로 제한됐던 라이다 AI 개발의 진입 장벽을 획기적으로 낮춘 셈이다. 뷰런테크놀로지는 이미 지난해 CES 2025에서 라이다 기반 ‘스마트 크라우드 애널리틱스(SCA)’ 솔루션으로 스마트시티 부문 혁신상을 수상한 바 있다. 올해 VueX의 수상
핸드 트래킹 글러브 업체 ‘퀘스터’와 MOU 모방학습 기반 원격 제어·조작 휴머노이드 로봇 핸드 개발 가시화 에이딘로보틱스가 핸드 트래킹 글로브 솔루션 업체 ‘퀘스터’와 모방학습(Imitation Learning) 기반 휴머노이드 로봇 핸드 개발에 나선다. 양사는 모방학습에 특화된 로봇 핸드와 이에 활용되는 글러브 키트를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모방학습은 각 현장에서 수행되는 작업자의 업무 데이터를 인공지능(AI)이 학습한 후, 로봇이 이 동작을 그대로 구현하도록 지원하는 차세대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에이딘로보틱스 로봇 핸드에 퀘스터 핸드 트래킹 솔루션이 이식된다. 퀘스터는 이 과정에서 데이터 전달 기술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원격 제어·조작이 가능하고, 빠른 학습을 기반으로 한 휴머노이드 로봇 핸드가 탄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정우 퀘스터 대표는 “에이딘로보틱스와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로봇 핸드 원격 제어·조작 기술을 고도화할 수 있게 됐다”며 “양사 협업을 통해 인간·로봇 간 상호작용을 극대화하고, 로봇 활용성을 확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퀘스터는 자체 개발 장갑형 핸드 트래킹 디바이스 ‘모티그로브(Motiglove)’를 보유했다. 해
CES 혁신상, 삼성전자와 LG전자 필두로 국내 주요기업 포함돼 15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는 14일(현지시간) 'CES 혁신상' 수상 제품과 기술을 발표했다. CTA는 매년 CES 개막에 앞서 출품목 가운데 가장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선정해 CES 혁신상을 수여한다. 삼성전자는 영상디스플레이 16개, 생활가전 4개, 모바일 5개, 반도체 3개, 하만 1개 등 총 29개의 혁신상을 받았다. 영상디스플레이 부문에서 최고 혁신상 3개를 수상했으며, 2025년형 TV, 모니터 등 신제품과 서비스로 13개의 혁신상을 받았다. 생활가전 부문에서는 냉장고에 보관된 식재료를 스마트하게 관리하는 'AI 비전 인사이드' 기능을 포함한 2025년형 가전 신제품과 서비스로 4개의 혁신상을 수상했다. 모바일 부문에서는 '갤럭시 버즈3 프로'가 최고 혁신상을 수상했고 갤럭시 AI, 갤럭시 Z 폴드6, 갤럭시 탭 S10 시리즈, 갤럭시 워치7도 혁신상을 받았다. 반도체 부문에서는 최대 성능 10.7Gbps의 속도와 업계 최소 두께 12나노급이 적용된 LPDDR5X와 업계 최초 3나노 공정을 적용한 웨어러블 전용 프로세서 엑시노스 W1000, 이미지 센서 설
브이캣은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4에서 AI 부문 '혁신상'을 수상했다고 15일 밝혔다. CES 혁신상은 전 세계 수상작들을 통해 당해의 기술 트렌드를 파악할 만큼 세계적으로 공신력이 높은 상이다. 브이캣은 디자이너가 아닌 마케터도 수 분 내에 마케팅에 필요한 숏폼 영상과 배너 이미지들을 대량 제작할 수 있는 생성 AI 기술 기반 서비스로 혁신상을 받았다. 브이캣의 혁신성은 클릭 한 번이면 누구나 AI의 도움을 받아 광고 소재를 자동 제작할 수 있는 기술에 있다. 이 기술로 브이캣은 1년 만에 약 50만 건의 소재를 제작했다. 현재 네이버, G마켓, 롯데온, SSG, 쿠팡 등이 제품 영상과 배너 이미지를 자동 제작 중이다. 정범진 브이캣 대표는 "AI 마케팅 소재 제작은 이미 사람의 생산성을 뛰어넘었다"며 "이제는 생산성에서 벗어나 마케팅 소재로서의 광고 성과를 제고하고 글로벌 브랜드의 마케팅 자산을 보호하는 과정에 집중하고 있다"고 전했다. 정 대표는 이어 "글로벌 뷰티 기업인 로레알은 아시아 8개 언어권별 광고 소재의 브랜드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브이캣을 활용 중"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브이캣은 올 하반기 SNS에 제작한 소재를 즉시
[헬로티] 코엑스에서 4월 21일부터 23일까지 개최된 'World IT Show 2021'에 CES 2021 라스베가스 소비재전자박람회 디지털전시회에서 혁신상을 수상한 중소·중견업체들의 기술과 제품을 확인할 수 있었다. CES 주최측은 매년 약 50명의 전문심사위원이 그해 8개 부문에 출품된 제품들 중 가장 혁신 제품을 선정해 이노베이션 최고 혁신기술상과 혁신기술상을 선정한다. 수상한 기업들은 최고의 영예이며 혁신상 수상을 통해 전 세계에 우수성 및 기업의 브랜드 가치가 올라가는 효과를 얻는다. 이번 전시회에 한국정보통신기술산업협회는 A동에 금년도 4차 산업혁명의 세계 최대 전시회 CES 2021 라스베가스 소비재전자박람회 디지털전시회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혁신기술상을 수상한 중소기업 제품을 관심 있는 국민에게 직접 기술을 시연한다. CES 2021의 CES 혁신상을 받은 제품은 중견,중소,스타트업이 33개사 수상했으며 WIS 2021의 A홀 AH124호에는 CES 2021에서 수상한 기업 중 최고의 혁신상을 수상한 엠투에스와 분야별 혁신상을 수상한 파커스·펫펄스랩·브이터치·에이치에이치에스·에이
[헬로티] 새롭게 합병된 벨킨 인터내셔널 및 FIT(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인터커넥트 홈 사업부인 링크시스가 ‘와이파이6E 지원 AXE8400 공유기’ 제품으로 CES 2021 혁신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링크시스 AXE8400 공유기 CES 2021은 세계 최대 정보기술 및 가전 전시회로 오는 14일까지 사상 첫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CES 혁신상은 소비자 가전제품 분야에서 최고의 디자인과 품질을 보증하는 권위 있는 상이다.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 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 소속 전문가들이 출품 제품을 대상으로 기술력과 디자인, 고객가치 등의 혁신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우수한 제품을 선정한다. 새로운 6GHz 대역을 사용하는 링크시스 AXE8400 공유기는 복잡하고 불안정한 와이파이 연결을 줄여 가정에 더 넓은 대역폭을 지원하고, 보다 명확하고 빠른 네트워크와 강화된 안정성을 제공한다. 이 제품은 내장형 메시 기술과 간편한 애플리케이션 기반 설정 기능을 지원하고, 3개 대역 모두에 완벽하게 액세스하여 기기의 6E 지원 여부와 관계없이 와이파이 6E시스템
[헬로티]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자사의 스마트 출입 인원 계산 솔루션이 ‘스마트 시티’ 부문에서 CES(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 2021 혁신상을 수상한다고 밝혔다. ▲인피니언의 스마트 출입 인원 계산 솔루션이 CES 2021 혁신상을 수상한다. 이 솔루션은 하나의 XENSIV 60GHz 레이더와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출입 인원을 정확하게 익명으로 비접촉 계산할 수 있다. 교통 신호등 시스템은 해당 장소에 출입이 허용되는지 표시한다. 코로나19 확산을 억제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에서 레이더 기반 출입 인원 계산 솔루션은 상업 공간, 사무실, 공공장소에서 실내 인원을 관리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다. 인피니언은 1월 12일~13일에 개최되는 디지털 CES 2021 전시 플랫폼에서 스마트 출입 인원 계산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헬로티] 로봇기술 기반 헬스케어 기업 에이치로보틱스가 세계 최대의 소비자 가전·기술 전시회 ‘CES 2021’에서 Health & Wellness 부문 혁신상(Innovation Award)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에이치로보틱스의 원격 재활 솔루션 '리블레스'의 디바이스 (출처 : 에이치로보틱스) 에이치로보틱스는 자사에서 자체 개발한 원격 재활 솔루션 ‘리블레스’가 CES 혁신상을 수상했다고 17일 밝혔다. CES(Consumer Electronics Show)는 세계 최대 규모의 가전 기술 전시회로 지난 해에는 전 세계에서 17만5천 명이 참가했을 만큼 큰 행사다. 전 세계 주요 기업과 미디어들이 참석하기에 '테크 분야의 쇼케이스(Showcase)'라고도 불린다.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는 매년 CES에 출품된 제품 중 가장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효율성이 뛰어난 제품들을 선정해 혁신상을 수여하고 있다. CES 2021에서 Heath & Wellness 부문 혁신상을 수상한 에이치로보틱스의 ‘리블레스(Rebless)’는 로봇기술과 IoT 기술이 결합된 스마트
[첨단 헬로티] 삼성전자는 9일부터 12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18에서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미래 라이프스타일 솔루션을 대거 공개한다. 삼성전자는 참가 업체 중 가장 넓은 2,768㎡ 규모의 전시관을 마련하고 ‘삼성 시티’라는 콘셉트 하에 주거공간․사무공간․자동차 등 소비자의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을 테마로 전시공간을 구성했다. 먼저 ‘삼성 시티’에 들어서면 도시의 빌딩을 형상화한 크고 작은 LED사이니지로 구성된 초대형 파사드가 방문객을 맞이 한다. 방문객들은 이 스크린을 통해 삼성의 IoT·AI에 기반한 혁신 기술이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연결해 ‘소비자들의 일상에 의미 있는 변화와 도전을 가능케 한다’는 비전을 공유하고 각 전시 공간에서 구체적인 사용자 중심 시나리오를 체험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전사적으로 IoT 서비스용 클라우드를 ‘스마트싱스’로 통합해 연결성을 확대했으며, ‘빅스비’를 가전에서 전장까지 전사적으로 적용하고
[헬로티] 미래창조과학부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1월 5일부터 8일까지 열리는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2017에서 크레모텍, 망고슬래브, 솔티드벤처, 네오펙트 등 국내 스타트업 4개사가 ‘혁신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올해로 행사 50주년을 맞는 CES에는 150여개국 3,800여개의 기업이 참가하여 수천여종의 제품들이 전시되며, 이 중 28개 부문 총 446개 제품이 ‘혁신상’을 수상하게 됐다. 또한 이들 중 각 부문별 최고 점수 제품에만 수여하는 ‘최고 혁신상’에는 35개 제품이 선정됐다. ‘CES 혁신상’은 CES 행사를 주관하는 전미소비자기술협회에서 매년 CES에 전시된 제품들을 28개 부문으로 구분하여, 공학적 특성 디자인 제품 기능 사용자가치 등을 평가하여 선정한다.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의 보육기업인 ‘크레모텍’은 자체 개발한 레이저 광학기술을 기반으로 ‘휴대용 레이저 스마트빔’를 개발하여 ‘홈 AV 기기 및 액세서리’ 부문에서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수상에 성공했다.
[헬로티] 팅크웨어(대표 이흥복)의 글로벌 블랙박스 브랜드 ‘팅크웨어 대시캠(THINKWARE Dash Cam)이 미국 최대 가전전시회인 ‘CES2017’에서 차량 내부용 오디오∙비디오 부문 혁신상(Innovation Award)을 수상한다. 2015년에 이어 두 번째로 수상으로 명실공히 전 세계적으로 팅크웨어 블랙박스 제품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CES 혁신상’은 세계 3대 IT 전시회 중 하나인 ‘CES(Consumer Electronics Show)’의 출품 제품을 대상으로 미국가전협회(CEA)와 미국산업디자인협회(IDSA)가 제품의 기술력과 디자인을 평가해 선정하는 상이다. 이번에 수상한 제품은 ‘팅크웨어 대시캠 F800 에어(THINKWARE Dash Cam F800 Air, 이하 F800 에어)’로 CES 2017에서 선공개될 예정이다. ‘F800 에어’는 사물인터넷(IoT) 콘셉트를 결합해 커넥티드 카 환경을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F800 에어’는 통신 연결을 통해 긴급 상황을 비상 연락처에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무정전 전원장치(UPS)인 ‘Back-UPS Con-nect BGE50ML’이 미국 소비자기술협회가 주관하는 CES에서 휴대용 전원장치 부문 ‘2016 CES 혁신상’을 수상했다. ‘Back-UPS Connect BGE50ML’은 기존 UPS에 휴대용 외장 배터리팩을 결합시킨 제품으로, 외장 배터리 기능인 스마트폰, 태블릿 충전부터 UPS의 라우터, 모뎀, 인터넷전화 등을 포함한 가정용 네트워크 기기의 전력 공급까지 지원한다. 회전식 콘센트와 3개의 USB 충전 포트를 장착하고 있으며, 정전 시 2시간 반 동안 유연하고 안전하게 비상 전력을 공급해, 갑작스러운 가동 중단으로 데이터나 기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배터리팩에 내장된 리튬 이온 배터리는 고속 충전을 지원하며, 스마트폰 다섯 대 혹은 태블릿 한 대를 완전히 충전할 수 있는 용량을 갖추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콜린 캠벨 부사장은 “Back-UPS Connect BGE50ML은 UPS의 기존 역할에 그치지 않고 모바일 기기의 휴대용 전원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다”며, “이 제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