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브러리 자동차 중소 부품업계 미래차 준비 서둘러야...대형 부품업체 잇단 수주 소식
[헬로티] 중소 부품업체는 미래차 전환율 낮아 중소 부품업체의 사업 재편이 늦어지면서 부품업계의 양극화가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부품업체 185개 중 미래차용 부품 생산 체계로 전환한 업체는 39.6%였지만, 연 매출 500억 이하 중소 부품업체 중에서 전환 비율은 16.1%에 불과했다. 그림. 전기 자동차 (출처: 게티이미지) 반면, 반가운 소식도 들리고 있다. 전기차 전환기가 다가오면서 국내 일부 부품업체들로부터 잇달아 전기차용 부품 글로벌 수주 소식이다. 물론 대형 부품업체 소식이긴 하다. 만도는 지난 22일 노면 충격 흡수 장치인 서스펜션 5천만개를 폭스바겐 그룹에 공급하게 됐다고 밝혔다. 1조4천억원 규모의 이번 수주에는 폭스바겐 차세대 전기차 플랫폼(MEB)을 기반으로 한 유럽 주력 모델 대부분과 내연 기관 베스트셀링 승용 모델, 상용 모델이 대거 포함됐다. 서스펜션은 바퀴와 차체를 연결하는 부품으로 승차감과 드라이빙 안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시장에서도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자동차 열 관리 솔루션 기업인 한온시스템도 폭스바겐 MEB를 비롯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