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1. 서론 레이저 분체 패딩 용접은 재료 표면에 형성된 용융지에 분말을 공급함으로써 모재와 다른 특성을 가지는 개질층을 형성하는 기술이다. 수 mm2의 비교적 좁은 영역에 kW 오더의 높은 에너지를 투입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의 열적 데미지를 억제한 국부적인 표면개질이 가능하다. 용도로서는 공업용 커터의 날 끝에 대한 경화층 형성에서 항공기나 화력발전용 가스터빈의 터빈 블레이드 등의 엔진 부품 보수 등 저렴한 양산품에서 고가격 부품의 보수까지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필자는 레이저 분체 패딩 용접의 기계부품에 대한 적용 분야 확대를 목적으로, 철강 재료 상에 고경도의 패딩층을 형성해 평가시험을 해왔다. 저합금 강판 상에 고속도공구강 분체에 의해 1,000HV의 경화층을 형성, 그 특성을 보고한다. 기계 부품은 인성을 요구받는 것도 많고, 600HV 정도의 경도로 소정의 인성을 가지는 경화층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이 글에서는 저탄소의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분말에 의해 패딩층을 형성해 템퍼링을 하고, 금속 조직 관찰, 경도 측정 및 마찰마모시험을 실시했으므로 그 결과를 보고한다. 2. 단조 금형 수명 N배 프로젝트에 대해서 일반 구조용 압
[첨단 헬로티] 1. 서론 동사는 창업 이래 금형·기계 부품 등의 장수명화를 목적으로 예방보전용 표면개질장치(코팅장치) 및 보수용 패딩장치의 개발·제조·판매를 취급해 왔다. 지금까지 금형·기계 부품 등의 패딩·용접 보수는 아르곤(TIG) 용접 등의 용접 방법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용접에서는 금형 용착 금속은 수축해 인장의 응력이 발생, 금형은 변형, 때로는 크랙이 발생한다. 동시에 용착 금속 소재를 용융하게 되어 금속의 체적은 팽창, 또한 용접 후에 금형은 냉각해 금속이 수축하기 때문에 용융 금속이 중심부로 끌려, 패딩부 주위와 금속 소재의 경계부가 치수적으로 마이너스(2번 싱크)하게 된다. 이에 열입력이 낮은 패딩 보수법이 요구된다. 동사는 방전가공의 원리를 응용한 독자의 특허 제품인 방전 피복·패딩장치 ‘데포 시리즈’를 개발, 금형·기계 부품 등에 열에 의한 불량(변형, 크랙, 2번 싱크 등)을 주지 않고 패딩 보수하는 기술을 확립했다. 또한 최근 레이저 패딩·용접장치도 자체 개발, 금형의 가공 기술 발전, 단납기화가 한층 더 진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