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델켐이 새롭게 변화한다. 7월 15일을 마지막으로 오토데스크 소프트웨어의 공급계약을 종료하게 된 한국델켐은 18일부터 차기 솔루션 ‘NCG CAM’을 공급한다. 또한 33년간의 사명 한국델켐 사명에서 HD Solutions로 사명 변경 예정이라 밝혔다. 한국델켐은 18일부터 NCG CAM 솔루션 공급에 나선다. NCG CAM은 1977년 영국에서 개발 시작된 45년 역사와 전통의 CAM 소프트웨어로, 오토데스크의 파워밀과 유사한 기술 기반을 갖고 있는 솔루션이다. 한국델켐에 따르면 NCG CAM은 기존 파워밀이나 다른 CAM SW를 사용하던 유저가 기능적, 사용편의적으로 충분히 대체할 수 있는 솔루션이라고 밝혔다. 무엇보다 NCG CAM은 확고한 영구라이선스 판매정책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한번만 구입하면 영구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새롭게 시작하는 NCG CAM 판매와 더불어 한국델켐이 33년만에 HD Solutions(HD솔루션즈)로 사명을 변경한다. NCG CAM소프트웨어를 비롯해 기타 혁신적인 제조솔루션을 개발·공급하겠다는 의지다. 한국델켐은 CAD, CAM뿐만 아니라 공정관리프로그램인 MES, 장비모니터링솔루션인
[첨단 헬로티] 한국델켐㈜은 지난 12월 19일 서울 엘타워에서 진행된 '2019년 중소기업 R&D 정책세미나 및 스마트공장 네트워킹 행사'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동 행사는 중소기업 R&D정책 및 스마트 공장 기술 동향을 공유하고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자 기획됐다. 한국델켐은 스마트 공장 공급기업으로서 '스마트 공장 기술 동향 및 우수 구축사례 발표' 세션에서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디지털 제조 시스템’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한국델켐㈜ 홍대윤 책임 컨설턴트가 스마트 공장 기술 동향 및 구축사례를 발표했다. 발표를 담당한 한국델켐 홍대윤 책임 컨설턴트는 회사소개를 시작으로 파워밀(POWERMILL), 에임스 숍플로어(AIMS-Shopfloor), 에이치디 파일매니져(HD- FileManager)등 스마트 공장을 구현할 수 있는 주력 솔루션들을 소개했다. 파워밀은 금형 및 복잡한 형상 가공을 위한 전 세계 최고 CAM 솔루션이다. 2.5D에서 연속 5축 가공까지 지원한다. 에임스 숍플로어는 CNC 가공기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가공현장의 정보화/자동화 솔루션이다. 가공기에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즉각적으로 핸드폰에
[첨단 헬로티] 한국델켐은 CAM 엔지니어의 작업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고객 맞춤형 소프트웨어인 HD-ICON(에이치디 아이콘) 개발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지난 인터몰드코리아 전시회에서 공식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처음 선보인 이후, 한국델켐 고객사들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공급을 시작했다. HD-ICON은 아이콘 툴바 형식의 소프트웨어이다. CAM 솔루션인 POWERMILL과 연동하여 초보자라도 쉽게 CAM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파워밀 템플릿과 가공 조건, 가공 순서, 매크로 등을 HD-ICON에 저장하여 작업을 진행하고, 작업 중이던 프로세스를 DB에 저장하여 다시 불러올 수 있다. 엔지니어가 직접 작성한 템플릿과 매크로 등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이 선호하는 작업 방식 스타일대로 CAM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전극 가공을 비롯해 코어, 부품, 홀 가공 등 다양한 가공에 필요한 편의 기능들을 HD-ICON 상에서 사용자가 손쉽게 구성하고 자동화할 수 있다. HD-ICON은 툴바 리스트, 모델 이미지창, 프로세스 리스트, 템플릿 리스트, 매크로 리스트, 작업 순서 리스트, 툴패스 편집 리스트 등 7개의 파트로 구
[헬로티] 한국델켐은 오는 2017년 3월 7일부터 5일간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하는 ‘제23회 국제금형 및 관련 기기전시회(INTERMOLD KOREA 2017)’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인터몰드 코리아는 세계 3대 금형산업 전문 전시회 중 하나로,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동종 업계 최대 규모로 참가할 계획이다. 한국델켐의 메인 부스에서는 파워밀(PowerMILL), 피쳐캠(FeatureCAM), HDAS 등 제조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한국델켐 제조 솔루션의 주요 기능 소개가 이루어진다. 매년 한국델켐 전시회에서 가장 큰 주목을 받는 섹션 중에 하나인 오픈 프레젠테이션 섹션에서는 2017년도에 새롭게 업데이트된 기능을 포함해 솔루션들의 주요 기능을 데모 시연 방식으로 진행한다. 지난해 성공적으로 런칭한 제조 정보화 솔루션 ‘에임스(AIMS, Adaptive & Intelligent Manufacturing Solutions)’의 업데이트된 기능들도 선보인다. 에임스는 2016년 한해 동안 스마트공장추진단과 여러 협업을 바탕으로 다양한 제조기업에 판매가 되어 활발히 활용 중에 있다. 이외에도 고객사들의 공정의 표준화
[헬로티] 한국델켐은 자사 소프트웨어인 파워밀(PowerMILL), 파워쉐이프(PowerSHAPE), 아트캠(ArtCAM), 피처캠(FeatureCAM) 등을 활용하고 싶은 분들의 학습 지원을 위해 온라인 학습이 가능한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더구나 반드시 유저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홈페이지에 가입만 하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학습 콘텐츠들을 무료로 활용하고 학습할 수 있다. 한국델켐은 살아있는 현장 수준의 학습을 지원하고,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자습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 현장에서 작업자의 실무 능력 배양에 활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콘텐츠들을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솔루션별로 입문 과정인 기초 과정 콘텐츠뿐만 아니라 자동차, 가전, 모바일, 생활용품 등 수요가 많은 분야의 실제 금형 모델을 활용하여 가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학습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고, PowerMILL 실무능력 자격증 문제풀이 등 다양한 자료 학습이 가능하다. 또한 온라인 콘텐츠 학습 이외에도 홈페이지 상에서 한국델켐이 운영하고 있는 ‘PowerMILL 실무능력 자격증’ 시험 일정을 확인하고 접수를 진행할 수도 있다.
전년대비 20% 성장…오토데스크 디지털 제조그룹 중 최고 매출 기록 한국델켐은 오토데스크가 주최한 ONE TEAM CONFERENCE 행사 3일차에 열린 Partner Awards에서 Best Overall Partner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Best Overall Partner상은 지난해 오토데스크 전세계 디지털 제조그룹 파트너사 중에서 전체 최고 매출을 기록한 파트너상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2015년 한국델켐의 매출은 로열티 기준으로 전년대비 20% 성장률을 달성했고, 북미, 유럽지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 규모에도 불구하고 전세계 디지털 제조그룹의 평균 매출을 뛰어넘는 성장세를 기록하여 파트너사들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한국델켐은 2014년 초 델켐 주최로 진행됐던 SPM(Sales Partner Meeting)에서도 전세계 PowerMILL과 PowerSHAPE 매출이 가장 큰 파트너사에게 주어지는 Best PowerMILL 2014와 Best PowerSHAPE 2014를 동시에 수상하기도 했다. 오토데스크의 델켐 인수 합병이 체결된 이후 델켐을 포함한 디지털 제조그룹의 2015년 매출은 전년대비 16%의 성장을 기록하며 양사 간 합병
한국델켐은 오토데스크가 주최한 ONE TEAM CONFERENCE 행사 3일차에 열린 Partner Awards에서 Best Overall Partner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Best Overall Partner상은 지난해 오토데스크 전세계 디지털 제조 그룹 파트너사 중 전체 최고 매출을 기록한 파트너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2015년 한국델켐의 매출은 로열티 기준으로 전년대비 20% 성장률을 달성했고, 북미, 유럽지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 규모에도 불구하고 전세계 디지털 제조 그룹의 평균 매출을 뛰어넘는 성장세를 기록하여 파트너사들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한국델켐은 2014년 초 델켐 주최로 진행됐던 SPM(Sales Partner Meeting)에서도 전세계 PowerMILL과 PowerSHAPE 매출이 가장 큰 파트너사에게 주어지는 Best PowerMILL 2014와 Best PowerSHAPE 2014를 동시에 수상하기도 했다. 오토데스크의 델켐 인수 합병이 체결된 이후 델켐을 포함한 디지털 제조 그룹의 2015년 매출은 전년대비 16%의 성장을 기록하며 양사 간 합병 시너지 효과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역적으로 살펴보면 유럽 및 중동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