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배 빠른 출력속도의 고성능 산업용 SLS프린터 퓨즈1+30W 강력한 탄소섬유 강화소재 나일론11 CF 파우더 폼랩이 산업용 SLS 3D프린터인 ‘퓨즈1+ 30W’의 출시를 발표했다. 퓨즈1 SLS 3D프린터의 성공을 기반으로 개발된 퓨즈1+ 30W는 강력한 레이저뿐만 아니라 컴포넌트를 통합해 새로운 고성능 소재와 탁월한 처리량을 제공하므로 고객이 사용 중인 부품을 최대 두 배까지 빠르게 생산할 수 있다. 퓨즈1+ 30W는 뛰어난 검류계 시스템과 강력한 레이저 및 초당 최대 12.5 미터의 빠른 스캐닝 속도를 기반으로 업계를 선도하는 수준의 출력 속도를 자랑한다. 폼랩은 퓨즈1+ 30W와 함께, 이 프린터의 최종재 사용을 위해 설계된 폼랩 SLS 재료 라이브러리에 새롭게 추가되는 ‘나일론 11CF 파우더’도 선보였다. 새로이 출시된 나일론 기반 탄소섬유 강화 파우더를 이용하면 사용자들은 강력하지만 가벼운 부품을 자체 제작할 수 있다. 맥스 로보브스키 폼랩 CEO 겸 공동창업자는 “이번에 새롭게 선보인 퓨즈1+ 30W로 우리는 SLS 3D프린팅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리면서 기업이 감당할 수 있는 가격 수준으로 진정 빠르고 높은 처리량의 SLS 프린팅을 제공할
[헬로티] 첨단 폴리머 기업 이구스 GmbH가 ESD 특성을 지닌 iglidur I8-ESD를 활용해 새로운 SLS 파우더를 출시했다. ▲신제품 iglidur I8-ESD는 검정색 소재로 SLS 가공 시 후속 도장 작업이 필요 없다. 이 소재는 검정색 파우더 형태로, 프린팅 직후 별도의 도장 작업이 필요 없어 비용 절감과 배송 시간 단축이 가능하다. 분말 소재를 적층 가공하는 3D프린팅 SLS 제조 방식의 특징은 자유로운 설계와 빠른 제작 속도에 있다. 또한, 파우더 분말을 여러 번 사용할 수 있고, 인쇄된 부품을 재활용할 수 있기에 플라스틱 폐기물이 줄어드는 추가적 장점도 있다. 신제품 I8-ESD 파우더는 이구스가 기존 보유하고 있던 l3와 l6에 이은 세 번째 SLS 파우더로, 전자 및 반도체 생산 라인 적용에 특히 알맞다. 탐 크라우제(Tom Krause) 이구스 적층 가공 사업부 책임자는 “iglidur I8은 3x107 Ω x cm의 ESD 특성을 가지면서도 강력한 내구성을 지닌 소재”라며 자사 테스트랩에서 수행된 테스트 결과를 추가로 공개했다. 피봇팅(각도 운동) 테스트와 직동 마모 테스트 결과, iglidur I8의 내마모
▲대흥웰텍 박상수 부장 [첨단 헬로티] 대흥웰텍은 경남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열리는 산업용 3D프린팅·적층제조 산업전시회 ‘TCT코리아’에 참가했다. 이 회사는 지난 1997년 창사 이래 우수한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특수 용접 재료로 국내 다양한 산업 분야에 영향력을 넓혀갔다. 4차 산업혁명 이후 새로운 비전을 발견하기 위해 대흥웰텍은 3D프린팅 소재를 주목했다. Q : 먼저 회사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대흥웰텍은 현재 3D프린팅용 금속 파우더를 국내에 보급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지난 20여 년간 대흥웰텍은 선진 용접 제품과 장비, 용접 기술 관련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회사였습니다. 이후 산업 기술 발달과 4차 산업혁명은 용접산업을 비롯해 산업 전반에 다양한 변화를 요구했습니다. 이에 저희 회사는 기존 용접 재료 분야를 넘어 3D프린팅용 금속 파우더를 주목했고, 현재 많은 업체와 거래하고 있습니다. Q : 이번 TCT코리아에 참석하신 계기를 알고 싶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대흥웰텍은 용접 분야에 속한 회사였습니다. 이후 3D프린터용 파우더를 알게 됐고, 저희 거래처인 샌드빅(Sandv
[첨단 헬로티] 미국 아르곤 국립연구소(Argonne National Laboratory) 연구진이 방사광 가속기(Advanced Photon Source: APS)를 통해 3D 프린팅 시, 최종 제품에 결함에 영향을 주는 파우더(미세한 플라스틱 분말, 모래, 금속 가루 등)의 흩어짐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적층 가공과 관련하여, 제조업자들은 레이저를 사용하여 파우더형 재료(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파우더)에 열을 가하여 얇은 막을 형성하고, 막이 형성되면 다시 파우더를 뿌리고 레이저를 쏘는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는 여러 개의 층으로 제품을 조형한다. ▲3D 프린팅 과정에서 나타나는 파우더 스패터링(spattering) <출처 : 아르곤 국립연구소> 이러한 과정을 LPBF(Laser Powder Bed Fusion)이라고 하는데, 이 기술은 비행기, 자동차 그리고 인공 턱뼈와 같은 의료용 임플란트를 위한 부품에 사용해 왔다. 그러나 이 공정에는 강렬한 레이저가 파우더를 쏘면 파우더가 튀거나 뿌려져 제품의 결함을 초래하거나 품질 관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공정 중에 튀어나오는 파우더는 주변의 재사용이 가능한 여분의
[헬로티] 센트롤이 산업용 3D프린터 신제품 ‘SENTROL 3D SS400(G) 3대를 3D프린팅 전문업체 3D파인에 납품 및 협약식을 체결하고 통합 솔루션&서비스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SS400(G)는 SLS 방식의 주물사 3D프린터로, 400×400×400㎜까지 출력이 가능한 산업용 장비이다. 200~300μm 두께로 파우더를 적층해 최대 속도 7m/s의 레이저로 파우더를 소결하고 다시 도포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7m/s의 출력 속도는 지난해 9월 출시한 ‘SENTROL 3D SS600’과 비교했을 때 20배 이상 빨라진 속도다. 이것이 가능해진 이유는 기존 3D프린터는 레이저가 X, Y 테이블 방식으로 움직였다면, SS400(G)는 갈바노 방식의 거울 2개를 통해 레이저가 빠르게 움직이게 설계됐기 때문이다. 3D파인은 산업용 금속 3D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다. 소비자가 의뢰한 부품을 3D 데이터로 변환한 후, 제조, 출력, 후가공, 포장, 배송까지 모든 과정을 책임진다. 이 중 제조·출력 과정을 센트롤 주물사 3D프린터 SS400(G)로 제공한다. 최성환 센트롤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