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운로드 270만건 이상의 크라우드소싱 플랫폼 ‘캐시미션’ 운영사 셀렉트스타가 2022년 1월 5일부터 8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CES 2022에 참가한다. 셀렉트스타는 CES 2022에서 자사의 인공지능 데이터 학습데이터 플랫폼을 선보일 예정이다. 셀렉트스타의 인공지능은 비슷한 데이터를 자동으로 필터링함으로써 데이터 수집과 가공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셀렉트스타는 누적 다운로드 270만건 이상의 크라우드소싱 플랫폼 ‘캐시미션’을 운영하고 있는 스타트업이다. 창립 3년만에 연 매출 60억원을 돌파했으며, 현재까지 유치한 투자 금액은 누적 40억원에 이른다. 성장 배경에는 카이스트 박사진이 개발한 셀렉트스타만의 수학적 알고리즘이 있다. 알고리즘을 적용한 ‘캐시미션’을 활용해 인공지능이 수집한 데이터가 현재 100만건에 달한다. 이는 지금까지 약 200개 기업이 셀렉트스타를 이용한 결과다. 셀렉트스타를 이용했던 롯데정보통신은 “대량의 OCR 데이터 가공을 내부 파트타임을 고용했을 경우 6개월이 걸리는데 셀렉트스타는 1개월만에 처리해서 제공했다”며 “비용, 품질, 속도 등 모두 만족스러웠다”고 말했다. 셀렉트스타 김세엽 대표는 “셀렉
[헬로티] ▲데이터헌트는 국내 최초로 데이터 수집 및 가공에 휴먼인더루프 방식을 적용, 데이터 처리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정확도를 높였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데이터헌트가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 피스컬노트(FiscalNote)로부터 22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26일 밝혔다. 데이터헌트는 데이터 수집, 처리, 검수, 인력관리 전반을 AI가 처리하는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는 기업으로, 미국계 IT 기업인 피스컬노트가 국내 기업에 전략적 투자를 진행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데이터헌트는 국내 최초로 데이터 수집 및 가공에 AI 기술을 도입했고 휴먼인더루프(Human-in-the-Loop) 방식을 적용했다. 이는 인공지능이 전처리한 데이터를 사람이 검수하고 결과물을 다시 한번 인공지능이 후처리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처리 시간과 비용을 줄이면서 정확도를 높인다. 데이터헌트 측에 따르면, 지금까지 AI 개발업체들은 데이터 라벨링, 바운딩 등 인공지능이 학습할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로 가공하는 과정을 수작업에 의존해왔다. 이미지, 영상, 음성, 자연어 등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시간 소모가 크고 정확성도 떨어졌다. 데이터헌트는 AI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