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국내 물류로봇 시장은 아직 태동기이며, 큐리보가 주도적으로 시장을 만들어 가겠다.” 큐리보 김대현 대표는 자율주행 분야 축적된 기술과 제품을 앞세워 국내 물류로봇과 서빙로봇 시장을 선점하겠다고 말한다. 큐리보는 2016년 창업 이래, 자율주행 홈로봇, 자율주행 가이드로봇, 자율주행 물류로봇 그리고 자율주행 서빙로봇까지 다양한 분야에 대한 로봇 기술을 개발해왔다. 특히, 임베디드 하드웨어 기반의 사람 얼굴 검출 및 인식하는 인공지능 기술까지 폭넓은 분야의 개발이 이루어졌다. 큐리보는 자율주행 기술 기반으로, 현재 자율주행 물류로봇과 서빙로봇 판매를 주력하고 있으며, 다수로봇 통합 운용 솔루션 또한 공급하고 있다. 물류로봇 이슈와 전망을 김대현 대표에게 들어봤다. ▲ 큐리보 김대현 대표 Q. 올해 물류로봇 활용 전망은. A. 물류로봇은 정형화되어 있는 형태라기보다는 현장에서 요구하는 기능이 포함된 다품종 로봇의 유형이 많다고 생각한다. 즉, 물류 현장의 요구조건들이 다르다 보니 조금은 업체의 요구사항에 준하는 기능이 일부 적용되는 사례가 있다. 로봇의 형태를 보면 현재 보편화된 AGV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한 AMR의 형태로 일부
[첨단 헬로티] 큐리보는 이번 전시회에서 기존 AGV 한계를 극복해 자율주행 뿐만 아니라 로봇 인간 간 협동을 지원하는 자율이동 로봇(AMR)인 큐보(QUBO)를 선보였다.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해 정확한 공간분석을 하고, 관제에서 지정한 목적지까지 자율적으로 물건을 배송하는 두 종류의 카트 형태와 상단을 커스터마이즈 형태로 제작해 공급한다. QUBO는 물류창고, 공장 호텔 병원과 같은 공간에서 물류를 배송 지원하며. 3D심도 카메라, 초음파 센서, 2개의 라이더 센서를 활용해 사람이나 장애물을 스스로 인식하여 충돌 회피 및 자율주행이 가능하다. 최대 200kg까지 적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자동 충전시스템과 와이파이 뿐만 아니라 옵션으로 LTE 탑재도 가능하다. 한편, 올해로 14회째인 로보월드는 10월 9일부터 12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나흘간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한국로봇산업협회와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제어로봇시스템학회가 공동으로 주관하고, 10개국 160개사 550부스의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되는 국제로봇산업대전을 비롯해 국제로봇콘테스트, 국제로봇기술포럼이 공동행사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