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올해 예산 2100억 원을 집중 투자해 정보보호산업을 차세대 전략산업으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2025년까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일류 보안기업을 60개사 육성하고, 악성코드·침해사고 등 데이터셋 8억 건을 개방한다. 또한 안양 등 5곳에 융합보안거점을 구축·강화해 융합보안시장을 창출하고, 올해 안에 중소기업 정보보호지원을 8300개사로 늘릴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10일 제5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정보보호산업의 전략적 육성 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사이버위협이 국민생활 및 경제전반과 밀접한 분야에서 발생하면서 디지털 경제 성장을 위해 정보보호 안전망 확충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정보보호시장을 선점하고, 우리 정보보호 기업과 기술을 통해 디지털 자산 보호가 중요한 시점이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새로운 보안 시장에서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선도제품 및 차세대 보안기술을 개발하고, 국내 보안 기업 간 협업 활성화 및 정보보호 투자 확대를 이끌어내 정보보호산업의 차세대 전략산업으로의 도약을 추진
사물인터넷 등 융합보안 침해사고에 따른 피해 규모는 올해 약 13조 4천억원에서 오는 2030년에 이르면 약 26조 7천억원에 달한다는 게 산업연구원의 분석이다. 체계적인 대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안될 시점이다. 정부도 서둘러 관련 정책을 발표했다.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그 내용을 살핀다. 사물인터넷(IoT)은 홈 가전, 의료, 교통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본격적인 시장 활성화가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시장도 매머드로 커지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오는 2020년까지 인터넷에 연결되는 사물의 수는 약 260억개, IoT로 창출되는 부가가치는 약 1조 9천억 달러에 이른다. 그러나 IoT 활용분야는 우리 실생활의 모든 사물에 ‘직접 접목’되기 때문에, 기존 사이버 공간의 위험이 현실세계로 전이·확대되고 있다. 때문에, 사물인터넷 제품과 서비스의 보안 위협에 대한 우려가 최근 들어 급속도로 늘고 있다. 보안 위협에 노출된 IoT 사물인터넷 관련 전문기관이나 업체들은 IoT에서의 보안 위협에 경고하고 있다. HP는 지난해 IoT 디바이스의 70%가 암호화되지 않은 네트
[사물인터넷 보안 1] 보안 위협에 노출된 IoT [사물인터넷 보안 2] 7대 부문 IoT 제품 및 서비스 보안 강화 IoT 보안 우수기업 발굴·육성 IoT 보안 스타트업 기업 지원, IoT 시큐리티 센터 구축, IoT·융합보안 시범사업도 동시 추진한다. 이미 추진 중인 스타트업 프로그램 안에 IoT 보안분야를 추가해 기획·개발·테스트·투자유치·해외진출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한다. 또한 보안 스타트업 육성, IoT 보안 실증사업에 대한 컨설팅, 기술지원 등 IoT 보안 관련 기업 지원업무를 위한 IoT 시큐리티 센터를 IoT 혁신센터와 연계 구축하고 내년에는 판교 소재의 산학연 R&D센터로 이전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관련 기업들이 많은 IoT 디바이스들에 어떤 보안기능을 탑재해야 하는지 몰라 보안을 고려하지 않고 출시하고 있으며, 보안기능을 탑재하더라도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인프라가 부족하다고 지적해왔다. 실제 HP가 지난해 실시한 IoT 제품 보안수준 점검 결과, 70%의 IoT 디바이스는 통신과정에서 암호화를 수행하지 않고 있으며, 80%의 디바이스 및 이와 연동된
[사물인터넷 보안 1] 보안 위협에 노출된 IoT [사물인터넷 보안 2] 7대 부문 IoT 제품 및 서비스 보안 강화 사물인터넷 등 융합보안 침해사고에 따른 피해 규모는 올해 약 13조 4천억원에서 오는 2030년에 이르면 약 26조 7천억원에 달한다는 게 산업연구원의 분석이다. 체계적인 대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안될 시점이다. 정부도 서둘러 관련 정책을 발표했다.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그 내용을 살핀다. 사물인터넷(IoT)은 홈 가전, 의료, 교통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본격적인 시장 활성화가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시장도 매머드로 커지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오는 2020년까지 인터넷에 연결되는 사물의 수는 약 260억개, IoT로 창출되는 부가가치는 약 1조 9천억 달러에 이른다. 그러나 IoT 활용분야는 우리 실생활의 모든 사물에 ‘직접 접목’되기 때문에, 기존 사이버 공간의 위험이 현실세계로 전이·확대되고 있다. 때문에, 사물인터넷 제품과 서비스의 보안 위협에 대한 우려가 최근 들어 급속도로 늘고 있다. 보안 위협에 노출된 IoT 사물인터넷 관련 전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