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중국서만 매년 전기차 50만 대 분량 생산...글로벌로는 100만 대 SK이노베이션의 소재 사업 자회사 SK아이이테크놀로지(이하 SKIET)는 중국 창저우에 있는 분리막(LiBS·Lithium-ion Battery Separator) 2공장의 가동을 시작했다고 13일 밝혔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 중국 분리막 공장 전경 지난해 11월 중국 창저우 1공장에 이어 5개월만에 2공장도 상업 가동이 시작된 것이다. SKIET 중국 2공장은 총 생산 능력 3억4천만㎡ 중 1억7천만㎡를 부분 가동 중이다. 이에 따라 중국에서만 기존 1공장 생산 능력 3억4천만㎡을 포함해 5억1천만㎡의 생산 능력을 갖추게 됐다. 이는 매년 고용량 전기차 약 50만 대에 필요한 분리막을 생산하는 수준이다. SKIET는 2공장의 나머지 생산 라인을 내년 1분기 가동한다는 목표로 순조롭게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번 중국 창저우 2공장 가동으로 한국, 폴란드, 중국 등에서 갖춘 총 생산 능력은 10억4천만㎡으로, 연간 전기차 100만 대에 쓸 수 있는 규모에 이른다. 2024년에는 글로벌 생산 능력은 27억3천만㎡가 될 예정이다. SKIET는 세계 전기차 시
[헬로티] 중국 후이저우에 EVE와 합작공장 신설…"내년부터 10GWh 규모 가동" SK이노베이션이 중국 배터리 업체와 합작법인 형태로 중국 내 3번째 배터리 공장 투자를 단행했다. 14일 업계와 외신 등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은 이달 초 중국 배터리 제조사 EVE와 부채 출자전환 계약을 체결하고, 중국 후이저우(惠州)에 배터리 공장을 세운 EVE 자회사의 지분 49%를 취득했다. 사진. SK이노베이션, 중국 창저우 배터리 합작공장 (출처: 연합뉴스) SK이노베이션은 나머지 지분 51%를 보유한 EVE와 공동으로 해당 공장을 운영하게 된다. 생산 규모는 연산 10GWh(기가와트시) 규모로,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가동할 예정이다. 후이저우 공장에서 생산된 배터리는 중국에서 판매되는 현대차 등 전기차 모델에 탑재될 전망이다. 이번 합작공장은 SK이노베이션의 중국 현지 세 번째 배터리 생산공장이다. 앞서 SK이노베이션이 베이징자동차와 합작한 창저우(常州) 공장은 지난해 완공돼 가동하고 있고, EVE와의 또 다른 합작공장인 옌청(鹽城) 배터리 공장은 시운전을 거쳐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가동한다. 회사 측은 EVE 합작 공장이 가동하게 되면 내년 중국에서만
[첨단 헬로티] 지난 2월 27일, 중국 장쑤성 창저우 시장 Ding Chun은 한국 기반의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제조업체 오알켐의 이재현 사장 겸 CEO가 이끄는 방문 대표단을 만났다. 양측은 회의가 끝난 후 서명식을 열었다. 한국 굴지의 PCB 제조업체 오알켐은 제약 사업부 내에서 PCB 생산 작업흐름에서 중요한 부분인 전자부품 제조에 사용되는 화학재료 처리를 위한 한국에서 유일한 포괄적 생산 공정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에서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유한 오알켐은 코리아써키트, 심텍, 삼성, LG 및 폭스콘을 포함해 세계 수많은 주요 기업에 자사의 제품과 서비스를 판매한다. ▲중국 장쑤성 창저우 시장 Ding Chun은 오알켐의 이재현 사장과 방문 대표단은 회의가 끝난 후 서명식을 열었다. 오알켐은 창저우 빈장 경제개발지구에 자사의 중국 지사를 설립하고자 미화 5천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오알켐의 중국 자사는 중국 고객의 수요에 맞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첨단 관리 접근법을 비롯해 첨단 기술과 공정을 도입함으로써, PCB 제조에 사용되는 양질의 전자 화학물질을 전문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양쯔강 삼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