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친환경자동차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산업통상자원부가 국무회의를 통해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이하 친환경자동차법) 시행령 개정안”을 의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개정을 통해 공공기관의 친환경차 의무구매비율이 70%에서 100%로 확대되고, 전기차가 완속충전기를 장시간(14시간 이상) 점유하는 충전방해행위를 할 경우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게 됐다. 정부는 친환경차산업으로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한국판뉴딜’, ‘미래차 확산 및 시장선점전략’ 등 친환경차 보급·확산 정책을 발표했으며, 이에 따라 친환경차 선도적 수요창출 및 전기차사용자 충전편의를 개선하기 위해 시행령 개정을 추진했다. ‘공공기관 친환경차 의무구매제도’는 공공기관이 신차 구매 또는 임차시 일정비율 이상을 친환경차로 구매하도록 하는 제도로서, 공공부문이 친환경차 수요창출과 온실가스 저감 등 환경개선을 선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16년 처음으로 도입·시행됐으며, 의무구매비율을 2
[헬로티] 2025년까지 전기차 3000대 도입, 7200kW급 충전인프라 구축 사업 추진 ▲16일 서울 워커힐호텔에서 진행된 'K-EV100 협력사업' 협약식에는 이종환 한전 사업총괄부사장과 박상규 SK네트웍스 대표이사 사장, 황일문 SK렌터카 대표이사가 참석했다. (출처 : 한국전력) 한국전력(이하 한전)이 SK렌터카와 16일 서울 워커힐호텔에서 ‘K-EV100 협력사업’ 협약식을 진행했다. 양측은 이번 협약식을 통해 SK그룹사의 K-EV100 이행 및 한전의 로밍 플랫폼 'ChargeLink'를 활용한 전기차 유연성 자원화 개발에 상호협력할 계획이다. K-EV100는 민간기업이 자발적으로 2030년까지 보유‧임차 차량을 100% 전기차‧수소차로 전환하는 사업이다. 먼저 양사는 오는 2025년까지 제주도에 전기차 전용사이트를 조성해 전기차 3000대를 도입하고 이들 차량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7200kW급 충전인프라 구축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한, 제주도의 신재생에너지에서 생산한 전력이 수요를 초과할 경우 재생에너지의 출력을 제한하는 대신 대규모 충전시설을 유연성 자원으로 활용하는 등 신재생에너지의
[헬로티] ▲자동차 탄소중립협의회는 산학연과 산업부가 자동차 산업의 탄소중립 전략 및 과제에 대해 논의하는 민관 소통창구다.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자동차 업계가 2050 탄소중립 논의를 위해 민관 소통창구인 ‘자동차 탄소중립협의회’를 출범했다고 지난 31일 밝혔다. 자동차 탄소중립협의회(이하 협의회)는 업계, 학계, 연구계와 산업부 간의 소통 채널로, 자동차산업협회장이 위원장을 맡았으며, 자동차 산업의 탄소중립 전략 및 과제에 대해 논의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출범식에는 주요 자동차 기업의 사장단과 전문가들이 참석했으며, 자동차 산업계의 탄소중립 도전을 격려하고, 전략적 지원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 성윤모 장관이 참석했다. 협의회는 이날 탄소중립 도전 공동 선언문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이 인류 공동의 시대적 과제임을 인식하고 있다면서 친환경차 전환 가속화를 통한 탄소중립 동참 의지를 선언했다. 단기적으로 수송 분야 온실가스 감축에 효과적인 내연기관차의 고효율화, 하이브리드화를 통해 탄소중립 기반을 구축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세계 수준의 전기차․수소차 공급과 탄소중립 연료 적용 병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