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카이스트(KAIST) 생명화학공학과 고동연 교수 연구팀이 상온에서 크기 차이 0.1 나노미터(nm) 이하의 액상 유기물질을 직접 분리할 수 있는 유기용매 정삼투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액체 혼합물의 대규모 분리 공정은 주로 물질의 끓는점 차이를 이용하는 증류법을 이용하는데, 이때 전 세계적으로 막대한 양의 에너지가 소비된다. 특히, 석유화학 산업의 기초가 되는 액상 탄화수소들은 섬유, 플라스틱 등 일상생활과 밀접한 소재 개발에 필수적이기 때문에 이들을 저에너지, 저탄소 공정을 통해 분리하는 새로운 미래지향적인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연구진이 개발한 초미세 다공성 탄소 분리막은 위와 같은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 액상 탄화수소를 크기와 모양에 따라 상온에서 연속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기술이다. 연구팀이 이번에 개발한 유기용매 정삼투법은 정밀하게 디자인된 기공 크기 및 구조를 갖는 탄소 분리막을 이용한다. 이는 외부 동력원 없이 자연스러운 농도 기울기 및 화학적 포텐셜을 기반으로 크기 및 모양 차이에 따라 탄화수소 화학종들의 분리가 진행되는 에너지 효율적 기법으로, 기존의 증류법보다 약 10배 정도 낮은 에너지 소
[첨단 헬로티] 온세미컨덕터가 태양전지만으로 구동되는 RSL10 멀티-센서 플랫폼(RSL10 Multi-Sensor Platform)을 출시했다. 이 플랫폼으로 온세미컨덕터는 배터리와 유지보수가 필요 없는 사물인터넷(IoT)을 구현하고 있다고 밝혔다. ▲ RSL10 솔라 셀 멀티 센서 플랫폼 <사진 : 온세미컨덕터> 온세미컨덕터가 출시한 플랫폼은 라디오와 통합 안테나, 수동 부품 일체가 특징인 완벽한 SiP(System-in-Package) 솔루션인 RSL10 SIP로 구현됐다. 이 플랫폼은 RSL10 SIP와 압력, 온도, 습도를 포함한 BME280 올인원 환경 센서, BMA400 초저전력 3축 가속도 센서를 포함한 보쉬 센서텍(Bosch Sensortec)의 저전력 센서 및 태양 전지를 통합한다. 개발자와 제조사는 이 플랫폼을 사용해 재생에너지나 센서 주변에서 하베스팅된 에너지로만 구동되는 완벽한 IoT 노드를 구축할 수 있다. 이 솔루션은 배터리나 다른 형태의 비재생 에너지를 사용할 필요 없이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태양에너지 하베스팅을 사용하는 I
[첨단 헬로티] 즉시 사용 가능한 센서 플랫폼으로 업계 최저 전력 블루투스 저에너지 및 향상된 센서 기술 제공 에너지 효율 혁신을 주도하는 온세미컨덕터가 업계 최저 전력 블루투스 저에너지 무선 기술에 기반한 RSL10 센서 개발 키트(RSL10 Sensor Development Kit)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엔지니어링 전문가용인 이 개발 키트는 첨단 스마트 센서 기술로 IoT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포괄적 플랫폼을 제공하도록 설계됐다. ▲RSL10 센서 개발 키트는 최저 전력 블루투스 저에너지 무선 기술에 기반한다. RSL 10 센서 개발 키트는 고도로 통합된 RSL10 시스템-인-패키지(System-in-Package)와 보쉬 센서텍(Bosch Sensortec)의 다양한 고급 저전력 센서를 함께 제공한다. 이 개발 플랫폼은 9 자유도(9 Degrees of Freedom, DoF) 감지 및 주변 광,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압력, 상대 습도와 기온 등 환경 모니터링을 제공한다. 사용자 프로그래밍 가능한 RGB LED, 프로그래밍 가능한 버튼식 스위치 세 개, 64kbit EEPROM과 더불어 초 저 노이즈 디지털 마이크도 포함한다. 보쉬 센서
오토모티브 산업은 커다란 변화를 겪고 있다. 대다수 소비자들에게 자동차는 단순한 운송 수단을 벗어나 디지털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부분이 되고 있다. 현대의 자동차는 GPS,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근거리 통신(NFC), 셀룰러(4G/5G)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호스팅하는 기술 허브로써 기능과 사용자의 안전, 쾌적함을 향상시키는 상호 보완적인 커넥티비티 옵션 역할을 한다. 가장 최근 변화 중 하나는 스마트폰의 기술적인 이점과 임베디드 특징으로 인해, 자동차 OEM사들이 블루투스 저에너지 기술(그림 1)을 채택한 것이다. 고객들은 블루투스 저에너지가 내장된 스마트폰과 휴대용 기기를 이용해, 차량 내 제어, 개인 맞춤형 인포테인먼트, 차량 진단, 자동차 액세스, 카 셰어링, 자동 주차 등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들을 다룰 수 있다. 또한 이 산업이 점점 친환경으로 진화함에 따라, 저전력 무선 기술을 이용하는 케이블로 대체되고 있다는 점도 블루투스 저에너지의 또 다른 잠재력이다. ▲ 그림 1. 오토모티브의 변화의 일환인 블루투스 저에너지가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오토모티브 애플리케이션의 블루투스 저에너지 최신 스마트폰, 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