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고집적화 추세 대응한 ‘2세대 웨이퍼 검사 시스템’ 국산화 청신호 국내 연구진이 불량 반도체 칩을 16배 빠르게 잡아내는 2세대 웨이퍼 검사 시스템을 개발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하 생기원) 디지털전환연구부문 남경태 박사 연구팀은 산학연 융합연구를 통해 동시에 16장의 웨이퍼 검사가 가능한 ‘고속 멀티 프로빙 웨이퍼 검사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한 번에 한 장의 웨이퍼만 검사할 수 있었던 기존 싱글 프로 빙 장비의 한계를 뛰어넘어, 동시에 16장의 웨이퍼를 검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 단위 시간당 16배 많은 처리량을 구현할 수 있게 됐다. 우리나라는 반도체 웨이퍼 검사 장비의 75% 이상을 해외 제품에 의존하고 있어 장비 국산화에도 청신호를 켠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웨이퍼 검사는 프로버(Prober) 장비의 척(Chuck) 위에 웨이퍼를 위치시키고, 프로브 카드(Probe Card)와 접촉시켜 불량품을 선별해 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프로브 카드에 장착된 미세한 핀들이 웨이퍼와 접촉해 전기신호를 보내면, 되돌아오는 신호를 분석해 양품과 불량품을 판별하는 구조이다. 아주 작은 반도체 칩 위에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핀 수만 개를 접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전문기업 티라유텍은 2006년 설립이후 15년 동안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의 무인 자동화공장 구축 경험과 기술 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스마트공장 구축에 필요한 공급망 관리, 생산 실행 관리 및 설비 자동화용 소프트웨어를 공급하고 있다. 티라유텍은 2019년 10월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업계 최초로 코스닥에 입성했다. Q. 주력사업은. A. 스마트 제조 산업에서는 생산관리시스템(MES), 생산계획시스템(APS), 품질관리시스템(QMS)를 중심으로, 스마트 물류 사업에서는 공급망관리(SCM), 창고관리시스템(WMS), 물류창고 제어시스템(WCS)등 무인 자동화 구축에 필요한 토탈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으며 여러 대기업 및 중견기업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최근에는 자율주행 이송로봇(AMR)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하여, 자동화 산업 전반에 걸쳐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필요한 다양한 솔루션 라인업을 갖추고 있는 티라유텍은 전문 컨설턴트와 다년간의 축적된 기술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이미 다수의 국내 대기업과 중소기업 등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다. 티라유텍은 AWS를 도입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비스를 기반으로
[헬로티] ‘인아오리엔탈모터’와 ‘인아엠씨티·인아코포(대표 신동진)’가 지난 8일부터 다아라 온라인 전시관에서 열리는 ‘산업 다아라 온라인 전시회’에 참가했다. 인아오리엔탈모터는 △스텝 모터 △AC 기어드 모터 △스피드 컨트롤 모터 △BLDC 모터 △전동 액추에이터 등 다양한 라인업을 바탕으로 각 제품군별 향상된 사양과 기능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특히 모터의 최적화 설계에 따른 높은 효율을 실현한 새 삼상 인덕션 모터 ‘KII/KIIS Series’, 고 토크 저 진동·저 소음을 더 추궁해 성능을 향상시킨 ‘CVK Series’, 저소음 시스템 구성이 간단한 ‘US2 Series’, 토크 제한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탑재해 PC에서의 설정 및 지령도 가능한 ‘BLE2 Series’ 등이 소개된다. 인아엠씨티는 스마트 팩토리로 대표되는 다양한 제품군을 소개한다. 고온·진공 등 열악한 환경에서도 대응 가능한 보쉬렉스로스코리아의 차세대 물류이송 시스템인 &lsqu
지금까지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로봇은 대부분 로봇 자체의 이동은 없이 고정된 위치에서 고속 정밀의 반복을 요구하는 작업 용도로 사용됐다. 최근 들어 로봇의 자율주행 기술이 개발되고 무선통신 기술이나 IT 기술들이 접목 되면서 로봇이 작업현장 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로봇 스스로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 인해 기존의 물류 시스템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동 로봇이 물류 시장에 가져온 변화와 각국의 동향 및 전망을 살펴보고자 한다. 왜 물류 이송로봇인가 최근 아마존은 KIVA Systems를 인수한 후 Amazon Robotics로 사명을 변경하여 물류 이송로봇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데, 이는 물류 시스템에서의 로봇 사용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주는 일례라고 할 수 있다. 로봇을 이용하여 웨어하우스의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보다 많은 물류를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봇 사용으로 하루 24시간 물류 작업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배송에 걸리는 전반적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현재 아마존에서는 15,000대 이상의 KIVA 로봇을 사용하고 있으며, 로봇 사용 후 50% 이상의 물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