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모바일 웹 브라우저 시장에서 '삼성 인터넷'이 1년 만에 애플의 '사파리'에 2위 자리를 내줬다. 29일 아일랜드에 본사를 둔 시장조사 업체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삼성 인터넷의 점유율은 24.7%로, 25.36%를 차지한 사파리에 밀려 3위를 기록했다. 1위는 35.89%인 구글의 크롬이 차지했다. 웹 브라우저는 인터넷 웹 페이지에서 각종 정보를 검색하고 볼 수 있게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삼성 인터넷은 삼성전자가 2012년 첫선을 보인 안드로이드 기반의 모바일 웹 브라우저다. 그간 삼성 인터넷은 지난해 8월 24.23%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당시 23.63%였던 사파리를 제치고 2위로 올라선 뒤 계속해서 우위를 점했지만, 1년 만에 역전당했다. 삼성 인터넷과 사파리의 점유율 격차는 8월 들어 더 벌어졌다. 이달 삼성 인터넷의 점유율은 17.46%로, 사파리(27.89%)와의 격차는 10%포인트 이상 차이가 났다. 다만 이는 8월 26일 현재 점유율로, 이달 말까지 누적 집계치는 다를 수 있다. 그간 삼성 인터넷과 사파리는 국내 모바일 웹 브라우저 시장에서 2위 자리를 두고 지속해서 엎치락뒤치락해왔다. 반면 크롬은 8월 기준 41.54%
[첨단 헬로티] 인터넷 익스플로러(IE)와 엣지, 파이어폭스와 크롬 중 피싱 공격을 가장 강력하게 방어할 수 있는 브라우저는? 글로벌 보안 기업 사이렌이 진행한 브라우저 피싱 방어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구글의 크롬이 피싱 사이트를 탐지하는 데 가장 뛰어난 결과를 보였다. 사이렌 아태지역 총판인 지란지교소프트(대표 김형곤)이 사이렌 테스트 결과를 인용해 관련 내용을 전했다. 이번 테스트는 사이렌의 웹 시큐리티 솔루션이 제공하는 피싱 사이트 탐지 기능를 돌렸을때 각 브라우저 경고창이 뜨는데 걸리는 시간을 비교한 것이다. 브라우저 자체에서 피싱 공격을 얼마나 빠르고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테스트라는것이 회사측 설명이다. 테스트 결과 크롬은 평균 6시간 23분 안에 73.9%의 피싱 사이트를 탐지하여 가장 우수하게 피싱 공격을 탐지했다. 파이어폭스가 1 시간 52분 동안 52.2%의 피싱 사이트를 확인했고 마이크로소프트사의 IE와 엣지는 각각 21.7%의 탐지율과 15시간 29분의 탐지 시간을 나타냈다. 그러나 마이크로소프트는 의심스러운 페이지를 발견했을 시 팝업으로 경고를 주는 스마트 스크린 필터(SmartScreen Filter)를 통해 브라우저로
[헬로티] 네이버가 자체 개발한 브라우저 '웨일'(WHALE) 오픈 베타버전을 14일 공개했다. 네이버는 생활환경지능(Ambient Intelligence)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브라우저 공간 속에 새로운 기능과 가치를 제시해 이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인터넷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웨일을 개발해왔다. 하나의 창 안에서 다양한 작업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옴니태스킹'이나 처음 보는 단어도 드래그만 하면 바로 정답을 알려주는 '퀵서치' 등 이용자를 배려하는 스마트한 기능 등이 비공개 베타 (CBT) 기간 동안 많은 관심을 받았다고 네이버는 전했다. 네이버는 지난 3개월간 약 3만여 명 규모로 2차 CBT를 진행하며, '웨일 연구소'(http://forum.whale.naver.com) 등을 통해 참여자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웨일의안정성과 품질을 개선해왔다. CBT 기간 동안 웨일은 이용자들이 브라우저 사용 상황에 맞춰 '사이드바', '스페이스' 창 분할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토록 했으며, PC에서 모바일 페이지를 모바일 환경과 동일하게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창'을 도입하는 등 브라우저의 성능과 편의를 확대했다고 네이버는 설명했다. 네이버는 오픈